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시습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줄거리와 작품배경, 김시습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주인공, 김시습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인생관, 김시습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작품분석, 김시습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작품해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시습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줄거리와 작품배경, 김시습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주인공, 김시습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인생관, 김시습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작품분석, 김시습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작품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김시습 금오신화의 만복사저포기 줄거리

Ⅲ. 김시습 금오신화의 만복사저포기 작품배경

Ⅳ. 김시습 금오신화의 만복사저포기 주인공

Ⅴ. 김시습 금오신화의 만복사저포기 인생관

Ⅵ. 김시습 금오신화의 만복사저포기 작품분석

Ⅶ. 김시습 금오신화의 만복사저포기 작품해석
1. 양생
2. 여인과 만남
3. 여인과 이별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복사 행랑 끝에서 정을 나눈다. 함께 여인의 집(묘)에 가서 사흘 지낸다. 이별의 잔치(이웃 여인들과 시화답)를 한다. 여인의 선물(주발)로 보련 사에서 여인 부모와의 대면을 한다.
3. 여인과 이별
여인과의 이별(여인이 환신임을 알게 됨)을 한다. 여인 부모의 인정과 재산 증여. 정식 장례와 제사를 지낸다. 여인의 재산을 모두 팔아 재 올려 명복을 빈다.
여인은 타국의 남자로 환생하며, 양생은 장가가지 않고 지리산에서 약초를 캐며 산다.
마친 바를 알지 못한다.
만복사저포기는 현실적 인물 양생과 죽은 여인의 영혼과의 인귀교환을 다룬 흥미로운 작품이다. 명혼소설의 대표적 작품인데 구성상으로 보면 ①만복사에서 만남 ②무덤에서의 동거 ③보련 사에서의 재회 ④두 사람의 이별의 순으로 서술되어 있다.
만복사의 저포놀이가 매개가 되어 양생이 평소에 소원하던 아름다운 여인을 부처님에게서 점지 받게 되는데, 매월당의 <명주일록>(溟州日錄)에서 보면 그가 선행승(善行僧)과 더불어 저포놀이를 한 시를 남기고 있는 것으로 보아 자신의 생애를 형상화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주인공 양생은 조실부모나 미장가 상태로 절에 의탁되었는데 이는 가족을 포함한 인간적 관계에서의 단절 내지는 고립 상태이고, 절에 기식하고 있는 것은 승(僧)도 속(俗)도 아니어서 일체의 사리적 관계로부터 단절된 상황이며, 퇴락한 절 만복사 동쪽 방에서의 기거는 생활공간상의 고립을 나타낸다.
상대인물인 여인은 본래 양가집 규수였으나 왜구침략으로 목숨을 잃은 원혼이다. 가매장되어 있었던 3년 동안 꽃다운 청춘의 외로움에 원망이 쌓여 원귀의 상태에 있다.
세상의 모든 것과 단절되어 있었던 여인의 유기된 젊음의 본능적 욕구는 인간세상에서 충족되어야만 하는 강렬한 욕망으로 응결되어 환신으로나마 등장하여야하는 필연을 갖는다.
두 사람에게 허용된 만남의 기간은 한정되었지만 그들이 빚어내는 만남의 내용은 진정한 사랑으로 구현된다. 이들의 만남은 외로운 영혼들의 상실된 존재성 확인과정이며 그들이 비로소 세계와의 화해를 맛 보게 하는 사건이다.
이런 내용은 공간이동을 통해서 나타난다. 그들이 함께 하는 공간은 만복사 부처앞--판자방--여인의 집(무덤)으로 밀폐되고 축소된 공간의 이동은 외형적으로는 사회에서 소외된 존재들의 폐쇄적 고립성을 보여주지만 만남의 면에서는 두 사람의 결속의 응축성을 의미한다. 밀실로서의 공간은 그들의 진정한 사랑을 이룰 수 있는 곳이다.
원혼상태에 있는 여인의 욕구가 충족되어감으로서 한은 해소되어가고 양생이 받은 信物은 여인의 상황을 가족에게 알리게 하는 매개물이 되어 사회적 공인을 획득하게 하고 여인의 존재론적 변모를 이룰 수 있는 단서를 부여한다.
만복사저포기는 훌륭한 비극적 전기작품으로 불우한 주인공 양생의 비극이 있고 현실에서 사랑을 끝내 성취하지 못하고 떠난 여인의 비극이 있다. 이는 곧 지은이 자신이 세조 정변을 통해 사회와 맞서지 않으면 안 되었던 처절한 싸움이며 그 싸움에서 좌절할 수밖에 없었던 작가 정신의 문학적 표현이 곧 비극으로 형상화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김용기(2007), 만복사저포기의 서술기법과 인물 성격의 형상화 방식 연구, 우리문학회
백민정(2007), 만복사저포기에 나타난 \'고독\'과 \'사랑\'의 심리학적 이해와 문학적 의미, 어문연구학회
박일용(2004), 만복사저포기의 형상화 방식과 그 현실적 의미, 한국고소설학회
안민정(2012), 수용미학 관점으로 본 만복사저포기의 환상성, 온지학회
이복자(2003), 만복사저포기의 우의성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전성운(2007), 금오신화의 창작 방식과 의도 : 만복사저포기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83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