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사용하는 음식은 일반적으로 차게 해서 먹는다는 특징이 있다.
(6) 달걀류
터키음식에서 달걀은 밀가루 반죽이나 간 고기를 반죽할 때 또는 야채나 고기에 옷입혀 튀김을 할 때 등 다양한 음식을 만드는데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이 외에도 달걀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만드는 음식들도 있다.
(7) 밥종류
터키에서는 밥 종류를 필라브(Pilav)라고 한다. 터키의 필라브는 쌀 혹은 불구르(Bulgur 밀을 볶아서 말린 것)를 주재료로 하여 만드는데 우리나라의 볶음밥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밥은 쌀과 물로만 짓는데 비하여 필라브는 쌀이나 불구르에 닭고기, 간, 땅콩, 건포도 등을 넣고 육수를 부어 만든다. 터키에서는 아무 재로도 섞지 않고 물로만 만드는 밥은 소화능력이 없는 환자들의 음식으로 생각한다.
쌀과 함께 필라브의 주재료로 사용되는 불구르는 터키의 고유 곡물로 에크멕 다음으로 시골식탁에 자주 오르는 주요 식품이다. 불구르는 밀의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 그대로 삶아 말린 것으로 도정과정에서 파괴될 수 있는 영양소가 그대로 포함되어 있다. 필라브 만들기는 요리사 자격을 가르는 기준이 될 정도로 까다롭다. 터키의 필라브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물을 빨아 들이는 정도가 다르고 밥알이 따로다로 하나씩 떨어져야 잘 지어진 필라브로 여기기 때문에 필라브 만들기는 경험과 숙달을 필요로 한다.
(8) 칼국수와 만두류
터키음식에 칼국수와 만두류로는 에리쉬테(Eriste)와 만트가 있다. 에리쉬테와 만트는 농경문화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식류로 밀가루로 반죽을 하여 밀대로 펴서 만드는데, 에리쉬테는 국수모양으로 썰고 만트는 만두피를 만든다. 에리쉬테나 만트의 만드는 방법은 우리나라의 칼국수나 만두의 것과 유사하다. 단지 에리쉬테는 밀가루 반죽을 펴서 가늘게 국수형태로 썬 후 말려서 보관하여 정장식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에리쉬테 외에 에크멕(Ekmek)도 밀반죽하여 구워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만드는데 이는 중앙아시아 터키와 같은 건조한 기후에서나 가능하다. 말려서 보관한 칼국수는 끓여서 먹거나 초르바의 재료로 사용된다.
(9) 뵈렉(Brek)류
뵈렉 또한 밀가루 반죽을 이용한 음식으로 오븐에 구워내거나 기름에 튀겨내는 방법으로 만든다. 뵈렉에도 여러 유형이 있는데 밀가루 반죽을 적당히 떼어 반죽 안에 여러 가지 재료를 넣어 만드는 뵈렉, 반죽을 밀대로 넓고 얇게 펴서 유르카(Yufka)를 만든 후 유프카와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하여 만드는 뵈렉 등이 있다. 유프카란 터키어로 ‘얇다’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큰 만두피라 할 수 있다. 터키에서 뵈렉은 식사 때 뿐만 아니라 차 마실 때 차와 함께 내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뵈렉이 있다. 차문화가 발전된 터키에서 유프카는 뵈렉을 만드는 주재료로 사용되어 유프카만 만드는 가게(Yufkaci)가 있을 정도이다.
