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균여전』을 통해 살펴 본 향가의 성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유사』,『균여전』을 통해 살펴 본 향가의 성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향가란 무엇인가?

2. 기록을 통해 본 향가의 성격

3. 현전향가 25수에 적용해 본 향가의 성격

4. 맺음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격을 지니고 있는데 예로부터 이러한 주술적인 성격은 귀족에게보다는 서민과 더 밀접하게 관련을 짓고 발전하여 왔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주능을 가진 처용이 벼슬을 하고 있는 용의 아들이라고는 하나 한 아내의 남편으로써의 심리가 묘사되어 있고 주술적인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 성격을 서민적이라고 규정하겠다.
15)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균여(均如)
<보현십원가>는 균여대사가 총괄제목을 정해놓지 않았기 때문에 <普賢十種願往歌(보현십종원왕가)>라고도 하는데,『均如傳(균여전)』에 실려 전하는 11수의 향가를 가리키는 것이다. 작품을 차례대로 보면 ,<예경제불가>는 모든 부처에게 두루 절하자는 내용이고,<칭찬여래가>는 석가여래를 칭송하는 내용이며,<광수공양가>부처를 공양하는 공덕을 널리 닦자는 노래이다. <참회업장가>는 잘못을 저질러 그릇친 바를 참회하자는 내용이고,<수희공덕가>는 다른 사람이 공덕을 닦는 것을 기뻐하자는 내용이며,<청전법륜가>는 법륜을 굴려서 설법해주기를 청원하는 노래이다.<청불왕세가>는 부처가 항상 세상에 머물기를 바라는 내용이고,<상수불학가>는 항상 부처를 따라 배우자는 내용이며,<항순중생가>는 항상 중생의 뜻을 따라주자는 내용이고,<보현회향가>는 스스로 닦은 공덕을 모든 이에게 돌려주자는 내용이며,<총결무진가>는 ‘보현행원품(普賢行願品)’의 결문을 제재로 한 결사로서 끝없는 사연을 마무리하는 노래로 삼고 있다. 이 작품은 작자 균여가 화엄경(華嚴經 )의 ‘보현행원품’에 실린 보현보살의 십대원(十大願)을 노래로 옮긴 것으로, 서정성을 순수하게 지니지 못하고 불교적 교화의 목적으로 지은 본격적인 불찬시가이다. 그러나 같은 불교적인 내용이면서도 『三國遺事』에 실려있는 작품과는 성향을 분명히 달리 하고 있다. 그러나 불교의 대중화를 위해 당시에 유행하던 사뇌가로 지었다는 사실과, 향가의 형태가 고려초까지 지속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작품은 불교의 경전을 노래로 바꾼 것이라서 특정한 성격을 부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특수한 목적, 즉 교화라는 목적성을 지닌 작품이라는 점에서 귀족적인 성격을 지녔다고 규정하겠다.
4. 맺음말
지금까지 향가의 성격을 서민적 성격과 귀족적 성격으로 나누어 작품에 반영해보고 분석해 보았다. 그러나 이 두 가지 특징만으로 현전하는 모든 향가의 성격을 규정하기란 매우 어렵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처음부터 향가의 성격에 대해 너무 좁게 들어 간 탓이었는지 내가 규정지은 성격으로 향가들을 분석하다 보니 어떠한 작품은 억지로 성격을 규정짓게 되기도 하였다. 많은 문헌들을 참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장르의 성격을 규정짓기란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을 이번 과제를 통해 알게 되었다. 모든 작품의 내용과 관련설화를 자세하게 알고서도 향가의 성격을 규정하기가 어려울 텐데 짧은 시간에 개개의 작품도 자세하게 분석하지 못한 채로 성격을 규정지으려 했으니 더 어려움이 따랐을 것이라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과제를 통해서 알게 된 향가의 성격은 인간의 심리에 초점을 많이 두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고, 또한 우리가 흔히 생각했던 귀족적 성격을 지닌 문학만은 아니라는 사실이다. 흔히 향가가 있었던 시기가 신라와 고려초기인만큼 이 시기의 시대적 성격을 볼 때 향가라는 문학작품을 쓰기 위한 향찰을 쓸 수 있었던 계층이 상류층이 많아 당연히 귀족적 성격을 지녔을 거라고 생각했었는데 그 내용 하나하나를 살펴보니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향가의 성격분석에서는 그 규정지은 것이 부족하여 안타까운 생각이 들지만 향가라는 장르에 조금이나마 가깝게 다가갈 수 있었고, 기존에 인식하고 있었던 생각을 바꿀 수 있었던 좋은 계기가 된 점에 이번 과제의 의의를 두려고 한다.
※참고문헌
- 『韓國詩歌文學史(한국시가문학사)』 박을주 지음, 아세아문화사, 1997
- 『향가에 나타난 서민의식』이웅재 지음, 백문사, 1990
- 『한국문학통사』조동일 지음, 지식산업사, 1994
- 『한국 고전시가 문학의 분석과 탐색』 나정순 지음, 역락, 2000
- 『향가문학론과 작품연구』 나경수 지음, 집문당 , 1995
- 「均如傳의 鄕歌硏究(균여전의 향가연구)」,조평환 , 건국대학교, 1984
- 「삼국유사 소재 향가 연구: 기이편과 감통편을 중심으로」나정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문학회, 1992
- 「鄕歌의 장르的 性格考」, 전규태,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76
※참고사이트
http://blog.daum.net/9331oo (네이버 블로그)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8.22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5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