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여전ㆍ삼국유사에서 찾아 본 향가(사뇌가)의 성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균여전ㆍ삼국유사에서 찾아 본 향가(사뇌가)의 성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향가 논의의 전제

2. 균여전 속의 사뇌가

3. 삼국유사 속의 향가

Ⅲ. 결론

본문내용

목과 무기는 바로 이 깨끗함이다. 그러나 이상과 청렴만으로는 아직 완벽한 지도자가 될 수 없다. 그래서 노래의 마지막에 ‘잣나무 가지 높아 서리 모를 화랑이여’라고 언급하였다. 서리를 무서워하지 않고 한 해 내내 푸르고 곧은 잣나무의 모습은 어떤 고난도 물러서지 않고 끝까지 이겨내는 고난 극복의 불굴의 의지다. 이 향가가 중단되지 않고 계속 전해지는 것은 이 노래를 부름으로써 기파랑의 기상을 지닌 지도자가 나타나기를 바라는 염원이 담겨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8) 안민가
안민가는 다른 대부분의 작품이 불교적인 것에 비해 유교적인 내용을 가지고 국태안민의 이념을 밝힌 교훈성이 강한 작품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주술적, 불교적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주술적이라는 의미는 경덕왕이 전통적인 주력(呪力)관념을 가지고 치국의 방법을 노래로 짓게 하였다는 것이다. 또 불교적이라는 말은 경덕왕이 불교를 숭상하였고, 왕권 강화책으로서 만행과 만덕을 닦아 덕과(德果)를 장엄하게 하는 화엄사상을 신봉하였다는 점과 작가가 승려라는 점 때문이다.
9)도천수관음가
도천수관음가는 분황사 벽면에 그림으로 그려진 천수대비에게 빌고 그 자비심을 얻어 눈을 뜨게 된 불상의 영험담이다. 불교는 우리 민족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왔는데 그 중 가장 민중과 가까웠던 불교사상이 관음사상이다. 따라서 관음보살은 우리 민중에게 가장 가까이서 가장 크게 영향을 준 가장 큰 부처이다. 우선 일연이 이 작품을 기록한 이유는 무엇보다 관음사상의 불력을 알리는데 있다. 그리고 중생이게 관음을 알게 함으로 번뇌를 물리치고 행복을 맞이할 수 있음을 가르치는데 목표가 있다.
관음보살이 부처가 되려는 진정한 목적은 극락정토에 왕생한다거나 성불 그 자체가 아니고 세속에 있는 중생의 구원에 그 목표가 있다. 관음보살은 천개의 눈과 손을 가졌는데 이는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구원받을 중생을 두루 살피고 구원을 청하는 중생을 돕기 위해서이다. 희명의 아이는 천수대비에게 빎으로써 구원을 받게 된 것이다. 여기서 아이의 눈이 밝아졌다는 것은 말 그대로 육신의 눈이 밝아졌다고도 할 수 있지만 더 높은 세상으로 진입하여 더 행복하게 살아가는 눈을 얻게 되었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이런 이야기는 민중들을 더욱 불교에 정진하도록 만든다.
10)우적가
우적가는 자신을 되돌아보는 자성과 도적들에게 선업을 권고하고 있는 교화의 노래이다. 도적들이 영재의 이름을 듣고 향가를 지어달라고 청한 것은 그 만큼 영재가 산 속의 도적들에게까지 이름이 알려질 만큼 향가를 잘 지었다는 것을 말한다. 도둑은 향가를 듣고 크게 감동하여 영재에게 비단 2필을 주었으나 영재는 재물은 지옥으로 가는 근본이라며 거절했다. 도둑은 이에 또 감동하여 그를 따라 승려가 되었다. 원문 가운데 누락된 글자가 있어서 정확한 해석은 어려우나, 그 내용은 재물에 눈이 어두운 중생에게 인생의 참뜻과 바른 길을 제시하여 자신을 수련하며 참되게 살아가라는 불교적 교훈이 담겨 있는 향가라고 볼 수 있다.
11)처용가
처용가는 종교적, 역사적, 축사 및 벽사진경의 시각으로의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 이중에서 사악한 귀신을 물리치는 축사와 사악함을 물리치고 경사를 맞이한다는 벽사진경의 노래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술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벽사진경을 위해 처용의 가면을 대문에 걸어두는 신라시대의 풍습과도 연관이 있다. 또 역신이 처용의 너그러운 태도에 감복하여 자신의 본체를 밝히고 물러간 내용과 관련하여 무속에서는 아무리 악한 신이라도 즐겁게 하여 보낸다는 풍속과 한국인의 여유에 찬 생활의 예지를 엿볼 수 있다. 따라서 이 노래는 역신을 보내는 뒷풀이로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이 노래의 절정 부분인 시의 마지막 두 구는 표면상은 체념의 태도를 해학적으로 표현한 말에 해당하지만, 이면적으로 보면 일상인의 생각과 감정을 뛰어넘는 처용의 초극적인 면모라고 할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其意甚高, 詞淸句麗, 意精於詞 故云腦, 羅人尙鄕歌者尙矣 蓋詩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라는 용어를 중심으로 향가의 독특한 성격을 살펴보았다. 서론에서도 언급하였듯이 고전을 연구한다는 것은 추측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으므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균여전과 삼국유사에서도 향가에 대한 개념 정의에 차이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균여전에서는 향가(사뇌가)를 홍법 전파를 위한 다회성의 향가로 보았지만, 삼국유사에서는 향가가 연행되는 상황은 일회적이며 특수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향가를 통하여 어떠한 목적을 성취하고자 했다는 것은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향가가 노래로 불리어졌든, 아니면 노랫말의 내용만이 구전되었든 간에 대중들에게 의식을 전파하고 선동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즉 향가는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게 한다. 이것은 현대에도 마찬가지이다. 가만히 앉아 향가 한 수를 음미하고 있자면 저절로 신라인의 풍류에 젖어드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이렇듯 향가는 조용하지만 가장 깊고 큰 울림의 힘을 가지고 있다. 이번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짧은 시간동안 제법 많은 자료들을 보았다. 한문도 많고 그 내용이 어려워 해석이나 주제 접근에 있어서 많은 오류가 따랐을지도 모르나 그래도 일주일이라는 시간동안 향가라는 주제에 사로잡혀 레포트를 완성했다는 데에 보람을 느낀다. 또 학자들마다 다른 이론들을 보면서 내공이 더 쌓였을 때 나만의 시각으로 향가를 접근해 볼 수도 있겠다는 다소 무모한 용기도 가져본다.
Ⅳ. 참고문헌
김진욱, 『향가문학론』, 역락, 2005.
김종규, 『향가문학연구』, 경인문화사, 2003.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2003.
여기현, 『신라 음악상과 사뇌가』, 월인, 1999.
정상균, 『한국고대시문학사』, 한신문화사, 1984.
김승찬, 「신라향가론」, 한국학술정보(주), 2001.
최경실, 「향가의 주술성」, 성균관대학교, 1983.
희망의 문학 http://lovehope.co.kr
맛있는 문학 http://www.kordl.wo.to
우리말 사랑 누리집 http://www.woorimal.net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8.21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2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