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비극과 시대정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그리스 비극과 시대정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그리스 비극의 정의
2. 비극의 기원
3. 비극의 시대적 배경
 ① 페르시아전쟁
 ② 펠로폰네소스 전쟁
4. 반전작가 아이스킬로스
5. 소포클레스 - 크레온과 오이디푸스, 그리고 페리클레스
6. 에우리피데스
7. 결론

본문내용

서 그는 헤카베와 그 밖의 트로이아 포로들에 대한 정복자들의 극악하고 어리석은 잔학행위를 고발하는 한편, "두건으로 얼굴을 가린 왕비" 자신이 황금 때문에 왕자를 죽인 야만인에게 무자비하게 복수하는 모습을 그렸다. 이에 뒤이은 작품『트로이의 여인들』은 아테네의 멜로스 침공에 대한 에우리피데스의 의견으로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얕게 보면 단순히 트로이 전쟁에 빗대어 아테네의 횡포를 고발하는 듯하지만, 실제로는 전쟁의 비참함과 공허함을 그리려 했다고 할 수 있다. 그는 트로이군에게는 가족을 지키기 위해 싸운 명예가 있는 반면 그리스 군은 아무것도 얻은 것이 없음을 지적하며 전쟁의 허무함을 드러낸다. 거기에 부정한 여인인 헬레나의 허영심에 의해 전쟁이 발발되었다는 어처구니없는 사실을 비극 속에 등장시켜 전쟁의 허무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한 작품 속에서 트로이인의 고통과 트로이 성을 불사른 승리자인 그리스군의 비참한 운명을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전쟁을 통해 승자도 패자와 마찬가지로 절망을 얻게 됨을 주장한다. 또한 『헬레네』에는 기존의 작품들이 헬레네를 전쟁의 원인이며 부정하고 허영심이 많다고 기록한 것과 반대로 매우 정숙한 미녀로 묘사하고, 전쟁의 원인을 헤라가 만들어낸 헬레네의 환영 탓으로 기록해서 전쟁의 허무함을 가장 신랄하게 나타냈다.
그의 도시 아테네는 잘못도 없는 멜로스 섬을 정복하여 파괴했고, 그 직후 시칠리아 섬을 정복하기 위해 막강한 군대를 보냈으나 살아 돌아온 사람은 거의 없었다. 이 상황에서 에우리피데스는 『트로이의 여인들』을 통해 아테네를 비판하고, 『헬레네』를 통해 미래를 예언했지만 아무도 그의 말을 믿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이 작품들로 인해 적을 만들었고, 신성모독죄로 고발되었으며, 존경할 만한 견해를 은밀한 수단으로 공격한다는 의혹을 받았다. 이로 인해 그는 조국 아테네는 물론 인간 자체에 대해 실망해 『헬레네』상연 이후 아테네를 떠나 살라미스에 칩거하였으며, 결국 기원전 408년에 노구를 이끌고 아테네를 떠나 마케도니아로 망명해버렸다.
7. 결론
그리스 비극은 그리스 신화를 기본 줄거리로 두고 이야기를 발전시켜 나갔다. 그리스 비극의 바탕이 된 그리스 신화는 그리스인들의 손을 거치면서 그들의 생각과 인식을 첨가되면서 점점 더 크게 발전해나갔다. 그리스 비극은 그리스 신화가 했던 역할을 그대로 이어받아 그리스인들의 의식을 반영하였고, 이러한 역할은 그리스 문화의 황금기에 해당하는 기원전 5세기에 절정에 이르게 된다. 에우리피데스, 소포클레스, 아이스킬레스 등 이 시기에 활동했던 그리스 비극작가들은 그리스의 가장 찬란한 순간을 노래함과 동시에 전쟁으로 혼란했던 시대에 대한 비탄도 거부하지 않았다. 이들은 자신의 작품에 자신과 그리스인들이 생각했던 시대인식을 정확하고 아름답게 담아내었기에 그리스 민중들로부터 사랑받을 수 있었다.
참고문헌
김진경 외,『서양고대사강의』,한울아카데미, 1996
이정린,『아리스토파네스와 고대그리스 희극공연』, 한국학술정보, 2006
천병희, 『그리스 비극의 이해』 , 문예, 2002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5.29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9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