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사뇌가)의 개념, 성격 고찰과 향가와의 적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향가(사뇌가)의 개념, 성격 고찰과 향가와의 적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향가(사뇌가)의 개념, 성격 고찰과 향가와의 적용


■ 머리말

■ 본문
1. 향가 혹은 사뇌가의 성격
1-1. 其意甚高
1-2. 詞淸句麗
1-3. 意精於詞 故云腦
1-4. 羅人尙鄕歌者尙矣 蓋詩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
1-5.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

2. 밝혀낸 향가의 성격을 현전 향가 26수에 적용하여 설명해보자.
(아래에 나오는 향가(사뇌가)의 순서는 현전 향가 일람표의 순서를 따름을 밝힙니다.)
2-1. 서동요(薯童謠) - 서동(百濟 武王)
2-2. 혜성가(彗星歌) - 융천사
2-3. 풍요(風謠)- 萬姓 男女
2-4. 원왕생가(願往生歌) - 광덕(廣德)
2-5.모죽지랑가 - 득오(得烏)
2-6.헌화가(獻花歌) - 어느 老人
2-7.원가(怨歌) - 신충
2-8.제망매가 - 월명사(月明師)
2-9.도솔가(兜率歌) -월명사(月明師)
2-10.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충담사(忠談師)
2-11. 안민가(安民歌) - 충담사(忠談師)
2-12. 천수대비가(千手大悲歌) - 희명
2-13. 우적가(遇賊歌) - 영재(永才)
2-14. 처용가 - 처용(處容)
2-15.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고려 균여
2-16. 도이장가(悼二將歌) - 예종(睿宗)

■ 맺음말

■ 참고문헌
■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목격하고도 분노가 아닌 관용의 태도를 보여주는 것에서 처용가의 미학이 드러난다. 단순히 문장 자체가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 것이 지니고 있는 의미에서도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역신이 이러한 처용의 모습을 보고 감동하여 자신의 얼굴이 그려진 집에는 나타나지 않겠다고 하여 역신을 막기 위하여 집집마다 처용의 얼굴을 걸게 했다는 것에서 서민성이 드러난다. 서민들의 삶에 영향을 끼치게 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2-15.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고려 균여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는 고려 초 균여대사(923-973)가 지은 11수의 10구체 향가다. 균여대사가 불교의 대중화를 위해 화엄경의 보현보살 열 가지 행원에다 낱낱이 향가 한수씩을 짓고, 11장은 그 결론으로 된 사뇌가이다. 고려 제4대 광종 연간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이글은 해인사 장경판으로 전하는 '균여전'에 향찰로 기록되어 있다. 보현십원가에 실려 있는 11수의 노래들의 제목과 내용을 차례대로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禮敬諸佛歌(예경제불가)> - 여러 부처에게 두루 절하자는 노래
<稱讚如來歌(칭찬여래가)> - 여래를 칭송하자는 노래
<廣修功德歌(광수공덕가)> - 부처 공양하는 공덕을 널리 닦자는 노래
<懺悔業障歌(참회업장가)> - 스스로 잘못을 저질러 그르친 바를 참회하자는 노래
<隨喜功德歌(수희공덕가)> - 다른 사람이 공덕 닦는 것을 기뻐하자는 노래
<請轉法輪歌(청전법륜가)> - 법륜을 굴려서 설법해주기를 부처에게 청하자는 노래
<請佛住世歌(청불주세가)> - 부처가 항상 세상에 머물기를 바라자는 노래
<常隨佛學歌(상수불학가)> - 항상 부처를 따라 배우자는 노래
<恒順衆生歌(항순중생가)> - 항상 중생의 뜻을 따라주자는 노래
<普皆廻向歌(보개회향가)> - 스스로 닦은 공덕을 모두 다른 사람에게 돌려주자는 노래
<總結無盡歌(총결무진가)> - 두어서 끝없는 사연을 마무리하는 노래
이상의 보현십원가의 11수에서 볼 수 있듯이 11개의 작품 모두가 철저히 불교적인 특징이 가장 뚜렷하고 주된 성질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균여가 이 노래를 불교 전파를 위해 지은 것이니 만큼 서민(대중)들에게 많이 읽히고 실현될만한 내용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것도 볼 수 있다. 하층민에게 교리를 퍼트리기 위한만큼 균여는 한문 경전을 읽을 수 없는 사람이라도 그 요점을 이해하고 마음에 새겨둘 수 있게 하기 위해 사뇌가를 지었다. 때문에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에서도 사뇌라는 것이 세상 사람들이 희롱하며 즐기는 도구라고 표현한 것이다.
2-16. 도이장가(悼二將歌) - 예종(睿宗)
主乙完乎白乎 님을 올오온
心聞際天乙及昆 믄 하늘 밋곤
魂是去賜矣中 넉시가
三烏賜敎職麻又欲 사샨 벼슬마 져
望彌阿里刺 라며 아리라
及彼可二功臣良久乃 그 긔 두 공신여
直隱跡烏 오라나 고
隱現乎賜丁 자최 나토샨뎌
도이장가는 예종 15년 왕이 서경에 행차하여 팔관회가 열렸을 때, 그 자리에 개국공신 김락과 신숭겸의 가상희를 보고 왕이 두 장군에 대한 추모의 정을 이기지 못하여 지은 노래이다. 예종이 이 노래를 지은 것은 국초의 공신들이 목숨을 바쳐 충성을 다한 것을 추도하고 칭찬함으로써 신하들로 하여금 충성을 다하도록 하여 나라를 튼튼히 하고 싶은 심정을 포함한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점들을 미루어 볼 때 먼저 김락과 신숭겸을 기리기 위한 작품이었다는 점에서 추모적 성격이 두드러지고 나라를 잘 다스리고자 하는 마음에서 서민적 성격을 찾을 수 있다.
■ 맺음말
지금까지 삼국유사와 균여전에 나오는 용어들과 그 용어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향가 혹은 사뇌가의 성격과 현존하는 향가 26수에 그 성격을 적용하여 보았다. 현존하는 향가의 수가 너무 적어 연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교수님 말씀이 있어서 그랬는지 몰라도 이번에 향가에 대해 공부하면서 다른 시대의 작품들에 비해 현저히 적은 작품 수를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특히 균여전의 11수 사뇌가가 전부 불교적 색채를 강하게 지니고 있는 내용을 직접 확인해 볼 수 있었고 향가와 사뇌가의 개념이 어떻게 다르고 어떻게 같은지를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 참고문헌
三國遺事 新譯 / 일연, 1206-1289 / 태학사 / 1994
한국문학통사 제3판 / 조동일 / 지식산업사 / 2002
고전 문학의 이해와 감상 1 시가편 / 정경섭 엮음 / (주)문원각 / 2003
한국고전문학과 세계인식 / 임기중 / 역락 / 2003
■ 참고 사이트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네이버 백과사전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8.24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7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