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설계] 국내외 도시재생과 사례연구 - 전주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시설계] 국내외 도시재생과 사례연구 - 전주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론 및 선행연구에 대한 내용

1.1 도시재생의 이론
1.1.1 도시재생이란?
1.1.2 도시재생의 시작
1.1.3 국내외 도시재생 추진지역

1.2 도시재생의 선행연구
1.2.1 기존 도시재생의 방향

1.3 우리가 생각하는 접근방법

2 대상지 선정의 이유와 논리적 근거

2.1 대상지 현황
2.1.1 대상지가 추진하고 있는 사업

2.2 도시재생 추진 방향
2.2.1 팔달로 축을 기준으로 한 도시재생 추진
2.2.2 전통한옥마을 조성사업을 통한 도시재생 추진

2.3 대상지 선정의 논리적 근거

3 물리적, 사회적 현황 및 문제점 파악

3.1 물리적 현황
3.1.1 전주시 문화재 현황
3.1.2 전주시 주요 문화재
3.1.3 전주시 공간구조 현황
3.1.4 전주시 도시공간구조 현황
3.1.5 전주시 공간의 권역구분 현황

3.2 사회적 현황
3.2.1 전주시 전통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 사업현황
3.2.2 전주시 특정·특화거리

4 대상지에 대한 감상

5 추후 조사 계획

5.1 도시재생 사업계획 위주(구시가지의 상업지역)

5.2 도시재생 성공사례 위주(한옥마을, 영화의 거리 등)

