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분활성도의 정의
2. 수분활성도와 여러 요인간의 관계
2-1 미생물
2-2 효소
2-3 화학반응
2-4 식품저장성
2. 수분활성도와 여러 요인간의 관계
2-1 미생물
2-2 효소
2-3 화학반응
2-4 식품저장성
본문내용
반대로 반응이 잘 일어나는 Rubbery상태로 가기 어렵게 되어 식품의 저장성이 증가한다.
미생물과의 관점에서 생각하면 일부 곰팡이를 제외한 미생물의 생육 불가능한 Aw는 0.8 이하이므로 수분활성도를 0.8 이하로 낮추어 보관한다면 미생물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 건조공정으로 자유수(Free water)를 제거하거나 동결공정으로 이용 가능한 수분(자유수,Free water)의 이동을 막아 Aw를 낮춰 식품의 저장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이처럼 식품이 가지는 수분활성도를 낮춰줄수록 식품의 저장성은 증가한다.
각 식품별 저장에 적당한 Aw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건조식품 0.6이하
-건조 과실류 0.6~0.66
-잼 0.73~ 0.87,
-육류나 과채류 0.98~1.0 (냉장 및 냉동 보관)
미생물과의 관점에서 생각하면 일부 곰팡이를 제외한 미생물의 생육 불가능한 Aw는 0.8 이하이므로 수분활성도를 0.8 이하로 낮추어 보관한다면 미생물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 건조공정으로 자유수(Free water)를 제거하거나 동결공정으로 이용 가능한 수분(자유수,Free water)의 이동을 막아 Aw를 낮춰 식품의 저장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이처럼 식품이 가지는 수분활성도를 낮춰줄수록 식품의 저장성은 증가한다.
각 식품별 저장에 적당한 Aw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건조식품 0.6이하
-건조 과실류 0.6~0.66
-잼 0.73~ 0.87,
-육류나 과채류 0.98~1.0 (냉장 및 냉동 보관)
키워드
추천자료
식품가공에 이용되는 단위조작
식품속에 존재하는 수분에 대한 자료
식품첨가물
건조특성(식품의 건조, 건조곡선)
식품구성성분의 변화
생활과관련된 화학중 (김치의 화학)
수분활성도
[인스턴트식품][인스턴트식품 폐해][인스턴트식품 폐해를 줄이는 식사법]인스턴트식품의 개념...
[식품첨가물][인공첨가물]식품첨가물의 정의, 식품첨가물의 종류, 특성, 식품첨가물이 많이 ...
Aw와부패의관계
[효소][효소 활용][효소의 관용명][효소의 특징][식품산업에서 효소 활용 사례][의료산업에서...
화학성식중독(화학적식중독)의 정의, 화학성식중독(화학적식중독)의 발생경로에 따른 분류, ...
[식중독][원생동물][미생물][유해보존료]식중독의 의미, 식중독의 원인, 식중독의 발생, 식중...
[산화, 광화학산화제, 항산화]산화와 광화학산화제, 산화와 항산화, 산화와 황산화, 산화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