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별 생산][산업별 생산 다부문모형][산업별 생산 취업계수][산업별 생산 요인]산업별 생산의 지수, 산업별 생산의 다부문모형, 산업별 생산의 요인, 산업별 생산 취업계수, 향후 산업별 생산 내실화 과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업별 생산][산업별 생산 다부문모형][산업별 생산 취업계수][산업별 생산 요인]산업별 생산의 지수, 산업별 생산의 다부문모형, 산업별 생산의 요인, 산업별 생산 취업계수, 향후 산업별 생산 내실화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산업별 생산의 지수
1. 자료
2. 스펙트럼분석

Ⅲ. 산업별 생산의 다부문모형
1. 가격․기술모형
2. 수요․공급모형
3. 총량모형

Ⅳ. 산업별 생산의 요인
1. 단위근 검정(unit root tests)
2. 공적분 검정(cointegration tests)

Ⅴ. 산업별 생산의 취업계수

Ⅵ. 향후 산업별 생산의 내실화 과제
1. 전망결과의 활용
1) 노동량개념의 차이를 조정하기 위한 전환계수의 활용
2) 다양한 산업분류간 코드매칭의 결과를 활용
3) 인프라구축반의 산업소분류 취업자 전망을 활용하는 방안
4) 인프라구축반의 산업소분류‧직업세분류별 취업자 전망을 위한 활용방안
5) 인프라구축반의 산업별 직업구조의 추세 전망이 관측치수가 적어 불안정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다음과 같은 보완작업을 수행할 것을 추천
6) 단계별 취업자 전망은 개별 기관에 의해서 단계별로 독립적으로 수행하기보다는 실무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하나의 팀을 구성하여 공동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
2. 향후개선방향
1) 기본적으로는 24개 산업분류의 KDI 다부문모형을 65산업별로 전부문을 확대
2) 산업세분류‧직업세세분류별 고용전망에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산업중분류‧직업대분류의 취업구조에 대한 기초통계의 구축 및 전망
3) 취업자의 개념과 산업분류간 조정작업이 필요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필요
2. 향후개선방향
1) 기본적으로는 24개 산업분류의 KDI 다부문모형을 65산업별로 전부문을 확대
생산부문과 노동부문 이외에 소비, 투자, 수출입 중간부문 등까지 65산업으로 세분화하기 위한 기초통계의 정비가 필요
소비의 산업별비목별 행렬과 투자의 자본재별산업별 행렬에 대한 장기 시계열 구축의 가능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
2) 산업세분류직업세세분류별 고용전망에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산업중분류직업대분류의 취업구조에 대한 기초통계의 구축 및 전망
KDI 65산업별 취업자 → 한국은행 168산업별 직업대분류별 고용행렬 → 인프라구축반의 168산업별 고용행렬 → 인프라구축반의 산업소분류직업세분류별 고용행렬 전망 절차는 직업별 구조의 관측치 부족으로 인해 과거정보 및 장기 추세를 반영하지 못함으로서 전망이 불안정할 가능성이 큼
이를 해소하는 1단계 연구로서 산업중분류(65)직업대분류(7)의 취업구조에 대한 기초통계를 정비하고 산업별직업별 취업구조를 전망할 필요가 있음.
3) 취업자의 개념과 산업분류간 조정작업이 필요
한국은행, 통계청, 인프라 구축반에서 작성하는 통계들의 취업자 개념에 비교와 차이점에 대한 통계조정
Ⅶ. 결론
경기변동의 원인을 밝히고자 하는 경기변동이론에서는 경기순환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현상들(stylized facts)을 설명함에 있어 충격과정(impulse mechanism)과 전파과정(propagation mechanism)을 분리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충 과정이란 경제에 주어지는 외부충격을 말하며 전파과정이란 주어진 외부충격이 경제내의 다른 부문으로 전파되어 가는 것을 말한다. 경기순환의 2가지 중요한 특징으로는 자기상관(auto-correlation)과 공동변화(comovement)가 있는데 경제의 여러 분야에 걸쳐 확장과 수축이 같이 일어나는 공동변화는 경제에 외부충격(특히, 총체적 충격)이 있다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외부충격이 무엇인지에 따라 경기순환이론이 나뉘어 지기도 한다.
