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하다. (1920년대 만주 연해주 일대의 민족 독립 운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하다. (1920년대 만주 연해주 일대의 민족 독립 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독립전쟁을 벌이자.
2. 봉오동에서 일본 정규군을 무찌르다.
3. 일제, 훈춘 사건을 조작하다.
4. 독립군, 청산리에서 대승을 거두다.
5. 독립군, 시련을 겪다. ― 경신참변과 흑하사변
6. 자치 정부를 세우다.
7. 민족 유일당을 세우려 하다.

본문내용

한다는 명분을 내세우며 의무금을 걷어야만 재정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셋째. 젊은 청년 인텔리들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사상이 확산되었기 때문인데, 이들은 무장투쟁 일변도의 민족주의자들의 활동방식을 비판하며 계몽과 선전 활동에 주력하였다. 민족주의자들로서는 자신에게 비판적인 청년인텔리들의 확대되고 있는 영향력에도 대응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7. 민족 유일당을 세우려 하다.
1926년경부터 국내외 민족운동전선에서는 분열된 독립운동단체를 통합하여 지역과 이념을 초월하고 항일에 동조하는 모든 역량을 결집시켜야 한다는 민족유일당 운동이 전개되어 국내에서는 신간회가 조직되었고, 만주에서는 3부의 통합운동이 추진되었다. 당시 일제의 탄압이 심해지는 등 투쟁을 위한 여건이 계속 나빠지고 있었기 때문에 운동 진영을 통합하고 투쟁 역량을 극대화하는 것은 절실한 과제였다.
장개석의 중국 국민혁명군과 군사 행동을 같이함으로써 항일운동에 유리한 분위기를 구성하려는 노력과 함께 1927년 길림성 신안둔에서 만주 지역의 민족운동 단체 대표 52인이 참가한 회의가 열렸다. 그런데 이때 민족유일당을 조직할 방법을 둘러싸고 의견이 나뉘었다. 1928년 5월 ‘전민족유일당조직촉성회’에서 주장된 3부를 해체하고 민족유일당에 개인적으로 가입하자는 개인 본위 조직론과 기존의 단체들을 연합해야 한다는 단체 본위 조직론, 기존 단체 가운데 가장 권위 있고, 전투성과가 가장 많은 유력한 단체가 중심이 되고 다른 소규모 단체를 여기에 종속시켜야 한다는 단체 중심 조직론 간에 첨예한 대립이 일어났다. 이러한 대립은 민족 유일당의 주도권을 누가 장악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서 비롯된 것인데, 끝내 해소되지 못하고 각 대표들은 단체본위조직론과 개인본위조직론 두 가진 안건 중 하나를 지지하며 분열되었다. 1928년 5월 개인 본위 조직론자들은 전민족유일당촉성회를, 단체 본위 및 단체 중심 조직론자들은 전민족유일당협의회를 각각 조직하였다. 이렇게 민족유일당을 성립시키기 위한 노력이 두 파로 나눠지자 협의회파를 실질적으로 이끌었던 정의부는 통일에 대한 새로운 방향으로, 유일당 운동에 참가하지 못했던 참의부와 신민부를 결속하여 3부 통일을 이루고자 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하고, 이러한 통합을 위한 노력은 결국 전민족유일당촉성회파가 1928년 12월 김동삼, 지청천 등을 중심으로 혁신의회를 조직하고, 전민족유일당협의회파는 1924년 4월 국민부를 조직하는 것으로 일단락되었다. 그러나 양대 세력을 통합한 민족 유일당의 결성은 끝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다만, 이전과 달리 ‘혁명(독립)’과 ‘자치’의 임무를 분리하여 앞으로 결성될 민족유일당과 자치기관에서 두 가지 임무를 각각 담당해야 한다고 주장한 점에서는 두 입장 모두 일치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전 만주를 총괄하기 위한 민족유일당 운동은 그 근본목적을 이루지 못하였다. 하지만 2년간에 걸친 민족 통일전선 구축을 위한 운동은 3부의 시대를 끝맺음하고 혁신의회와 국민부라는 두 개의 새로운 통합단체를 조직하였다. 이후 이 두 단체는 여러 변모를 거치며 재만 한인의 민족운동을 이어갔다.
◇◆ 참고문헌 ◆◇
윤병석, <독립군사>, 지식산업사, 1990.
신주백, <만주지역 한인의 민족운동사(1920~45)>, 아세아 문화사, 1999.
조동걸, <만주에서 전개된 한국독립운동의 역사적 의의 - 1920년 청산리전쟁 80주년의 회 고와 반성>, 《한국사연구》, 111, 2000.
박성수, <한국독립운동사적-중국편>, 국가보훈처, 1992.
박환, <만주한인민족운동사연구>, 일조각, 1991.
국사편찬위원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한국사》48, 2003.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10.05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4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