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개념, 성격,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연구, 증언,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진압,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미국개입,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제주도위원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개념, 성격,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연구, 증언,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진압,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미국개입,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제주도위원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개념

Ⅲ.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성격

Ⅳ.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연구

Ⅴ.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증언

Ⅵ.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진압
1. 4월 3일부터 4월 중순까지(진압부대 : 제주비상경비사령부, 경찰 및 우익청년단)
2. 4월 중순부터 5월 15일(진압부대 : 제 9연대, 경찰, 우익청년단)
3. 1948년 5월 15일부터 7월 23일(진압부대 : 11연대, 경찰, 우익청년단)

Ⅶ.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미국개입

Ⅷ. 제주 4 3사건(제주 4 3항쟁)의 제주도위원회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되었다.
Ⅸ. 결론
수백 년 묵은 팽나무, 할머니, 어린 소년의 땅, 제주.
백두의 기상이 태백대간을 타고 뻗쳐 흐르다 우뚝 솟아 오른 한라.
고려 태조 20년(938) 고려에 투항함으로써 독자적 공동체를 잃고, 마침내 고려 의종 7년(1153) 중앙정부에서 지방관이 파견됨으로써 중앙 정부의 지배체제에 편입되다.
이로부터 제주 민중은 중앙 정부와 지방 지배세력으로부터 이중의 수탈을 당하게 된다. 따라서 몽골의 제주 침입 후 거기에 끝까지 맞서 싸웠던 김통정의 삼별초 군이 고려 원종 11년(1271) 제주를 내침해 왔을 때 제주 민중의 반응은 그렇게 호의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제주 민중에게 있어 그들 또한 항파두리 성의 축조 등을 강요한 수탈자였던 것이다.
그러나 그로부터 2년 후 제주를 내침한 여ㆍ몽 연합군은 수탈자를 넘어선 학살자였다. 병선 160여 척에 수륙 1만여 명의 군을 동원한 김방경의 학살자들은 삼별초 군뿐만 아니라 제주 민중까지 공격하였다. 더구나 그들은 삼별초 군을 진압한 후 일본 원정을 떠나면서 제주의 청ㆍ장년을 대규모로 끌고감으로써 항쟁의 최후 근거지였던 제주도의 민중에게 철저한 보복을 가하였다.
일본 원정이 태풍 등의 이유로 실패하였을 때 제주의 청ㆍ장년 역시 거의 전멸하고 말았다.
일본, 그 이후로 제주와 악연을 맺다. 왜구의 창궐, 외침. 고려 충혜왕 2년(1341)부터 200여 년 이상 끊임없이 제주를 침략하여 제주 민중을 납치, 학살하다. 특히 조선 명종 10년(1555) 6월에는 60여 척의 병선으로 제주를 침입하는 등 그 창궐이 극에 이르다.
이에 제주 민중은 도내 각처에 환해장성을 축조하고 봉수대와 연대(烟臺)를 설치하여 왜구의 침략 동향을 감시하면서 대비하였고, 침략 시에는 생존을 지키기 위한 처절한 투쟁을 계속하였다.
이럼에도 한시도 빠지지 않은 중앙 정부와 지방 지배세력의 가혹한 수탈, 여기에 저항하는 제주 민중의 삶을 지키기 위한 치열한 용트림. 수없는 민란.
더불어 조선의 개항 이후 덧붙여진 제국주의의 침략.
프랑스 제국주의, 선교를 빙자하여 제주 민중의 수탈자로 등장하고, 민중들 마침내 폭발하다.
