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화유산 탐방 - 부산 전근대 문화유산 (동삼동패총, 동래 복천동 고분군, 부산 영도 태종대, 해운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문화유산 탐방 - 부산 전근대 문화유산 (동삼동패총, 동래 복천동 고분군, 부산 영도 태종대, 해운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동삼동패총
 1.1. 패총이란
 1.2. 패총의 종류
 1.3. 출토된 유물들
 1.4. 의의
2. 동래 복천동 고분군
 2.1. 소개
 2.2. 무덤의 형식
 2.3. 무덤의 분포
 2.4. 출토된 유물들
 2.5. 의의
3. 부산 영도 태종대
 3.1. 소개와 유래
 3.2. 신선대의 전설
 3.3. 영도등대와 모자상
4. 해운대
 4.1. 해운대의 문화유산 전근대
5.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그 형태나 보존상태가 어느 지역보다도 양호해 보존가치가 뛰어난 제당임.
3) 해운대 석각(통일신라)
종 목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5호지 정 일 1999.03.09.
소재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710-1(동백섬)
시대: 통일신라시대
동백섬 내에 자리한 작은 바위 윗면에 ‘해운대(海雲臺)’라는 글씨를 새긴 것으로, 통일신라 후기의 학자였던 최치원 선생의 글씨로 추측됨.
선생이 가야산으로 향하던 도중 이 주변의 자연경관이 너무도 아름다워 돌을 쌓아 대를 만든 후, 바다와 구름, 달과 산을 음미하면서 이 바위에 ‘해운대(海雲臺)’라는 글씨를 새기었는데, 이때부터 ‘해운대’라는 지명이 생겨났다고 함.
최치원 선생의 글씨라는 사실이 정확히 확인된 바는 없으나, 고려시대 당시 문신이었던 정포의 시에서 ‘대는 황폐하여 흔적이 없고 오직 해운의 이름만 남아 있구나’라고 읊고 있어, 이미 그 당시에도 이 석각이 있었음을 알 수 있음.
현재는 오랜 세월동안 비바람과 파도에 씻겨 나가 ‘운(雲)’자가 심하게 닳아있는 상태.
4) 간비오산 봉수대
시대: 고려말(추측) , 소재지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산111
설치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고려 말부터 갑오경장시까지(조선 고종 31년 1894년) 약 700여년 간 해운포 일대에 침입한 왜적을 감시한 곳
부산에서 황령산 봉수대와 함께 가장 오래된 봉수대.
서쪽으로는 황령산 봉수대, 북쪽으로 기장의 남산 봉수대와 연락하는 경상좌도 간봉의 기점으로 도별장 한 사람 밑에 별장 6명, 감고 1명, 봉군 100명을 두고 경상좌도 수군절도사령에서 관장하였다고 함.
봉수는 일명 봉화라고 하는데 현대적 통신수단이 발달되기 전 밤에는 횃불, 낮에는 연기를 신호로 변경지역의 안위를 중앙 또는 군기지에 알리는 군사적 통신수단으로 사용됨.
현재의 봉수대는 1976년 10월 1일 새로이 축조된 것으로 화강석 지름 11m, 높이 1.2m의 규모로 원형 축대를 쌓고 중간에 계단을 설치하였으며 상단에 오르면 중앙에 지름이 2m, 높이 60m인 연조 1구가 설치되어 있음.
5) 부산 송정역(등록문화재 제302호, 지정일:2006.12.04.)
소재지:부산 해운대구 해운송정동 299-2, 298-2, 299-21, 706-12, 711-10, 712-2외.
시 대 일제강점기
송정역은 1934. 12. 16. 역원무배치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41. 6. 1. 보통역으로 승격됨. 그리고 1976. 7월 차급화물업무를 중지.
송정역은 운산, 단촌역과 유사한 형태로,1940년대의 전형적인 역사건축의 모습을 보임.
우선 경사가 완만한 쉐드형 박공지붕을 역사의 우측 지붕 위에 얹어놓고 있으며 그 박공면에 반원형 표시판을 달고 있음. 이 쉐드 부분 아래에 대합실 공간이 있고 입구가 설치되어 있음. 가새는 두개씩 대어져 다른 역사에서 볼 수 없는 튼튼한 구조를 이루었다. 또한 차양지붕의 처마는 목재로 몰딩 처리하여 우아한 모습을 보임.전체적으로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있어 건축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
야외 노천구조물(창고)는 1940년대 당시 유럽에서 유행하던 아르누보 양식로 지어짐. 아르누보 장식은 1890~1905년 사이 유럽에서 유행하였고 송정역에서 사용된 장식은 그 이전 19세기 중반 서양에서 크게 유행했던것이기 때문. 두 건축장식 사이에 유사한 측면이 없는것은 아니지만 아르누보양식이라고 하기에는 주의가 필요함.
참고문헌 및 사이트
동삼동패총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http://younghwan12.tistory.com/4248
동래 복천동 고분군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B%B3%B5%EC%B2%9C%EB%8F%99_%EA%B3%A0%EB%B6%84%EA%B5%B0
부산 영도 태종대
태종대유원지 http://taejongdae.bisco.or.kr/
영도해양문화공간 http://www.yeongdomcs.or.kr/index.asp
한국문화유산답사회,『답사 여행의 길잡이(경남)』14권, 돌베개, 2002.
4) 해운대
해운대구청 사이트http://tour.haeundae.go.kr/content/05_02_06.php
송정역 아르누보양식http://blog.naver.com/byunyo?Redirect=Log&logNo=10155301859
해운대 동백섬 문화유산 지정기사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2&aid=0000161573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10.19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63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