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생물학 - 원생동물의 관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반생물학 - 원생동물의 관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plants와 animals 5개의 계이다. 최근에는 분자적 자료를 이용하여 계(kingdom) 준위보다 높고 넓은 영역(domains)이라는 준위를 설정하여 생물 전체를 archaebacteria, eubacteria와 eukaryota 세 개의 domains으로 설정하였고 원생생물(protists)은 eukaryota domain내의 최고 45개의 문(phyla)으로 제안되고 있다(Corliss, 1998). 또한 이 시기에 어떻게 분류체계를 세울지에 대한 계통분류에 대한 철학이 널리 확산되었으며 또한, 초미세구조의 자료를 계통 분류체계에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분류체계는 하나의 기원에서 유래한 단계통군(monophyletic)이나 모든 후손을 포함하는 전계통군(holophyletic)이 되어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하였다. 이상적인 분류체계는 여러 조상에서 유래한 다계통군(polyphyletic)이나 모든 후손을 포함하지 않는 측계통군(paraphyletic)을 제거하여 수립될 수 있다. 이러한 phylogenetic systematics이 원생생물의 계통과 분류체계를 수립하는 데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첫 번째로,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원생생물의 분류군들, 예를 들면, amoebae, heliozoa, flagellates, sporozoa 등 여러 단계통군이 아닌 분류군의 이름을 제거하는 일이다. 두 번째 문제는 예전의 분류계급 구조가 기본적으로 계-문-강-목-과-속-종 등으로 되어있는데 새로이 만인식된 많은 원생생물의 분류군은 이러한 기본적인 분류계급 구조를 상황에 따라 더 세분하거나 축소하여야 적절하게 계통을 반영한 분류체계를 수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원생생물의 분류체계에서 많은 경우에 다계통군이나 측계통군의 분류군이 포함되어 있다. 즉 분류군의 다계통성이나 측계통성을 밝혀냄으로써 진정한 단계통성의 분류체계를 수립할 수 있는 것이다.
메틸셀룰로스 (methyl cellulose)
이번실험에서는 원생동물의 운동성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메틸셀룰로스(methyl cellulose)를
사용하였는데 그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같다.
알칼리 존재하에서 셀룰로스에 다이메틸황산을 작용시켜 합성하는데, 제조 조건에 따라 치환도가 다른 여러 가지 메틸셀룰로스가 생긴다.
알칼리 존재하에서 셀룰로스에 다이메틸황산을 작용시켜 합성하는데, 제조 조건에 따라 치환도가 다른 여러 가지 메틸셀룰로스가 생긴다. 일반적으로 흰색 고체이나, 메틸화 정도에 따라 다소 다르다. 치환도 0.1~0.9(OCH3이 2∼16%)의 것은 4~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품에 녹고, 1.6~2.0(OCH3이 26.5∼32.6%)의 것은 찬물에 녹으며, 2.4∼2.6(OCH3이 34∼38%)의 것은 유기용매에 녹아 끈끈한 용액이 된다. 수용성인 것은 풀·점조제화장품·식품 등에 사용되고, 알칼리에 녹는 것은 피륙의 가장자리를 굳히거나 필름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된다.
-Materials
광학현미경 ZEISS 사 PRIMO STAR. 샘플A(소형원생동물),샘플B(대형원생동물),메틸셀룰로스(methyl cellulose),커버글라스, 슬라이드 글라스
-Meterials
1)샘플은 파란색튜브의 대형원생동물과 검은색튜브의 소형원생동물이 들어있다.
2)샘플을 흔든후 스포이드로 슬라이드 글라스 두곳에 소량을 떨어트린다.
3)소형원생동물 샘플을 떨어트린 슬라이드 글라스는 원생동물의 활동량이 빠르므로 메틸셀룰로스를 바로옆에 떨어트리고 커버글라스로 덮음으로써 원생동물을 고정시킨다.
4)메틸셀룰로스는 물먹는 하마처럼 물을 흡수하여 원생동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5)소형원생동물은 최대 400배까지 관찰하고 대형원생동물은 40~100배까지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6)메틸셀룰로스를 떨어트린곳은 압에의해 원생동물이 끝으로 몰릴수있으니 그점에 유의하여 관찰한다.
-Result
1)대형원생동물:짚신벌레 (paramecium)섬모충류
2)소형원생동물:편모충류(poteridendron)
-Discussion
이번 원생동물의 관찰 실험에서는 원생동물의 형태와 각각의 특징을 알기위해서 현미경을 가지고 총 2가지 샘플로 실험을 하였다.
파란색튜브의 샘플은 대형원생동물이었고 검은색 샘플은 소형의 원생동물이었다.
이번실험은 총 현미경을 2대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였는데 한곳의 현미경에서만 짚신벌레와 편모충류를 발견할수 있었다. 아마도 현미경의 렌즈상태나 초점상태가 좋지않았던 것으로 생각한다. 처음 대형원생동물 짚신벌레는 쉽게 찾을수있었지만 섬모충류중에 비슷한 모양을 갖은것들이 있어 그 종을 구별함에있어서 쉽지않았다.
관찰함에 있어 애를 먹었던 것은 소형원생동물인 편모충류 였는데 이것은 100로 보았을때는 어렵지않게 관찰할수있었는데 조금만 욕심을내서 400배로 관찰할때에는 이미 이동을 하여 사라진후였다.
사실 우리가 소형원생동물이라고 생각하는 편모충류 poteridendron 은 인터넷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진과는 사뭇 다른모습을 발견할수있었다. 우리는 관찰시 몸통에 편모가 붙어있어서 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편모 따로 몸통따로 움직이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러하여 단지 이것이 poteridendron 인지 아님 다른 이름을 띠고있는 편모충류인지에대해서 조별로 많은 의견을 교환하였다. 아마도 이런 요인은 원생생물이 완전히 고정되어있지않아서 정확히 관찰이 어렵다는 점과 좀더 자세한 관찰을 위해 현미경의 배율을 높였을 때 원생생물을 찾기가 더욱 어려웠던점에 있는것같다.
이번 실험으로인해 인류의 조상(?)이라고 할 수 있는 원생동물을 관찰할수있었고 저번실험때 가졌던 박테리아라는 유기체는 왜 움직이지 않을까 라는 의문점또한 자연스럽게 풀렸던것같다. 한 개의 세포로만 이루어진 단세포 동물이 다세포 동물처럼 위족이나 섬모를 이용하여 먹이를 먹고 소화하고 배설한다는 점또한 놀라운 일이었고 전세계에 퍼져 있는 약 3만여종중에 이질을 일으키는 이질 아메바나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학질병원충류 같은 것이 이중에 속하는 원생동물이라는 사실또한 알게되는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일반생물학실험 지코사이언스 권혁빈 저
원생동물의 계통과 분류체계-울산대학교화학생명학부 신만균 저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7.06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8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