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의 조선사회, 일제강점기,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 8 15광복(8 15해방), 건국준비위원회,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 남로당결성, 3 1시위,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 3 10총파업, 인민해방군창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의 조선사회, 일제강점기,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 8 15광복(8 15해방), 건국준비위원회,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 남로당결성, 3 1시위,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 3 10총파업, 인민해방군창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의 조선사회

Ⅱ.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의 일제강점기

Ⅲ.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의 8 15광복(8 15해방)

Ⅳ.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의 건국준비위원회

Ⅴ.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의 남로당결성

Ⅵ.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의 3 1시위

Ⅶ.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의 3 10총파업

Ⅷ.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의 인민해방군창설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개해 갔다.
남로당 제주도위원회는 3월 5일 「 31사건 투쟁위원회」(위원장 金龍寬)를 결성한데 이어 3월 7일에는 각 읍면위원회에 「 제주 31사건 대책 투쟁에 대하여」란 지령서를 내려 보냈다. 경찰측의 자료에 의하면 이 지령서는 31사건 대책으로서 ①직장 총파업과 기타 투쟁방법의 지도 ②당외 투쟁조직으로서 남로당에 표면화되지 않은 인사로 31사건 대책위원회를 조직하여 당내 투쟁목표에 결부시켜 민중이 자발적으로 봉기한 것처럼 지도 선동 ③1947년 3월 10일 정오를 기하여 총파업 단행 ④발포책임자 강동효서장 및 발포경찰관 살인죄로 즉시처형 등의 절대적 조건과 ⑤각 직장별로 적당한 조건을 내세워 성명서 및 결의서를 작성하여 군정당국 및 관계당국자에게 제출케 하는 것 등으로 되어 있었다. 이런 전략에 의거, 3월 9일 각계 인사들에 의하여 「제주31사건 대책위원회」가 구성되었는데 그 위원장에는 우익진영의 홍순용(洪淳容)이 추대되었다.
3월 10일 31발포사건에 항의하는 총파업은 제주도청 직원들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날 정오 제주도청 직원 간담회가 열렸는데 이 간담회를 통하여 「31사건 진상조사단」에 진상보고를 요청하였으나 거절당하자 즉각 『31사건만은 도청직원들이 발포하는 현장에서 목격한 바도 있는 사건인 만큼 도민의 공복이 되는 관공리로서 더 이상 수수방관할 수 없다』면서 청원대회 소집을 요청하였다. 오후1시 박경훈 지사와 김두현 총무국장을 비롯한 1백 여 명의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청원대회에서 많은 직원들은 『31절 발포사건의 책임은 미군정과 경찰에 있는데도 애매한 주민들을 탄압하고 있다』고 지적, 부당한 조치들이 즉각 중지되고 도민들의 권익을 다시 찾기 위해서는 전면파업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였다. 이인구(李仁九)상공과장, 이태진(李泰珍)상공계장 등 몇몇 직원들이 『민생문제 해결이 시급한 실정에서 파업은 곤란하지 않느냐』고 반대의견을 비쳤지만 역부족이었다. 이날 청원대회에서 「제주도청 31대책위원회」를 전격적으로 구성하는 한편 하지중장과 제주도군정장관 스타우드 소령에게 보내는 6개항의 요구조건을 결정하고 『이 요구조건이 관철될 때까지 제주도청 청원 1백40명은 사무를 중지한다』는 파업 결의를 하였다. 6개항의 요구조건은 다음과 같다.
