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의 역사인식과 동국통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전기의 역사인식과 동국통감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전기의 역사인식
Ⅲ. 동국통감
Ⅳ. 맺는말

본문내용

있다. 이러한 비판은 기본적으로 功利보다 節義를 중시한 편찬자들의 입장을 반영하는데, 이것은 부국강병보다는 仁政의 도덕정치를, 대외팽창보다는 사대적 현상고수정책을 옹호하는 것에서 잘 나타난다.
또 사론에서는 강상윤리에 대한 강조가 강화되고, 이단(異端)에 대한 비판이 더욱 강렬해지고 있다. 기존에 현상(賢相)으로 존중되던 을파소(乙巴素)가 강상윤리를 어긴 인물로 , 김유신에게 흥무대왕(興武大王)의 시호를 내린 것이 군신명분을 교란한 것으로 비판의 대상이 된다. 또 불교를 신봉한 인물, 불교행사, 고려 태조의 훈요10조(訓要十條)에 보이는 도참사상, 도선의 참위설 등이 가차없이 비판받고 있다. 이외의 사론의 일반적 경향으로 지적할 수 있는 것으로서는 왕 중심의 국가관과 대간(臺諫)과 재상(宰相)의 역할을 강조하는 점 등이 눈에 뛴다. 춘주대의론에 입각한 사론의 포폄은 편찬자들의 역사인식 체계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는데, 이는 기자조선→마한→신라로 이어지는 정통의식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는 것에서 잘 볼 수 있다. 펀찬자들은 기자조선을 예의지국(禮儀之國)인의지국(仁義之國)으로 평가되고, 이것을 그대로 마한이 계승하고 있다고 하였다. 또 삼국 가운데 신라의 문화를 칭송한 것이 압도적으로 많다거나 신라기를 독립시키고 있는 것, 경순왕의 고려에 대한 귀부를 비판한 것, 왕건이 신라의 반적(叛賊)인 궁예를 계승하였다고 파악하는 것, 고려 태조의 창업(創業)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 등은 그들이 삼국 가운데 신라를 중시하였고, 아울러 고려의 건국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였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사론은 주로 사림계열의 편찬자들이 썼음에 틀림없다. 훈구파들이 중심이 되어『舊編東國通鑑』을 편찬하였고,『新編東國通鑑』은 그것을 약간 수정하거나 거기에 주로 사론을 더 첨가하여 편찬하였다는 점에서『東國通鑑』은 훈구와 사림세력의 합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은 훈구세력의 마지막 사서로서 의미를 가짐과 아울러 사림세력이 최초로 쓴 사서라고 볼 수 있다. 말하자면 15세기의 왕패절충론(王覇折衷論) 역사인식에서 16세기의 도학주의적(道學主義的) 역사인식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의 통사로서 나타난 것이『東國通鑑』이라 하겠다.
Ⅳ. 맺는말
본문의 내용을 요약정리함으로써 맺음말을 대신하고자 한다.
조선시대의 역사인식은 태조에서 성종으로 이르는 15세기에는 고려시대와 성격을 달리하는 새로운 통치 질서를 세워가는 과정과 맞물리면서 국가의 통치철학을 담은 다양한 사서(史書)들이 관찬(官撰), 즉 국가사업으로 편찬되었다.
동국통감은 훈신시대에서 사림의 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역사서술이라는 의미도 갖는다. 하지만 그것은 선초의 집권사대부와 재야사대부의 역사서술과 역사인식이 처음으로 합류되었다는 점에서 조선왕조 500년간 관찬사서를 대표하는 위치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이었다.
《참고문헌》
1. 신형식,《한국사학사연구》, 한국사연구회, 1986
2. 한영우,《조선전기사학사연구》, 서울대학교출판사, 1955
3. 조경걸 외,《한국의역사가와 역사학》, 창작과비평사, 2002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8.25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8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