조선의 개항 후 조선을 둘러싸고 타 제국주의 세력과 경합하던 프랑스의 조선 침략 방식의 특징은 천주교를 앞세우고 감행되었다는 데에 있었다. 즉 이 당시 프랑스는 ‘(아시아 제국의) 식민지화 또는 해외시장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수단이며 정치적 무기\'로서 천주교의 선교를 적극 활용하였다. 이러한 성격의 천주교가 제주도에 전래된 것은 1899년으로 1901년에 이르면 영세자가 242명, 예비신자가 약 700명에 이를 정도의 교세 확장을 달성하게 되었다. 천주교의 이와 같은 급격한 교세 확장의 배경에는 신부의 권위를 앞세운 정치적 특권과 봉세관과의 결탁에 의한 경제적 특권이 작용하고 있었다.
즉 신부의 치외법권에 따른 정치적 특권에 빌붙은 무리들과, 당시 새로이 시행된 수취제도에 따라 지방 지배 세력을 대신하여 수취권을 대행하는 경제적 특권을 누리려는 무리들이 대거 천주교에 입교하였고, 이 결과로 천주교도와 제주 민중간의 충돌이 빈발해지기 시작하였다.
이제 제주도에서 천주교는 농민에게는 봉건적 수탈자로서, 상인에게는 상권을 빼앗으려는 침략자로서, 지방 지배 세력에게는 수취권을 빼앗은 새로운 지방 지배 세력으로서, 또 토속적 신앙이 강한 부녀자에게는 종교적 침략자로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제주 민중은 1901년 이재수를 중심으로 조직적인 무장투쟁을 감행하여 제주성을 점령한 다음 민중의 원성의 대상이었던 천주교도를 타도하며 약 5~6백여 명을 숙청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프랑스 제국주의는 ‘알루에뜨\'와 ‘쉬프리즈\'라는 두 척의 군함을 보내 함포 사격을 가하면서 제주 민중을 협박하였고, 중앙 정부 또한 강화 수병을 파견하여 협박하기 시작하니, 제주성 점령 이후 투쟁의 지도 원리, 투쟁 대상, 노선 등을 둘러싼 갈등으로 내부 분열을 일으키고 있던 봉기군은 결국 그 해산을 조건으로 일체의 세폐 및 교폐를 혁파할 것, 봉기 가담자의 죄를 문책하지 않을 것 등을 내용으로 하는 화해에 응하게 되었다.
그러나 정부와 프랑스 제국주의는 그 약속을 어기고 이재수ㆍ오대현ㆍ강우백 등 13인의 지도자를 서울로 압송하여 처형하였고 6,315원의 배상금을 제주 민중에게 부과하는 등 정치ㆍ경제적인 보복을 단행하였다.
제국주의 일본, 조선 침략의 초기 단계부터 자본의 원시적 축적 단계 특유의 노골적인 폭력성을 유감없이 발휘하다. 조선을 강제로 병합한 이후, 36년 동안 자국 자본을 살찌우기 위해 ‘토지조사사업\', ‘산미증산계획\', ‘병참기지화 정책\' 등으로 조선 민중의 농업과 산업 및 자원을 철저히 수탈하고, 무단정치와 기만적인 문화정치로 조선 민중을 철저히 억압하다. 나아가 노예화교육, 황민화운동, 징병ㆍ징용, 정신대, 종군위안부 강요 등을 통해 조선 민족 자체를 없애버리려 하다.
미증유의 가혹한 식민지 지배정책으로 민중들 파탄에 이르다.
헤겔은 어딘가에서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동방에서는 한 사람만이 자유로웠는데 지금도 그렇다.
그리스 로마에서는 몇 사람이 자유로웠다.
게르만 세계에서는 모든 사람이 자유롭다.
마르크스는 어딘가에서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아시아적 봉건 사회에서는 한 사람만이 자유로웠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몇 사람이 자유롭다.
사회주의 사회에서는 만인이 자유로울 것이다.
그러나 헤겔도 마르크스도 다음과 같이 각주 붙이는 것을 잊어 버렸다,
식민지 사회에서는 단 한 사람도 자유롭지 못하다고
참고문헌
김상기(2008), 폭력 메커니즘과 기독교 담론윤리 구상 : 제주4·3 사건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박찬식(2012), 제주4,3사건 관련 행형자료와 형무소 재소자,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박영기(2010), 구술 자료를 활용한 역사 수업 방안 : 제주 4·3 사건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연정(2008), 제주 4·3 사건의 문학적 재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이정석(2008), 제주 4·3사건을 기억하는 두 가지 방식, 한국어문학회
현혜경(2008), 제주4·3사건 기념의례의 형성과 구조, 전남대학교
  • 가격7,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8.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23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