대중의 구매 욕구에 대한 인식 : 미디어 속 연예인의 영향에 노출된 대학생 FGI 중심으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의 구매 욕구에 대한 인식 : 미디어 속 연예인의 영향에 노출된 대학생 FGI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스타의 정의와 우상화
 1) 스타의 개념과 정의
 2) 스타 우상화

3. 스타광고와 모방
 1) 연예인 이미지를 통한 광고효과
 2) 연예인 이미지와 청소년 모방

4. 아우라 이론

5.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6. 결과분석
 1) 연예인이 대중의 구매행위에 미치는 영향
 2) 연예인과 브랜드 이미지와의 관계

7.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았고, 메시지나 그림을 고급스럽게 전달하였다. 이걸로 봤을 때, 연예인이 큰 신뢰성을 주진 않는다. 영화나 드라마의 경우에도, 유명 연예인(비나 배용준)이 출연했다고 해서 성공하는 경우는 크게 많지 않다. 내용이나 시나리오 자체가 좋아야 성공으로 이어진다. CF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굳이 대형 연예인을 섭외해서 보장된 것이 아니고, 제품자체가 좋아야 한다고 본다. 혹은, 광고자체에서 메시지 자체가 독특하다던지, 전달력이 좋아야 주목을 끌 수 있고 신뢰성도 높일 수 있겠다. (박인덕 PD)
6. 결론
지금까지 대중의 구매욕구와 미디어 속 연예인의 효과 간의 관계에 관련된 이론과 FGI분석을 살펴보았다. 그룹인터뷰를 통해 사회 전반에 인식된 연예인 광고 효과와 대중의 구매욕구 사이에 상당한 연관성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우리는 앞서 언급한 수용자 경험과 모방현상 이외에 벤야민이 언급한 아우라 개념을 통해서도 연구문제의 접근을 시도할 수 있다.
복제 기술에 의해 아우라의 위상이 무너지고 있음은 틀림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과연 아우라가 파괴되었다고 볼 수 있을지는 고민해 볼 문제이다. 현대 대중사회에서 아우라의 체험은 연예인(스타)를 통해 재생산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연예인 우상화와 일맥상통한다. 미디어 콘텐츠에서부터 상업적 공산품까지 스타브랜드로 생산되는 상품은 너무나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중은 상품 소비를 넘어서서 실제의 스타를 만나러 간다. 길바닥에서 뜬눈으로 밤을 새는 노고까지 마다하지 않은 채 사인회 줄을 서고, 대학 교과목 수강 신청보다 훨씬 더 긴박한 콘서트 티켓팅에서 반드시 앞자리를 얻겠노라 애를 쓴다. 사진은 평면적이고, 영상은 시선이 고정되어 있다. 또 앨범은 너무 정제되어 있다. 결국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것을 지금 여기서 보기' 위해 공연장 혹은 방송국을 찾는 것이다. 아무리 상품(복제)이 많이 쏟아져도 실제의 그(원본)만 못해서 늘 대중은 스타를 갈망하게 되는 셈이다.
앤디 워홀이 그린 수많은 마릴린 먼로는 현대 대중문화의 실체 없는 이미지를 보여줬지만 그럼에도 마릴린 먼로는 존재하는 사람이었다. 이미지뿐이라 해도 원본은 다르다. 스타는 소비사회의 이미지 상품이지만, 하나의 실존이기에 인간적 아우라는 여전히 살아 있다. 이런 인간적 아우라가 양산하는 것이 미디어 속 스타를 쫓아 스타가 먹고, 스타가 걸친 제품을 구매하는 대중의 소비문화이다. 신비로움을 갈구하고, 해답을 찾으려는 원초적 대중의 욕구가 곧 모방적 구매행태로 이어진다. 스타로 칭송받는 연예인을 직접 만지고 향유하긴 어렵지만 스타가 접한 제품은 인간적 아우라로 봉인된 스타를 간접적으로 소유할 수 있는 환상을 선물한다는 점에서 대중에게 검은 유혹의 손길로 작용한다.
전문가의 견해는 수용자들의 경험과 기존 이론들을 바탕으로 정리된 연구문제의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대중의 소비를 조장하는 연예인의 효과를 어느 정도 인정한 FGI 참여자들과는 다르게 광고 기획자는 스타의 영향력을 적게 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광고료를 연예인들에게 지급하고, 스타 캐스팅에 혈안이 된 각종 콘텐츠 제작자들의 경우를 유추해 볼 때, 현실적으로는 우리 대중문화 사회는 미디어 이용자들을 대변하는 FGI 참여자들과 같은 인식을 취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 참고문헌 ■
권수애·이수경(2007). 청소년의 연예인 선호이미지와 모방행동. 충북대학교
김정현·김자경 (2002). 제품옹호인 신뢰도와 회사 신뢰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
구』, 57, 223-245.
김희수(1994). TV 의상이 광고효과로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성신여대 석사논문.
박세권(1995) 청소년의 사회화에 미치는 대중매체의 영향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
위 논문.
박재진(2006). 간접광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구매의도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71, 153-175.
박재진 외(2008). 유명 연예인과의 관련 형태에 따른 구매의도 효과 차이. 『언론과학연구』,
8(2), 177-206.
안혜경(2009. 11. 24). 지금 창업시장은 스타마케팅이 대세! .『브레이크뉴스』.
이경렬 외(2006). 최고경영자 모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모델의 유형 및 제품 관여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광고홍보학보』, 8(4), 302-330.
이연희·이운영(2002). 현대인의 이미지메티킹. 청구문화사.
이영희(2003). 이미지 경영. 동현출판사.
이정교(2006). 유명광고모델과 제품 간의 이미지 부조화의 정도가 광고기억에 미치는 영향;
스키마 일치 이론을 중심으로. 『광고홍보학보』, 7(4), 169-192.
장성희 · 박현신(2003). 스타마케팅이 청소년의 패션 동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강
북에 거주하고 있는 1318세대 중심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3(1), 1-24.
전달영 (1996). 광고모델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상황적 접근 방법. 『산업과 경영』, 8(2).
71-99.
최가람(2009. 8. 20). 지드래곤 음원차트에 이어 독특한 헤드폰도 화제 .『뉴스웨이』.
현택수(2005). 매스커뮤니케이션과 사회. 문예신서.
Arnett, J.J, Larson,R., & Offer,D.(1995). Beyond effects: Adolescents as active media use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24(5),pp.551-533.
Ohanian (1991). The Impact of Celebrity Spokespersons' Perceived Image on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1(1), 46-54.
Raviv, A., Bar-Tel, D., & Ben-Horin,A(1996).Adolescent idolozation of pop-singers: Cause, expression, and relia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25,No.5,pp.631-650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1.28
  • 저작시기2013.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95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