(10) 빵종류
터키인 주식으로 먹는 빵을 ‘에크멕(Ekmek)’이라 한다. 매 식사 대마다 에크멕과 함께 음식을 먹는 터키인에게 있어 에크멕 없는 식탁은 생각할 수 없으며, 터키에서 에크멕은 많이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그만큼 많이 소비된다. 일반적으로 터키에서는 식사 때에 맞추어 금방 구운 따뜻한 에크멕이 공장에서 만들어져 나온다. 그러므로 저녁 퇴근시간에는 금방 나온 에크멕을 사기 위해 에크멕 공장 혹은 에크멕 가게 앞에서 장사진을 치며 기다리는 터키인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터키 시골에는 에크멕 만드는 공장이 없기 때문에 각자 가정에서 에크멕을 만들어 먹는데, 하루나 일주일 혹은 한달 동안 먹을 양을 한꺼번에 만들기도 한다. 이렇게 한꺼번에 만들어 놓고 먹는 이유는 물론 시골이라는 환경이 주부들로 하여금 여러 가지 많은 일을 부담 지우기 때문이다. 에크멕 공장이 없는 시골에 사는 주부들에게 있어 에크멕 만드는 일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다.
에크멕은 터키인에게 있어 신성한 식품으로 종교성을 띄기까지 한다. ‘신자는 하늘과 땅이 축복의 증거로 준 에크멕에 존경을 표하시오’라는 선지자의 말에 따라 터키인들은 먹다 남은 에크멕 조각이라도 함부로 버리지 않는다. 또한 자신에게 먹을 빵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알라에게 감사할 조건이 된다고 생각한다. 에크멕 외에 터키인이 음식과 함께 먹는 QKd 종류로 바즐라마(Bazlama)와 피데(Pide) 등이 있다.
(11) 샐러드유
터키에서 샐러드는 살라드(Salad)라 한다. 살라드는 레몬이나 식초를 넣어 신맛을 내기 때문에 식탁의 다른 음식들과 먹을 때 상큼함을 주어 입맛을 돋우는 역할을 한다. 살라드의 재료로는 신선한 야채와 채소가 주로 사용되며, 레몬과 올리브유를 소스로 뿌린다. 계절에 따라 나는 각종 야채와 채소로 다양한 살라드를 만들 수 있다. 살라드는 보통 익히지 않고 재료 그대로 소스만 뿌려 먹기 때문에 비타민의 보고라 하겠다. 저장식 살라드로는 투르슈(Tursu)가 있는데, 만드는 재료에 따라 오이 투르슈, 양배추 투르슈, 고추 투르슈 등이 있다. 오이 투르슈는 우리의 오이 짠지와 비슷하고 양배추 투르슈는 우리나라 백김치와 그 맛이 비슷하다.
(12) 타틀르류
타틀르란 설탕을 많이 넣어 만든 식품으로 보통 식탁에서 맨 마지막에 서빙되는 후식으로 애용된다. 타틀르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공통된 특징은 설탕시럽을 충분히 부어 단맛이 나게 한다는 것이다. 터키어로 타틀르란 ‘달다, 맛있다’란 뜻이다. 타틀르에는 밀가루 반죽으로 과자나 빵 모양으로 형태를 만들어 오븐에 구워낸 다음 그 위에 설탕 시럽을 부어서 만드는 하무르 타틀르, 고운 밀가루나 굵은 밀가루를 버터에 녹여 볶은 후 설탕이나 꿀등을 첨가시켜 만드는 헬바 타틀르, 밀가루나 녹말가루를 우유에 풀어 만드는 쒸틀르 타틀르 등이 있다.
(13) 호사프(Hosaf)류
호사프(Hosaf)란 말린 과일을 설탕물에 끓여 만드는 것으로 포도 호샤프, 자두 호샤프, 버찌 호샤프, 모과 호샤프 등이 있다. 호샤프란 우리의 과일 통조림으로 생각하면 된다. 호샤프란 한 계절에만 나는 과일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하여 먹기 좋게 썰어서 말린 후 설탕물을 넣고 끓인 일종의 저장식품이다.
(6) 달걀류
터키음식에서 달걀은 밀가루 반죽이나 간 고기를 반죽할 때 또는 야채나 고기에 옷입혀 튀김을 할 때 등 다양한 음식을 만드는데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이 외에도 달걀을 주재료로 사용하여 만드는 음식들도 있다.