본문내용

여 왔다.
1960년대
토지구획 정리사업의 시행과 팔달로의 개통으로 도시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
팔달로를 따라 시가지가 점차 북측으로 성장하였다.
1980년대
철도의 이전으로 동측으로 시가지 확대가 가속화 되었고, 전주역의 이전을 계기로 개설된 백제로를 따라 도심 북측일대에 대규모 택지 개발이 이루어졌다.
1990년대
서신지구, 평화지구의 개발과 함께 베제로 노선이 연장되면서 서나지역이 성장하였으며, 또한 아중지구가 조성되고 서부우회도로가 개설되는 등 대규모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3.1.4 전주시 도시공간구조 현황
전주시 도시공간구조는 크게 중앙의 기존 시가지 공간, 남부의 산악경관, 서부의 신시가지, 북부의 산업공간과 농경지 공간 등 5개의 공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자료 : 전주시를 중심으로
3.1.5 전주시 공간의 권역구분 현황
구 분
해 당 지 역
문화예술권(중심권)
중앙동, 풍남동, 중노동 1,2동, 남노송동, 교통 서노송동 일원, 덕진동, 금암1동, 진북1,2동일원
주거상업권(동부권)
금암2동, 인후2동, 우아1동 일원, 우아2동, 인후1,3동, 완주군 소양면 일원
중추행정업무권(서부권)
효자4동, 삼천3동, 완주군 이서면 등 일원, 서신동, 중화산 1,2 동, 효자1동, 삼천 1,2동 등 일원
주거휴양권(남부권)
평화 1,2동, 서서학동, 동서학동, 효자1동, 삼천 1,2동 등 일원
첨단산업권(북부권)
조촌동, 동산동, 팔복동, 완주군 이서면 등 일원, 송천 1,2동, 호성동, 완주군 용진면 등 일원
3.2 사회적 현황
3.2.1 전주시 전통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 사업현황
전주시 전통문화지구 조성사업 내역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전통문화의 거리조성, 문화시설 건립 전통문화 구역정비 등이며 세부 사업내용은 다음과 같다.
3.2.2 전주시 특정특화거리
구분
연장(m)
정비 상황
특정거리
차이나 거리
250
완료(2004)
약전 거리
430
계획 중
특화거리
걷고 싶은 거리
830
완료(2002)
영화 거리
620
완료(2004)
웨딩 거리
500
완료(2007)
동문 거리
300
미계획
공구 거리
600
미계획
영화 거리(JIFF)
전주시청에서 조금 걸어가면 영화 거리가 보인다. 영화 거리에 들어가 보면 많은 상점들이 줄지어 있고 DVD방 들이 있다. 그리고 DVD영화관 그리고 나이트 현수막도 보인다. 전주에 오기 전 사전조사를 할 때 도심미관을 해치는 주된 요인 중 하나인 불법광고물을 없애 도시경관을 디자인하기로 결정했다는 자료를 보았다. 하지만 실행이 잘지 않는 것 같다. 거리에 영화관만 있으면 영화의 거리가 되는 것인가? 이 거리는 돈을 벌기위한 상점들의 거리인 것 같다.
객사길 걷고 싶은 거리
자연길
전주 중앙교회 앞에서는 경연대회를 하고 있었다. 사람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 길의 끝에 도달 했을 때 왜 이 길을 자연길이라고 이름을 지었는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상업적인 매장들로 가득한 이 거리를 왜 걸어야 하는지 알 수 없었다.
역사의 길
문화의 길
조선시대 외국사 신들의 숙소로 사용되었던 전주객사는 역사의 길의 끝에 자리 잡고 있었다. 그리고 문화의 길은 다른 길과 마찬가지로 상점들이 늘어서 있는 거리다. 이 거리를 걸으면서 생각한 것은 이 거리는 계획 걷고 싶은 거리라는 이름으로 계획되었지만 상점들을 위하여 보도를 보수한 길인 것 같았다,
4 대상지에 대한 감상
구시가지안에서의 신시가지와 구시가지
구시가지는 생각보다 노후된 곳이었는데, 높은 빌딩까지는 아니더라도 월드컵경기장을 보유한 도시다운 면모는 찾아볼 수 없었었다. 구시가지는 달동네를 연상케하는 주거지역과 도로정비가 아쉬운 전통시장부터 관광객이 북실대는 한옥마을과 젊은이들이 넘쳐나는 영화의 거리까지 구시가지안에서 도시의 생애주기를 모두 확인할 수 있는 곳이었다.
한옥마을 vs 노후주거지역
↑한옥마을 노후주거지역↑
구시가지안의 개선지역
그렇지만 전주한옥마을과 영화의 거리에서는 수많은 관광객과 전주의 젊은세대들을 만날 수 있었는데, 구시가지안에서도 도시의 개발계획에 의해서 유동인구의 엄청난 변화를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한옥마을과 영화의 거리
↑전주한옥마을 영화의 거리↑
구시가지의 노후지역
전주의 도시재생은 도시재생사업단에 의해서 진행되고 있었는데, 우리가 둘러본 지역은 도시재생사업단의 사업지역인 쇠퇴상가지구와 노후주거지구였다. 쇠퇴상가지구는 도심형상가지구로 변모시키고. 노후주거지구는 주거환경개선이 진행될 예정이었다.
북적거리는 모습을 예상하고 찾은 중앙시장은 굉장히 한산한 모습이었다. 점심시간임에도 유동인구는 그리 많지 않았다.
중앙시장과 노후주거지역
↑중앙시장의 도로 노후주거지역의 방치된 건물↑
같은 시장이지만 덜 개선된 중앙시장
그래도 시장내부에는 도시재생사업단이 진행한 중앙시장 활성화 사업으로 아케이드가 설치되어있었고, 도로도 굉장히 깔끔히 정돈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전주내의 남부시장과 비교해봤을때는 시장의 밀도도 낮았고(보행면에서는 쾌적하지만 그만큼 시장내에 상인들이 적었다. 남부시장은 기간내에 준비된 이벤트도 있었고, 젊은 감각으로 꾸며진 디자인적인 요소들이 굉장히 많은 시장이었다.) 세련된 맛이 적었다.
중앙시장 vs 남부시장
↑중앙시장 남부시장↑
열악한 주거환경의 노후주거지역
주거지역의 경우는 시장보다 더 과거의 것을 만난 듯한 기분이었는데, 달동네처럼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있고, 차가 다니기 힘든 도로, 높은 언덕이 주거여건을 열악하게 만들고 있었다. 그런데 노후주거지역이라고 불려지는 블록을 벗어나면 높은 건물들이 줄지어 있었고 도로환경도 굉장히 좋았다. 아무래도 언덕지역이었고, 신시가지의 등장으로 주거지역으로서의 활용가치가 줄어들어 개발의 손이 닿지 않았던 것 같다.
노후주거지역과 그 인근
↑노후주거지역의 주택 노후주거지역과 인접한 지역↑
노후주거지역과 쇠퇴상가지구는 부족한 점이 많아 앞으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계속해서 변화될 모습이 기대되는 곳이었고, 전주한옥마을과 영화의 거리는 도시재생사업으로 큰 성공을 거둔 지역이므로 그 성공사례 과정을 훑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같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6.14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24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