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도입
전개
정리
※ 판서계획
<말하는 이 찾기>
<형성 평가>
전개
정리
※ 판서계획
<말하는 이 찾기>
<형성 평가>
본문내용
다.
2. 시 ‘나룻배와 행인’에서 말하는 이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다.
3. 여러 편의 시 작품 속에서 말하는 이를 찾을 수 있다.
창의적 학습목표
말하는 이를 찾음으로써 시 작품을 창의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Ⅰ. ‘나룻배와 행인’의 내용과 주제
1. ‘나룻배와 행인’의 내용
1) 나룻배의 성격
-희생, 헌신, 인내
2) 행인의 성격
-무심함, 이기적
2. ‘나룻배와 행인’의 주제
-인내와 믿음을 통한 희생적 사 랑의 실천
Ⅱ. 시에서 말하는 이가 하는 역할
1. 말하는 이의 필요성
-특정한 내용의 효과적 전달
2. 말하는 이의 기능
-작품의 분위기 고조
-보다 큰 정서적 감동 창출
<말하는 이 찾기>
1. 시의 화자가 이미 어른이 되어 유년시절을 회상하는 시를 모두 고른다면?
2. 시의 화자는 드러나지 않고 대상만 드러나 있는 시는?
3. 시의 화자가 ‘주체성이 없고 개성이 없는 아이들의 모습에 실망스러워’ 쓸쓸함을 느끼 는 시는?
4. 바탕시에서 화자를 가리키거나 화자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시어를 모두 고르시오.
① 엄마 걱정 :
② 다음 해에는 :
③ 하급반 교과서 :
④ 바다와 나비 :
⑤ 성탄제 :
<형성 평가>
1. 이 시의 화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나룻배’로 비유하였다
② 희생적 자세를 보여 준다
③ 임을 한없이 기다리고 있다
④ 여성적 목소리를 지니고 있다
⑤ 시적 화자가 겉으로 드러나 있지 않다
2. 시에서 말하는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인이 곧 말하는 이가 되기도 한다.
② 시인 자신이 창조해 낸 시적 자아이다.
③ 시에서 말하는 이는 항상 겉으로 드러난다.
④ 말하는 이에 따라 시의 분위기나 어조가 달라진다.
⑤ 말하는 이를 통해 시의 주제가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3. (가)와 (나)에 드러난 말하는 이의 태도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가) 지금 눈 내리고
매화 향기(梅花香氣)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천고(千古)의 뒤에
백마(白馬) 타고 오는 초인(超人)이 있어
이 광야(曠野)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 이육사, 「광야」
(나)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 김소월, 「진달래꽃」
① 애상적 - 탐미적 ② 남성적 - 여성적 ③ 의지적 - 낙천적
④ 서정적 - 서사적 ⑤ 독백적 - 사색적
2. 시 ‘나룻배와 행인’에서 말하는 이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다.
3. 여러 편의 시 작품 속에서 말하는 이를 찾을 수 있다.
창의적 학습목표
말하는 이를 찾음으로써 시 작품을 창의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Ⅰ. ‘나룻배와 행인’의 내용과 주제
1. ‘나룻배와 행인’의 내용
1) 나룻배의 성격
-희생, 헌신, 인내
2) 행인의 성격
-무심함, 이기적
2. ‘나룻배와 행인’의 주제
-인내와 믿음을 통한 희생적 사 랑의 실천
Ⅱ. 시에서 말하는 이가 하는 역할
1. 말하는 이의 필요성
-특정한 내용의 효과적 전달
2. 말하는 이의 기능
-작품의 분위기 고조
-보다 큰 정서적 감동 창출
<말하는 이 찾기>
1. 시의 화자가 이미 어른이 되어 유년시절을 회상하는 시를 모두 고른다면?
2. 시의 화자는 드러나지 않고 대상만 드러나 있는 시는?
3. 시의 화자가 ‘주체성이 없고 개성이 없는 아이들의 모습에 실망스러워’ 쓸쓸함을 느끼 는 시는?
4. 바탕시에서 화자를 가리키거나 화자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시어를 모두 고르시오.
① 엄마 걱정 :
② 다음 해에는 :
③ 하급반 교과서 :
④ 바다와 나비 :
⑤ 성탄제 :
<형성 평가>
1. 이 시의 화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나룻배’로 비유하였다
② 희생적 자세를 보여 준다
③ 임을 한없이 기다리고 있다
④ 여성적 목소리를 지니고 있다
⑤ 시적 화자가 겉으로 드러나 있지 않다
2. 시에서 말하는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인이 곧 말하는 이가 되기도 한다.
② 시인 자신이 창조해 낸 시적 자아이다.
③ 시에서 말하는 이는 항상 겉으로 드러난다.
④ 말하는 이에 따라 시의 분위기나 어조가 달라진다.
⑤ 말하는 이를 통해 시의 주제가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3. (가)와 (나)에 드러난 말하는 이의 태도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가) 지금 눈 내리고
매화 향기(梅花香氣)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천고(千古)의 뒤에
백마(白馬) 타고 오는 초인(超人)이 있어
이 광야(曠野)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 이육사, 「광야」
(나)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 김소월, 「진달래꽃」
① 애상적 - 탐미적 ② 남성적 - 여성적 ③ 의지적 - 낙천적
④ 서정적 - 서사적 ⑤ 독백적 - 사색적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 지도안( 중학교 3-1 생활국어 4. 음운의 변동)
[초등교육]말하기듣기 셋째마당 교수-학습 과정안
국어 지도안 (중(1-2) 6. 문학과 독자)
국어 지도안 (고등학교 국어 (상) 3. 다양한 표현과 이해)
국어 지도안 (중학교1학년1학기 5단원. 내용 선정하기)
국어 지도안 (중3-2 / 4. 고전 문학의 감상 / (2) 가시리)
국어 지도안 ((생활국어 2-2) 4,글쓰기와 다듬기)
국어 지도안 (6 . 문학과 독자(중학교 국어 1-2))
국어 지도안([국어(상)] 5. 능동적인 의사소통)
작문지도안
국어(하) 눈길 지도안
교수학습과정안 갑
교수학습과정안작성의 실제
수필제재의 수업 -한비야 ‘4월 25일,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수업안 : 4.내 마음 네 마음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