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 혹은 사뇌가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향가, 혹은 사뇌가에 관한 고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향가, 혹은 사뇌가에 관한 고찰 -

ⅰ. 서론
1. 향가와 사뇌가에 대한 개념정리

ⅱ. 본론-1
2. 용어의 정리 ( 향가의 성격을 규정하는 근거 용어정리 )
1. 其意甚高
2. 詞淸句麗 의뜻은…
3. 意精於詞 故云腦
4. \\"羅人尙鄕歌者尙矣 蓋詩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
5.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

본론-2
3. 향가의 성격을 규정하는 용어의 정리를 통한 향가 25수의 분석
3-1 ‘其意甚高‘ 향유 계층과 그 문학적 깊이에 관한 성격.
3-2. ‘ 詞淸句麗’ 는 사뇌가의 문학적 아름다움과 형식적 (노래로의) 성격 .
1-1 사뇌가의 내용미
1-2 사뇌가의 문학적 아름다움
1-3 노래라는 형식의 사뇌가
3-3. ‘意精於詞 故云腦’는 사뇌가의 메시지성과 그 정신적 감화력에 관한 성격과…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작품이름
원문의 分節수
해독문 구수
1
서동요
3
4
2
혜성가
10
10
3
풍요
4
4
4
원왕생가
9
10
5
모죽지랑가
9
8
6
헌화가
3
4
7
원가
8
8
8
제망매가
9
10
9
도솔가
3
4
10
찬기파랑가
11
10
11
안민가
9
10
12
도천수대비가
11
10
13
우적가
7
10
14
처용가
0
8
15-25
보현십원가
11
10
26
도이장가
8
8
위를 표를 참고로 하여 사뇌가의 형식미에 관한 이야기는 三國遺事와 均如傳을 가지고 살펴 볼 수 있는데 여기서는 사뇌가를 띄어쓰기를 하지 않고 썼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유독 鄕歌만 띄어쓰기가 되어있는데 이는 鄕歌가 노래와 같은 마디를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즉 鄕歌가 노래라는 것을 짐작하게 해준다. 또한 각 鄕歌는 分節을 가지고 있고 해독 문으로 구수를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처용가와 같은 鄕歌는 원문에 分節이 되어있지 않으나 그 내용상 구를 分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은 축사와 벽사 진경에 대해 노래한 후 자신의 심정에 대해노래하고 있기 때문에 鄕歌는 노래의 성격과 형태를 지녔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동요에서도 그 배경 설화에 서동이 아이들에게 마를 주고 노래를 지어 불렀다는 대목에서 서동요가 사뇌가이면서 동요 즉 노래의 형태로 불리어 졌음을 알 수 있고 이 점이 사뇌가의 이러한 특성을 잘 보여준다 하겠다.
3-3. ‘意精於詞 故云腦’는 사뇌가의 메시지성과 그 정신적 감화력에 관한 성격과
"羅人尙鄕歌者尙矣 蓋詩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는 사뇌가의 주술적 성격과 함께 그런 사뇌가의 성격과 더불어 숭배 대상으로의 사뇌가의 성격
번호
작품이름
성격과 목적
1
서동요
개인적
2
혜성가
주술적
3
풍요
노동요
4
원왕생가
내세적 불교
5
모죽지랑가
개인적 추모
6
헌화가
개인적 사랑
7
원가
주술적
8
제망매가
개인적 추모
9
도솔가
주술적
10
찬기파랑가
화랑에 대한 추모
11
안민가
백성을 가르치는 치국안민
12
도천수대비가
주술적
13
우적가
주술적
14
처용가
주술적
15-25
보현시원가
부처님을 찬양
26
도이장가
개인적
사뇌가는 앞서 밝힌 바와 같이 마디가 있는 노래로 볼 수 있다 하였다. 그렇다면 ‘意精於詞 故云腦에서 볼 수 있는 정신적 감화력와 그 메시지 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논의해 보아야 하는 것일까? 옆에 표를 참고로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사뇌가는 그 성격이 분명하고 목적성이 있는 노래라는 점에서 메시지 성이 있다는 논의는 충분히 타당성이 있다. 즉 그것이 서동요와 같이 개인의 서정을 노래해서 예언적 기능을 수행하거나 안민가와 같이 백성을 가르치는 역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예로 알아 볼 수 있는데 목적성이 분명하다는 것은 그만큼 그것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가 분명하다는 것이다. 또한 정신적 감화력은 많은 이들에게 노래로 혹은 문학작품으로 불러지고 알려지기 위해서는 정신적인 감화가 이루어져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
