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성훈련 치료집단] 학령기 아동을 위한 집단치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성훈련 치료집단] 학령기 아동을 위한 집단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집단치료의 개관
1) 집단연구
2) 집단치료의 역사
3) 집단치료의 치료적 의미
4) 치료과정의 발전단계

2. 사회성훈련 치료집단
1) 치료집단의 구성
2) 집단치료의 치료자
3) 과정회기
4) 치료기법
5) 치료과정

본문내용

하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필요하다면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 때문에 겪은 이전의 어려움을 드러내고 새로운 방법으로 자신의 감정을 전달해 보는 경험을 하도록 한다.
구성원 활동 : - 일방통행과 쌍방통행 -
① 설명할 아동을 선택하고 나머지 구성원에게는 A4 용지를 나누어 준다.
② 설명할 아동에게 준비된 첫 번째 도형을 건네고 이것을 구성원에게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에 대해 2분간 생각하 도록 시간을 준다.
③ 설명할 아동은 도형에 대해 두 번 설명할 수 있으나, 구성원들은 설명한 아동에게 질문하지 못한 채 자신이 들 은 대로 그리도록 한다. 이때 손짓이나 몸짓으로 설명할 수 없다.
④ 설명할 아동에게 준비된 두 번째 도형을 건네고 이것을 구성원에게 어떻게 설명할 것인지에 대해 2분간 생각하 도록 시간을 준다.
⑤ 설명할 아동은 도형에 대한 설명을 한 번만 할 수 있으나, 이번에는 필요하다면 구성원들이 설명한 아동에게 궁금한 점을 물어볼 수 있도록 허락한다.
⑥ 구성원들이 두 가지 그림을 다 그리면 설명했던 도형 1, 2를 그들에게 보여 주고 각자가 그린 것과 비교하도록 한다.
⑦ 구성원들은 두 가지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느낀 점을 자유롭게 이야기한다.
6


해결의

목표 : 갈등을 이해시키며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결을 이끌어 낸다. 그리고 실행할 수 있는 해결을 선택하도록 한다.
치료자 활동 : 일상생활에서는 많은 갈등이 존재하며 그것을 해결해야 하는 필요성을 설명 한다. 필요하다면 ‘만약~이라면 어떻게 할까?’의 형태로 문제를 제기하여
구성원들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해결방법을 토의해 보도록 한다.
구성원의 활동 : - 도우미가 필요해요 -
① 각 구성원에게 도화지를 나누어 주고 그것을 네 칸으로 나누도록 한다.
② 자신의 경험에서 힘들었던 상황을 왼쪽 윗칸에 그려 넣는다.
③ 오른쪽 윗칸에 자신이 해결했던 방법을 그려 넣는다.
④ 두 명이 한 조가 되어 자신의 그림을 설명한다.
⑤ 이야기를 들은 구성원은 왼쪽 아래 칸에 그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도우미를 그려 준다.
⑥ 자신의 그림을 돌려받은 구성원은 오른쪽 아래 칸에 도우미도움으로 문제가 해결된 상황을 그림으로 표현한다.
⑦ 도우미를 그려 준 파트너에게 어떻게 도움이 되었는지를 이야기하며 감사의 표현을 한다.
7


소통의

목표 : 아동이 자신의 감정을 명료화하며 구성원의 긍정적인 감정에 피드백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치료자 활동 : 치료자는 감정의 중요성과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어떻게 전하며, 또 들은
사람은 그것을 어떻게 피드백해야 하는지를 설명해 준다. 이를 위해 필요하다면 아동이 현재 자신의 감정에 이름을 붙이고 그것을 다른 사람에게 표현해 보도록 한다. 이때 치료자는 칭찬과 같은 긍정적인 피드백이 오갈 수 있도록 돕는다.
구성원 활동 : - 이야기를 나눠요 -
① 각 구성원에게 다양한 얼굴모습이 그려진 감정 포스터와 말을 나눠준다.
② ‘게임 속의 이야기’라는 보드게임에서 둘이 하는 게임을 선택한다.
③ 한 구성원이 핀을 돌려 나온 숫자의 도판과 주사위로 결정된 등장인물 수를 가지고 이야기를 만든다.
④ 이야기를 들은 구성원은 감정 포스터를 사용하여 자신이 현재 느끼는 감정 위에 말을 놓는다.
⑤ 이야기를 한 구성원이 자신의 감정과 가장 가까운 감정을 표현한 구성원에게 이야기를 만들 기회를 준다.
⑥ 지적받은 아동은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고 같은 방식으로 게임이 이어진다.
8


결실의

목표 : 함께 나누는 작업을 통해 적극적으로 또래와 어울리는 경험을 통하여 친구 사귀기에 자신감을 갖도록 한다.
치료자 활동 : 어떤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주위 사람들과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린다. 필요하다면 스포츠와 게임에서 공정한 태도를 가진 사람이 되기 위한 논의를 한다. 이를 통해 각 아동은 멋진 승자와 패자가 되는 방법을 실천한다. 회기의 마지막은 공동벽화 그리기나 서로의 사인이 들어간 티셔츠 제작으로
마무리할 수 있다.
구성원의 활동 : - 징검다리 쌓기 -
① 두 팀으로 나눈다.
② 공을 준비하여 한 아동이 공을 들고 목표지점까지 가도록 한다. 이때 공을 든 아동이 이동하기 위해서는 다른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발을 징검다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③ 한 개의 공을 목표지점에 옮기면 되돌아와서 다른 공을 같은 방법으로 옮긴다.
④ 일정한 시간 동안 더 많은 공을 옮긴 팀이 승리한다.
⑤ 이긴 팀과 진 팀은 각자 공정한 게임을 했다고 서로 칭찬을 나눈다.
  • 가격2,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12.28
  • 저작시기201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53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