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일본사람)의 기질, 일본인(일본사람)의 의식구조, 일본인(일본사람)의 제국의식, 일본인(일본사람)의 여가생활, 일본인(일본사람)의 패션, 일본인(일본사람)의 결혼식, 일본인(일본사람)의 쇼핑관광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인(일본사람)의 기질, 일본인(일본사람)의 의식구조, 일본인(일본사람)의 제국의식, 일본인(일본사람)의 여가생활, 일본인(일본사람)의 패션, 일본인(일본사람)의 결혼식, 일본인(일본사람)의 쇼핑관광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일본인(일본사람)의 기질
1. 조화의 중시
2. 냉정성 중시
3. 집단의식
4. 본심을 드러내지 않음 : 혼네와 다테마에
5. 예절의 중시

Ⅲ. 일본인(일본사람)의 의식구조
1. 집단성
2. 타율성

Ⅳ. 일본인(일본사람)의 제국의식

Ⅴ. 일본인(일본사람)의 여가생활
1. 전자 여가활동
2. 전통적인 여가활동

Ⅵ. 일본인(일본사람)의 패션
1. 화려하고 눈에 많이 띈다
2. 해외 하이 패션의 트랜드에 민감하며 패션의 소스가 미국보다 유럽에 가깝다
3. 같은 옷도 소화해 내는 방식이 다르다
4. 여러 가지 유행이 동시에 유행하며 유행의 수명이 길다