(7) 밥종류
터키에서는 밥 종류를 필라브(Pilav)라고 한다. 터키의 필라브는 쌀 혹은 불구르(Bulgur 밀을 볶아서 말린 것)를 주재료로 하여 만드는데 우리나라의 볶음밥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밥은 쌀과 물로만 짓는데 비하여 필라브는 쌀이나 불구르에 닭고기, 간, 땅콩, 건포도 등을 넣고 육수를 부어 만든다. 터키에서는 아무 재로도 섞지 않고 물로만 만드는 밥은 소화능력이 없는 환자들의 음식으로 생각한다.
쌀과 함께 필라브의 주재료로 사용되는 불구르는 터키의 고유 곡물로 에크멕 다음으로 시골식탁에 자주 오르는 주요 식품이다. 불구르는 밀의 껍질을 벗기지 않은 채 그대로 삶아 말린 것으로 도정과정에서 파괴될 수 있는 영양소가 그대로 포함되어 있다. 필라브 만들기는 요리사 자격을 가르는 기준이 될 정도로 까다롭다. 터키의 필라브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물을 빨아 들이는 정도가 다르고 밥알이 따로다로 하나씩 떨어져야 잘 지어진 필라브로 여기기 때문에 필라브 만들기는 경험과 숙달을 필요로 한다.
(8) 칼국수와 만두류
터키음식에 칼국수와 만두류로는 에리쉬테(Eriste)와 만트가 있다. 에리쉬테와 만트는 농경문화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식류로 밀가루로 반죽을 하여 밀대로 펴서 만드는데, 에리쉬테는 국수모양으로 썰고 만트는 만두피를 만든다. 에리쉬테나 만트의 만드는 방법은 우리나라의 칼국수나 만두의 것과 유사하다. 단지 에리쉬테는 밀가루 반죽을 펴서 가늘게 국수형태로 썬 후 말려서 보관하여 정장식품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에리쉬테 외에 에크멕(Ekmek)도 밀반죽하여 구워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만드는데 이는 중앙아시아 터키와 같은 건조한 기후에서나 가능하다. 말려서 보관한 칼국수는 끓여서 먹거나 초르바의 재료로 사용된다.
(9) 뵈렉(Brek)류
뵈렉 또한 밀가루 반죽을 이용한 음식으로 오븐에 구워내거나 기름에 튀겨내는 방법으로 만든다. 뵈렉에도 여러 유형이 있는데 밀가루 반죽을 적당히 떼어 반죽 안에 여러 가지 재료를 넣어 만드는 뵈렉, 반죽을 밀대로 넓고 얇게 펴서 유르카(Yufka)를 만든 후 유프카와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하여 만드는 뵈렉 등이 있다. 유프카란 터키어로 ‘얇다’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큰 만두피라 할 수 있다. 터키에서 뵈렉은 식사 때 뿐만 아니라 차 마실 때 차와 함께 내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뵈렉이 있다. 차문화가 발전된 터키에서 유프카는 뵈렉을 만드는 주재료로 사용되어 유프카만 만드는 가게(Yufkaci)가 있을 정도이다.
(10) 빵종류
터키인 주식으로 먹는 빵을 ‘에크멕(Ekmek)’이라 한다. 매 식사 대마다 에크멕과 함께 음식을 먹는 터키인에게 있어 에크멕 없는 식탁은 생각할 수 없으며, 터키에서 에크멕은 많이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그만큼 많이 소비된다. 일반적으로 터키에서는 식사 때에 맞추어 금방 구운 따뜻한 에크멕이 공장에서 만들어져 나온다. 그러므로 저녁 퇴근시간에는 금방 나온 에크멕을 사기 위해 에크멕 공장 혹은 에크멕 가게 앞에서 장사진을 치며 기다리는 터키인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터키 시골에는 에크멕 만드는 공장이 없기 때문에 각자 가정에서 에크멕을 만들어 먹는데, 하루나 일주일 혹은 한달 동안 먹을 양을 한꺼번에 만들기도 한다. 이렇게 한꺼번에 만들어 놓고 먹는 이유는 물론 시골이라는 환경이 주부들로 하여금 여러 가지 많은 일을 부담 지우기 때문이다. 에크멕 공장이 없는 시골에 사는 주부들에게 있어 에크멕 만드는 일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다.