이점에 있어 다음 발췌문을 참고 하도록 한다.
이는 〈月明師 兜率歌〉조에서,
신라에서 향가를 숭상하는 이가 많았으니 대개 詩, 頌과 같은 것이었다. 그러므로 왕왕 하늘과 땅을 움직이고 귀신까지도 감응시킨 일이 한 두번이 아니다.
고 적은 데서 확인된다. 이 부분은 일연이 객관적 입장에서 향가의 효능을 기술했다기 보다 그 노래의 가치를 주관적으로 인정하고 동의한 데서 나왔다고 보아야 한다. 천지귀신까지 감동케 한다는 말은 균여가 행한 여러 이적과 이를 기록한 혁련정의 입장을 연상케 한다.
여기서 보여 지는 대로 향가는 메시지 성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그 메시지 성이 종교적 혹은 샤머니즘적 요소와 함께 주술적 역할까지 수행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지금까지 三國遺事와 均如傳에 用語 ‘羅人尙鄕歌者尙矣 蓋詩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 詞淸句麗’, ‘意精於詞 故云腦’, ‘基意甚高’ 를 가지고 향가와 사뇌가의 성격을 파악하고 그 차이점을 알아보았고 정리한 용어들의 개념들을 현전하는 향가 26수에 적용해 보았다.
여기서 그 특징과 성격을 앞서 서론에서 살펴보았으나 더 간단히 이야기 하자면 향가는 민요와 노래 가락을 포함하는 구전의 형식을 가진 모든 향가(시골노래)를 포함하는 개념이고 사뇌가는 좀 더 구체적인 향가의 개념일 것으로 추측된다.
즉 향가는 신라인들에 의해서 불려 졌던 노래 모두를 의미하며 특유의 성격과 목적을 가지고 있어 향가를 통해서 정확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정신적 감화의 기능과 함께 주술적 기능을 수행했으리라 추측해 볼 수 있고 내용상에서 보면 개인적 서정적, 치국안민, 추모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同和의 성격을 갖췄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뇌가는 음악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앞서 본론에서 밝힌 사뇌가의 노래로의 형식을 보면 알 수 있듯 서동요와 같은 예로 그 사실을 알아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서 논의되어지지는 않았지만 10구체 향가로 가면 형식적 특징이 드러나는데 이는 긴 음악이 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길이 때문에 후렴구와 같은 역할을 하는 ‘아아’ 와 같은 감탄사가 생겼을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향가는 백성들이 부르기 쉽고 널리 퍼질 수 있는 음악성과 더불어 교훈적 측면도 강조 되어왔는데 이는 창작자의 계층이 지배층일 수밖에 없음을 시사한다.
동시에 앞서 향가의 성격으로 밝혔던 精, 淸, 麗, 高 라는 것이 이러한 것을 만족시킨다. 즉 사뇌가가 미적 수준이 높은 노래라고 할 때 지적수준이 높은 지배계층이 창작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을 하게 되며 이것을 교훈을 전달하는 목적으로 퍼뜨렸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사뇌가의 내용은 치국안민, 불교숭상, 화랑추모 등의 내용이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향가보다는 보다 구체적인 사뇌가라는 명칭이 더 타당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1. 현전향가 일람표
2. 현전 향가 25수
3. 詞腦歌 樣式의 考察/ 黃浿江
4. 향가의 개념과 한국시의 구조/ 엄국현
5. 향가의 형성과 본질/ 손종흠
6.균여 향가의 문학적 가치/ 손종흠
7.詞腦歌의 型式과 그 槪念/예창해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21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3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