Ⅶ. 일본인(일본사람)의 결혼식

Ⅷ. 일본인(일본사람)의 쇼핑관광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관하지 않다.
오늘날에는 귀속집단의 대표로서 그 집단에서 나온 자금으로 여행을 떠나는 일은 없다. 그러나 대다수의 일본인들은 아직도 이러한 선물을 주고받는 것을 당연시하고 있다. 土産은 영어에서는 Souvenir이라고 말하며 추억이라는 의미가 강하다. 서양에서도 土産을 사오는 관습은 있지만 그것은 여행지의 진귀한 물품을 가족이나 친구라는 특정의 인물을 위해 또는 개인적으로 기념하기 위해서 구입한다.
일본인의 경우는 누구를 위해서가 아니라 タテマエ로 형성된 관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형식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물품을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것으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은 해외여행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것은 고급품을 면세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는 이점과 円의 통화가치가 높은 점 그리고 일본에서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고 아울러 필요하든 필요치 않든 “남으면 누구에게 주면 된다”라는 생각으로 대량으로 구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구성원간의 의리와 タテマエ가 교차하는 전통적인 みやげ의 관습과 대중소비사회의 경제제일주의가 연관되어 만들어진 풍조라고 할 수 있다.
Ⅸ. 결론
일본인의 ‘우리의식’ 내지 ‘집단의식’은 ‘주’(忠), ‘기리’(義理), ‘닌조’(人情)와 ‘아마에’를 통해 복합적으로 규정되고 이해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먼저 일본인의 ‘우리의식’과 가장 밀접히 관계되는 개념은 일본식 집단귀속의식(Belongness)이다(Lebra, 1976, pp. 22-37참조). 일본인의 집단귀속의식은 혈연, 지연을 통한 소속감뿐만 아니라 회사와 같은 이익집단에 대한 귀속의식까지도 포함한다. 나카네(1970)는 이러한 귀속집단을 참조틀(Frame)로 칭하면서, 일본인은 개인적 속성(Attribute)보다 사회적 참조 틀인 집단 속에서의 위치를 강조한다고 주장하였다. 일본인의 이러한 집단귀속동기는 보통 일본인의 집합주의적 성향으로 나타나며, 집단의 구성원들과 조화되지 않는 행동을 하게 될 때 소외당하며, 동시에 무력감과 무가치감, 고독감 등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일본인들은 집단에 동조하려는 성향이 강하며, 상대방에 의해 수용되고 상대와의 상호의존적 관계 즉 ‘아마에’ 관계를 무의식적으로 추구하고 탐닉하는 성향을 나타내 보인다(Doi, 1962; 1971).
그러나 일본인의 집합의식은 그 상호의존성 및 친밀성의 면에서 한국보다 더욱 분화된 특성을 갖는 것처럼 보인다. Doi(1980)는 일본인의 인간관계를 세 개의 층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그 세 개의 층 중 가장 깊은 층의 인간관계는 ‘닌조(人情)의 세계’로, 다음 이를 둘러 싼 중간층은 ‘기리(義理)의 세계’로, 끝으로 가장 외곽의 세 번째 층은 ‘무연(無緣)의 세계’로 구분하고 있다. 여기서 ‘아마에’는 인정의 세계와 의리의 세계에 걸치는 의존적 응석관계로서, ‘닌조’(人情)의 세계에서는 완전한 상태의 ‘아마에’가 자발적으로 나타나며, ‘기리’(義理)의 세계에서는 ‘아마에’가 나타나나 어느 정도의 규범성이 그 속에 개입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으로 그는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아마에’세계에서는 서로 높은 일체감을 경험하며 ‘아마에’가 깊을수록 의무적이거나 제도적인 관계의식을 덜 의식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개념 틀 속에서 이규태(1991b)는 일본인에 있어서 세 개의 인간 층을 구분하고 있다. 제 1의 인간 층에서 결속의 원천은 인정으로 이 층은 가족집단의 구성원간에 나타나는 인간관계에 해당된다. 제 2의 인간 층의 결속원은 의리로서, 제 2층의 집단은 가족 외의 집단임에도 불구하고 이 층에서의 인간관계의 특성은 일차집단과 같은 강한 결속력을 나타낸다. 제 3의 인간 층은 인정이나 의리와 같은 인간적 차원의 감정이나 관계성에 의한 결속이라기보다는 규범, 의무 또는 법률과 같은 공식적 관계에 의해 맺어지는 외인적(外因的)관계성을 지칭한다. 이규태는 이러한 3계층 중에서 일본인에게 발달한 인간관계 유형은 제 2의 인간 층이라고 보고 있다. 그는 더 나아가 구미인에게는 제 3의 인간층 즉 공공관계적 인간관계가 발달해 있으며, 한국사람이 낯선 사람과 결합하기 어려운 데는 제 2의 인간층 결속원인 의리가 발달되지 않은 데 있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상계서, pp. 90-103).
일본인의 ‘우리’관계인 ‘아마에’심리를 구성하는 요소인 ‘닌조’와 ‘기리’간의 관계는 앞서 한국의 ‘우리’와 ‘정’간의 관계와 매우 유사하다고 하겠다. Doi(1992)에 따르면 ‘기리’는 그릇이고 ‘닌조’는 그 속에 들어가는 내용물로 이 양자간의 관계를 규정하고 있다. 그는 사또오 타다오(1960)의 “의리는 무한히 인정을 지향한다”는 말을 인용하면서, 의리와 인정은 동전의 표리관계로 그 상호관계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국말의 ‘정’과 ‘우리’에 대응하는 일본인의 ‘우리의식-감정’인 ‘아마에’는 한국의 ‘우리’보다 수직적 상하간의 피동적 상호 의존관계를 그 핵심으로 하고 있다. ‘아마에’의 발생은 일본문화 특유의 모자관계에서 비롯되며, 일본의 자녀는 그 양육과정에서 어머니에 대한 감정적 의존과 애정을 받으려는 동기에서의 응석을 허용하고 조장하는 형태로 어머니에 의해 양육된다는 것이다(Lebra, 1976, pp. 50-60). 따라서 ‘아마에’감정은 수평적 관계보다 수직적 관계에 더욱 적합한 모형이며, 이러한 수직적 상호의존이 일본인의 제반 상하관계 즉 상사와 부하, 선배와 후배의 관계를 일본식 ‘아마에’ 관계인 ‘오야분’과 ‘고분’간의 관계로 특성 짓게 만드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고영숙(2009) - 일본인의 미의식과 패션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김은영 외 2명(2006) - 일본인 관광객의 쇼핑관광 구매속성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관광산업연구소
임영호(2011) - 일본인의 의식구조와 자기변혁, 대한민국국회
임성모(2011) - 1930년대 일본인의 만주 수학여행 : 네트워크와 제국의식, 동북아역사재단
여박동(1993) - 일본인의 여가의식과 여가문화의 특징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천세붕(1973) - 일본문화와 일본인의 기질, 일본문제연구소
  • 가격7,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7.2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43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