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기(일제시대, 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시대구분, 법제정비, 일제시기(일제시대, 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 민족주의사관, 식민지근대화론, 일제시기(일제시대, 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 공산주의운동, 민중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제시기(일제시대, 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시대구분, 법제정비, 일제시기(일제시대, 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 민족주의사관, 식민지근대화론, 일제시기(일제시대, 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 공산주의운동, 민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일제시기(일제시대, 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시대구분
1. 강만길
1) 1910
2) 3.1운동이후
3) 만주사변이후 일본패전
2. 김운태
1) 식민통치준비기
2) 식민통치형성기
3) 회유조정시기
4) 병참기지화시기
5) 전시동원기
3. 일본의 구분

Ⅲ. 일제시기(일제시대, 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법제정비

Ⅳ. 일제시기(일제시대, 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민족주의사관
1. 1910년대의 한국사학
2. 1920년대의 한국사학
3. 1930년대 ~ 1940년대 전반의 한국사학
4. 해방이후의 사학계의 흐름

Ⅴ. 일제시기(일제시대, 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식민지근대화론
1. 식민지 근대화론 논쟁
2. 식민지 근대화론 비판

Ⅵ. 일제시기(일제시대, 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공산주의운동

Ⅶ. 일제시기(일제시대, 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민중

Ⅷ. 결론

본문내용

공산주의 조직이 결성되었는데, 이들은 소련공산당 연해주 지부의 후원을 받았다. 이들은 조선공산주의 운동사에서 상해파로 불리는 파벌의 모태가 된 이 당은 1920년 8월경에 아무르주의 한인사회당과 마찬가지로 그 명칭을 한인공산당으로 바꾸었다. 당시의 혼란된 상황을 감안하면 무엇 때문에 소련공산당이 서로 다른 조직을 동시에 후원하게 되었는가를 이해할 수 있다. 어쨌든 이 두 조직의 경쟁관계는 결국 1921년 ‘자유시 사변’을 통해 이르크츠크파의 승리로 끝나고 말았다.
1920년대 초 한국 공산주의 운동은 간도와 연해주 지방에서 시발하여 곧이어 상해를 중심으로 한 중국으로 이어지고, 비슷한 시기 일본에 유학한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발생하였다. 1919년 31운동으로 일제가 조선에 대한 무단통치에서 이른바 ‘문화통치’로 전환하면서 국내에서의 조직적인 운동이 싹틀 수 있는 여지가 생기게 되었다. 국외에서 공산주의 이론을 습득한 활동가들은 이 공간을 틈타 국내에서 공산주의 운동을 벌이게 되었다. 그 결과 1925년부터 28년까지 네 차례의 조선공산당이 조직될 수 있었다. 그러나 1928년 4차 조선공산당이 와해되고 나서 국내에서의 공산당 조직운동은 명맥이 끊기게 되었다. 국내 공산주의 운동이 지속성을 갖지 못한 이유는 당시 코민테른(제3차 국제공산주의운동)도 지적한 바 있지만 이들 간의 종파투쟁이 극심했기 때문이었다. 해방 이후 김일성이 남로당을 포함하여 국내 공산주의자들을 비난할 때마다 제기했던 문제점이 바로 이들이 1920년대 종파투쟁에 관계했던 전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고, 이는 분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네 차례의 조선공산당은 각기 다른 파벌에 의해 조직되었으며 이들 간의 경쟁은 상대파에 대한 공격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견해는 사물의 한쪽 면만을 보는 시각이다. 당시 일제의 혹심한 탄압과 효율적인 사회통제를 고려한다면 공산주의자들이 지하에서 산발적으로 활동할 수밖에 없었던 까닭을 이해하기란 전혀 어렵지 않다. 일본 공산당 역시 수차례 조직되기는 했지만 한국 공산주의자들과 별반 다르지 않은 운명에 직면하였다. 완전한 식민지가 아니었던 중국의 경우만 공산주의 운동이 지속될 수 있었고, 결국에는 정권을 장악할 수 있었다.