에크멕은 터키인에게 있어 신성한 식품으로 종교성을 띄기까지 한다. ‘신자는 하늘과 땅이 축복의 증거로 준 에크멕에 존경을 표하시오’라는 선지자의 말에 따라 터키인들은 먹다 남은 에크멕 조각이라도 함부로 버리지 않는다. 또한 자신에게 먹을 빵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알라에게 감사할 조건이 된다고 생각한다. 에크멕 외에 터키인이 음식과 함께 먹는 QKd 종류로 바즐라마(Bazlama)와 피데(Pide) 등이 있다.
(11) 샐러드유
터키에서 샐러드는 살라드(Salad)라 한다. 살라드는 레몬이나 식초를 넣어 신맛을 내기 때문에 식탁의 다른 음식들과 먹을 때 상큼함을 주어 입맛을 돋우는 역할을 한다. 살라드의 재료로는 신선한 야채와 채소가 주로 사용되며, 레몬과 올리브유를 소스로 뿌린다. 계절에 따라 나는 각종 야채와 채소로 다양한 살라드를 만들 수 있다. 살라드는 보통 익히지 않고 재료 그대로 소스만 뿌려 먹기 때문에 비타민의 보고라 하겠다. 저장식 살라드로는 투르슈(Tursu)가 있는데, 만드는 재료에 따라 오이 투르슈, 양배추 투르슈, 고추 투르슈 등이 있다. 오이 투르슈는 우리의 오이 짠지와 비슷하고 양배추 투르슈는 우리나라 백김치와 그 맛이 비슷하다.
(12) 타틀르류
타틀르란 설탕을 많이 넣어 만든 식품으로 보통 식탁에서 맨 마지막에 서빙되는 후식으로 애용된다. 타틀르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공통된 특징은 설탕시럽을 충분히 부어 단맛이 나게 한다는 것이다. 터키어로 타틀르란 ‘달다, 맛있다’란 뜻이다. 타틀르에는 밀가루 반죽으로 과자나 빵 모양으로 형태를 만들어 오븐에 구워낸 다음 그 위에 설탕 시럽을 부어서 만드는 하무르 타틀르, 고운 밀가루나 굵은 밀가루를 버터에 녹여 볶은 후 설탕이나 꿀등을 첨가시켜 만드는 헬바 타틀르, 밀가루나 녹말가루를 우유에 풀어 만드는 쒸틀르 타틀르 등이 있다.
(13) 호사프(Hosaf)류
호사프(Hosaf)란 말린 과일을 설탕물에 끓여 만드는 것으로 포도 호샤프, 자두 호샤프, 버찌 호샤프, 모과 호샤프 등이 있다. 호샤프란 우리의 과일 통조림으로 생각하면 된다. 호샤프란 한 계절에만 나는 과일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하여 먹기 좋게 썰어서 말린 후 설탕물을 넣고 끓인 일종의 저장식품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인도.파키스탄의 전통복식
중국의 사회주의 형사법제 형성과정과 연구동향 및 성과
영국과 한국에서의 성별과 계급형성과정의 비교
인도의 음식문화
스웨덴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과 특성
에릭슨(Erikson)의 자아정체감 발달이론-자아정체감의 의미와 속성 및 이론의 특징, 청소년기...
[인성][기질][홀랜드의 인성이론][교사의 인성적 자질][쉴러]인성의 형성과정, 인성의 결정요...
[미술관][미술관 기능][미술관 교육적 기능][미술관 행정][미술관 전시공간][미술관 관람자조...
중국 음식문화
팔레스타인 : PLO (Palestine Liberation Organization)·하마스 (Hamas)
프랑스 음식 문화
비교종교학 이슬람(Islam) 선교
역사적 제도주의에서 본 전면적 무상급식 정책의 형성과정과 개선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