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자 이기백을 알아보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학자 이기백을 알아보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머리말
2.이기백의 생애
3.대표 저작으로 본 역사관과 연구론
4. 이기백의 실증주의와 비판
5.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인간이라는 관점에서 역사의 상대성과 보편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민족에 대한 관심 속에서 그는 사상사 연구를 중점적으로 다루어 왔고 한편 진리지상주의를 표방하여 역사적 진리를 찾는 것을 중요시 했다. 그 방법으로 실증을 주장했으며 실증을 거스르는 연구풍토에 맞서 실증의 방법에 힘입어 연구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이러한 실증주의적 연구는 『삼국사기』초기 기록 불신의 예에서와 같이 과거 일제의 식민사관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실증주의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했음 알 수가 있었다. 그렇지만 이기백은 사상적으로 민족의식과 같은 주관성을 강조하면서도 역사의 진리탐구를 위해 객관적인 실증연구를 시도함으로써 어떠한 사관에도 치우치지 않고 자신만의 독특한 역사관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한림과학원,『고병익 · 이기백의 학문과 역사연구』, 한림대학교출판부, 2007
이기백, 『한국사를 보는 눈』, 문학과지성사, 1996
李鍾旭,「실증사학의 벽을 넘어 새로운 역사 읽기」, 『歷史學報』170집, 歷史學會, 2001
李基白,「現代 韓國史學의 方向」,『韓國史學의 方向』, 一潮閣, 1995
李基白,「韓國史學의 바른 길」,『韓國思想의 재구성』, 一潮閣, 1991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7.04.15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37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