①민주경찰 완전 확립을 위하여 무장과 고문을 즉시 폐지할 것
②발포 책임자 및 발포경관을 즉시 처벌할 것
③경찰수뇌부는 인책 사임할 것
④희생자 유가족 및 부상자에 대한 생활을 보장할 것
⑤31사건에 관련한 애국적 인사를 검속치 말 것
⑥일본 경관의 유업적 계승활동을 지양할 것
제주도청 직원들은 또한 파업투쟁위원회를 조직, 그 위원장에 당시 산업국장이던 임관호(任琯鎬)에게 수락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날부터 도청을 시발로 각 직장마다 31사건 투쟁위원회를 결성해 파업에 돌입, 한국에서는 전무후무한 관공리 총파업이 전개되었다. 이 파업에는 비단 관공리만이 참여한 것은 아니었다. 각급 학교의 교사와 학생, 은행, 통신기관, 운송업체, 공장의 관리자와 노동자, 심지어 미군정청 통역과 일부 경찰들까지 참여하는 민관 합동의 대파업이었다. 10일에는 도청 이외에도 항무서, 측후소, 신한공사, 제주남일버스 등 운수업체, 제주농업중오현중제주중교원양성소의 교직원과 학생, 제주동남(南)북교 교직원들이 파업을 단행하였다. 11일에는 북군청, 제주읍사무소, 우편국, 식량사업소, 전매서, 무선국, 식량영단, 금융조합, 남진운수 등이, 12일에는 세무서, 세관, 통역단, 식산은행, 남전, 신한공사 농장, 생필품조합, 이용사회 등으로 확대되었다. 관공서, 학교, 단체 등 파업단체 대표들은 3월11일 파업의 효과적인 실효를 거두기 위해 연합적인 전선을 펴기로 하고 「제주읍파업단 공동투쟁위원회」(위원장 高禮龜)를 구성하였다.
파업은 비단 제주읍의 기관 단체뿐만 아니라 삽시간에 지방으로 번져 나갔다. 지방의 면사무소, 금융조합, 우편국, 각급학교 등이 파업에 참여하였다. 『제주경찰사』는 그 당시의 경찰자료를 인용, 도내 경찰 및 사법기관을 제외한 전직장이 총파업을 실시했다고 밝히고 있는데 파업 참여인원은 다음과 같이 166개 기관 단체에 4만1천2백11명에 이르렀다.
①제주도청을 비롯한 군읍면사무소 등 23개 기관 516명
②제주농업중 등 중학교 13개교 교직원 학생 3,999명
③제주북교 등 국민학교 92개교 35,861명
④제주우편국 등 우체국 8개소 136명
⑤제주여객 등 운수회사 7개 업체 121명
⑥식산은행 등 8개소 36명
⑦남전출장소 등 15개 단체 542명
Ⅷ. 제주도(제주특별자치도)의 인민해방군창설
1947년 6월 6일 남로당에 의한 최초의 살인테러, 만행사건 이후 남로당 제주도당 지도부 및 3ㆍ1파업 주동자 검거가 시작되자 최초 제주도의 공산당 조직을 맡았던 건준 및 인민위원회 위원장 오대진과 김택수 등은 일본으로 밀항 도피하였고, 3ㆍ1사건 주동자 안세훈은 목포경유 북한지역으로 들어감에 따라 1947.8 남로당 제주도 위원회는 군사체제로 돌입 인민해방군을 창설하였다.
위원장 : 김유환, 부위원장 : 조몽구, 조직부장 : 김달삼, 선전부장 : 김용관, 농민부장 : 이종우, 간부부장 : 현두길로 개편하고, 인민해방군 사령부를 두었는데, 사령관에 김달삼 기동대장에 이덕구를 선정하고, 그 산하에 25개 전투부대와 25개 직속부대를 편성, 한라산에 총지휘부를 설치하였다. 샛별오름 밑에 있는 들판에서 군사훈련을 시키면서 각 읍면에 1~2개의 유격중대와 자위대를 조직하고 무력 도발을 하기 시작했다. 이무렵 서북청년이 입도 경찰과 같이 남로당의 각종 불법 도발 사태 진압 당하였다.
참고문헌
김진영, 조선초기 \'제주도\'에 대한 인식과 정책, 서울대학교, 2002
양정심, 제주4·3항쟁에 관한 연구 : 남로당 제주도위원회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1995
정선영, 일제강점기 제주도 개량서당 연구, 제주대학교, 2007
현용준, 문화적 측면에서 본 광복 30년과 제주도, 제주특별자치도, 1975
홍석표, 1947년 제주도 3·1절기념 시위사건 연구, 제주산업정보대학, 1993
홍석표, 1947년 제주도 3·10총파업 사태 연구, 제주산업정보대학, 1994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7.3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73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