Ⅶ. 일제시기(일제시대, 일제강점기, 식민지시대)의 민중
일제 식민지가 민중들에게 가져다 준 유일한 선물은 ‘가난’이다. 가난으로 인해 민중들은 삶의 희망을 잃고 사랑을 잃고, 가족을 잃고, 고향에서 떠밀리어 새로운 삶을 찾아가지만 거기에서도 기다리는 것 ‘가난’ 밖에 없다. 이처럼 ‘가난’은 식민지 조선에 닥친 가장 큰 민족의 문제였다.
서울에 살고 있는 김첨지라는 가난한 인력거꾼의 하루를 소재로 식민지 시대 도시 하층민의 가난과 슬픔을 그리고 있는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에서 인력거꾼 김첨지의 굶주린 삶은, 일반 민중의 가난을 대표한다. 모처럼 운수가 좋아 정신없이 뛰어다니다 보니 시간이 늦어 돌아와서는 이미 죽어버린 아내를 마주해야 하는 비극적인 운명은 식민지 하에서 고통 받는 우리민족의 일반적인 삶의 모습이다.
가난은 생존의 문제뿐만 아니라 인간의 윤리의식 까지도 파괴해 들어가는데 김동인의<감자>에 잘 나타나 있다. 비교적 규모있는 도덕의식을 지닌 한 여인이 기구한 운명에 처하여 차츰 타락하고 드디어는 거지의 신세로 전락하여 매춘과 같은 도덕의 이방지대를 헤매다가 살해되는 이야기로 가난 때문에 도덕과 윤리를 내 던질 수밖에 없는 식민지 조선의 참담한 농촌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가난 때문에 정든 고향을 버리고 새로운 삶을 찾아간 이주민의 삶에서 가난은 떼어버릴 수 없다. 최서해의 <탈출기>의 주인공 박군은 절박한 고향 생활에서 벗어나서 간도로 이주하여 황무지를 개간하여 안정적인 삶을 살기 위해 뼈가 부서지고 살이 찢어지도록 충실하게 노력하지만 그에게 남는 것은 가난과 모욕과 멸시뿐이다. 그러다가 자신이 닥친 가난이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 자신에 항상 그러한 상황에 처하도록 만든 잘못된 사회제도의 부조리에서 기인함을 깨닫고 독립운동에 투신한다.
결국 식민지 하에서 민중들을 가난으로 내몰고 있는 것은 민중들의 무지나 게으름이 아니라 식민지 사회 그 자체이고 이 사회 자체가 극복되지 않고서는 민중들의 ‘가난’ 문제는 해결될 수 없음을 식민지 민중들은 차츰 깨달아 가고 있었다.
Ⅷ. 결론
일본은 1592년 임진년 4월, 20여만 명의 병력을 동원하여 조선을 침공하였으나, 전국의 의병승병과 해전에서 대패하는 등의 민족적 항전으로 인해 실패하여 물러갔다. 그러나 조선침략의 야욕을 버리지 않고, 군비증강에 전력하여 전쟁을 준비하였다.
1894년 우리 민족의 자주적 개혁인 동학혁명이 일어나자, 이를 진압한다는 구실로 일본은 군대를 파병하여 잔학하게 동학농민군을 학살하고 각종 이권을 탈취하여 조선을 침략할 발판을 마련하고, 1905년 ‘을사늑약’으로 우리 민족의 주권을 강탈한데 이어 마침내 1910년에는 강제로 병탄하였다.
외세에 의존한 나약한 집권층에 의해 국권은 빼앗겼지만, 이 땅의 주인인 민중들에 의해, 700여년 자주자립한 고구려정신과, 고려의 대몽항전조선중기 임진왜란의 민족적 항전동학혁명항일운동으로 민족의 항쟁정신이 계승되어 나라의 자주독립을 위한 횃불이 되었던 것이다.
일본은 수백 년 동안 끊임없이 우리를 침략하였고, 식민지배를 통해 우리의 민족혼을 말살하려 하였는데도, 우리는 역사를 올바르게 정립하여 교훈을 얻는 것과 식민정책(민족혼 말살, 민족분열)의 치유와 독립정신의 계승에 너무 소홀하여 왔다.
참고문헌
- 국성하, 일제 강점기 사회교육의 의미와 사회교육체제 형성, 연세대학교교육연구소, 2002
- 김강녕, 국난의 교훈과 국가안보 : 일제강점기 이후,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4
- 김민환, 일제 통제, 민중 불신으로 언론운동 좌절 :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한국언론진흥재단, 2000
- 이만열, 일제 식민지 근대화론 문제 검토, 문화체육관광부, 1997
- 이유용, 일제 강점기 이후 독립운동의 전개, 박약회대구지회, 2010
- 이근혜 외 1명, 일제강점기 근대 문화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
  • 가격6,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91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