충격과정과 관련하여 다음의 세 가지가 중요한 연구과제가 되고 있다. 첫째는 경기변동의 주원인이 무엇이냐 하는 것이고 둘째는 경제전체에 영향을 주는 총체적 충격(aggregate shock)의 수가 몇 개냐 하는 것이고 셋째는 총체적 충격이 부문생산(sectoral output)이나 총생산(aggregate output)의 변동을 모두 설명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첫 번째 연구과제에 대한 일반적인 견해는 화폐적 충격(nominal shock)과 실물적 충격(real shock)이 경기변동의 주원인이 된다라고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경제가 여러 부문으로 구성이 되어 있고 따라서 경제 각 부문의 상호작용에 의해 경기순환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든 산업에 영향을 주는 총체적 충격뿐만 아니라 어느 특정한 산업에 고유한 충격(industry-specific shock) 또는 부문충격(sectoral shock or sector-specific shock)도 부문생산이나 총생산 변동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부 충격의 예를 들면, 자동차 산업이 발달하게 되면 산업의 전.후방 효과를 통하여 다른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부문생산을 집합(aggregation)해 놓은 총생산이 증가할 수 있는 것이다. 부문충격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 및 실증적 연구는 Long and Plosser(1983)에 의해 시도되었는데 Long and Plosser는 총체적 충격이 없으며 상관관계가 없는 6개 부문의 생산충격만을 가진 다부문모형(multi-sector model)을 설정하여 총체적 충격이 없이 부문충격만으로도 총생산의 변동을 가져온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Long and Plosser(1987)는 Long and Plosser(1983)의 모형을 연장하여 산업별 생산증가율을 설명하는데 있어 총체적 충격의 역할은 별로 크지 않고 부문충격의 역할이 크다는 실증분석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 연구과제와 관련하여서는 총체적 충격이 하나라는 견해와 총체적 충격이 하나 이상이라는 견해가 있다. 세 째 연구과제와 관련하여서는 Long and Plosser(1983)의 연구 이전까지는 일부문모형(one-sector model)으로 총체적 충격이 총생산의 변동을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지가 연구대상이 되어 왔으나 그 후로는 총체적 충격과 부문충격이 동시에 있을 경우 각 충격이 총생산이나 부문생산의 변동을 얼마나 설명할 수 있는지 즉, 각 충격의 상대적 중요도가 어떻게 되는지가 실증연구의 관심이 되고 있다.
총체적 충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Lucas(1972)나 Kydland and Prescott(1982)은 총체적 충격만이 생산의 변동을 유발시킨다고 주장하는 반면 부문충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Long and Plosser(1983)는 부문충격에 의해서 생산의 변동을 유발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경기변동을 설명함에 있어 총체적 충격과 부문충격의 역할이 이론적으로는 모두 중요하다. 그러나 총체적 충격의 수가 몇 개인지 또는 총체적 충격과 부문충격이 각각 어느 정도로 중요한지에 대해서는 합의가 도출되지 않고 있거나 이론적으로 말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실증적으로 분석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경기변동을 유발시키는 여러 충격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찾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보면 첫째는 각 부문의 생산에 영향을 주는 총체적 충격의 수가 몇 개인지를 한국의 자료를 통해 밝혀보는 것이고 둘째는 부문생산의 변동을 설명함에 있어 총체적 충격과 부문충격의 상대적 중요도를 측정해 보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중일, 한국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과 생산효율성 비교, 한국경제학회, 1998
백승관, 수입중간재 가격변동과 산업별 생산 및 고용조정, 홍익대학교경제연구소, 2002
이근, 한국 경제의 인프라와 산업별 경쟁력, 나남, 2005
정승국,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생산정보화구축방안, 목포대학교, 2008
홍장표 외 1명, 한국 제조업의 산업별 기술혁신패턴 분석 KISTI, 기술경영경제학회, 2009
한국경제연구원, 한국의 산업별 성장요인 분석 및 생산성..1970-1990, 1994
  • 가격7,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3.08.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83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