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기개념이란
2. 자기개념의 형성
3. 자기개념으로 인해 나타나는 유형의 예시
1) 자아 정체감
2) 자기효능감
3) 자아 형성
4) 자기애
5) 자존감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자기개념이란
2. 자기개념의 형성
3. 자기개념으로 인해 나타나는 유형의 예시
1) 자아 정체감
2) 자기효능감
3) 자아 형성
4) 자기애
5) 자존감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를 진행한 결과,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척도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박홍석(2012)은 Rosenberg의 자존감척도의 몇 가지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개인의 전반적인 자존감을 단일차원에서 측정기 때문에 어떤 영역에서 높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거나 다른 영역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는 측면과 같이 상세하고 풍부한 설명력은 부족하다는 것이다. 또한 자존감 척도는 안정적이고 영속적인 특질 자존감을 평가하기 위해 설계된 척도라는 점에서 상황별 자존감의 상태적 변화에 대한 측정에는 한계가 있다고 하였다.
4. 시사점
한국인의 자기개념의 형성구조를 보면, 서양적 자기발생의 본질인 내가 본질적으로 내가 누구인가 그 자체보다 내가 속한 사회 속에서 중시하고 추구하는 인격적, 권력적, 지위적 특질을 얼마나 많이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타인의 인정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경향이 많다. Riesman의 자기체계 개념에서 보면, 내적 자기 지향적이라기보다는 외적 자기지향적이라고 볼 수 도 있다. 또한 사적 자기보다는 공적 자기 지향적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사회적 및 공적인 측면에서 한국인이 가치롭게 여기는 자기구조는서구적 문화권에서 강조되는 자기자신감, 능력감, 효능감, 성취감 등과 같은 능력 속성적 자기측면보다는 인격성, 덕성 등과 같은 품성도야적 측면의 자기와 더불어 지위, 권력과 같은 사회적 평가측면의 자기구조이다. 이 처럼 자신이 추구하는 자기가 자기개성화 지향적이라기보다는 사회가치 추구적이라는 점에서 개인 간의 차이보다는 공통성을 갖는 이상적 사회성 자기(idealsocialself)를 개인적 이상자기로 내면화하는 경향이 높다고 하였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자기개념은 어떻게 형성되고 형성된 자기개념으로 인해 나타나는 유형들을 정해서 예시를 들어 설명해 보았다. 자기개념에 대해서 오랜 시간동안 여러 학자에 의해 다양한 정의가 내려졌으나 공통적으로 자기를 사회적 관계 속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개념을 정리하면,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모든 것을 자기라고 할 때, 그것을 사회 속에서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파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송인섭, 자아개념, 학지사, 2013.
마틴셀리그만, 긍정심리학, 물푸레, 2004.
송길연 외, 사회성격발달,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1.
김의철 외, 한국인의 자기인식에 나타난 토착심리학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2006.
4. 시사점
한국인의 자기개념의 형성구조를 보면, 서양적 자기발생의 본질인 내가 본질적으로 내가 누구인가 그 자체보다 내가 속한 사회 속에서 중시하고 추구하는 인격적, 권력적, 지위적 특질을 얼마나 많이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타인의 인정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경향이 많다. Riesman의 자기체계 개념에서 보면, 내적 자기 지향적이라기보다는 외적 자기지향적이라고 볼 수 도 있다. 또한 사적 자기보다는 공적 자기 지향적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사회적 및 공적인 측면에서 한국인이 가치롭게 여기는 자기구조는서구적 문화권에서 강조되는 자기자신감, 능력감, 효능감, 성취감 등과 같은 능력 속성적 자기측면보다는 인격성, 덕성 등과 같은 품성도야적 측면의 자기와 더불어 지위, 권력과 같은 사회적 평가측면의 자기구조이다. 이 처럼 자신이 추구하는 자기가 자기개성화 지향적이라기보다는 사회가치 추구적이라는 점에서 개인 간의 차이보다는 공통성을 갖는 이상적 사회성 자기(idealsocialself)를 개인적 이상자기로 내면화하는 경향이 높다고 하였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자기개념은 어떻게 형성되고 형성된 자기개념으로 인해 나타나는 유형들을 정해서 예시를 들어 설명해 보았다. 자기개념에 대해서 오랜 시간동안 여러 학자에 의해 다양한 정의가 내려졌으나 공통적으로 자기를 사회적 관계 속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자기개념을 정리하면,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모든 것을 자기라고 할 때, 그것을 사회 속에서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파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송인섭, 자아개념, 학지사, 2013.
마틴셀리그만, 긍정심리학, 물푸레, 2004.
송길연 외, 사회성격발달,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1.
김의철 외, 한국인의 자기인식에 나타난 토착심리학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2006.
추천자료
성격과 자아, 자아의 개념
프로이드의 자아방어기제의 개념과 종류(내가 직접 사용하는 방어기제 의견작성)
개인행동의 학습(자아, 가치관과 윤리의식, 성격, 자아의 개념과 창의적 성격 및 전뇌이론)
자아정체감의 개념, 형성, 유형, 발달의 특성에 대해 설명.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레포트)자아정체감의 개념과 자아정체감을 구성하는 네가지 차원을 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자아정체감의 개념 및 자아정체감을 구성하는 네 가지 차원에 대해서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과제) 자아정체감의 개념과 자아정체감을 구성하는 네 가지 차원에 대...
청소년기의 발달 단계 중 ‘자아정체감의 개념’과 ‘청소년기의 심리적 사회적 특성’에 대하여 ...
청소년기의 발달 단계의 자아정체감을 중심으로 자아정체감의 개념 및 청소년기의 심리적 특...
에릭슨의 자아통합의 개념에 근거한 노인복지의 실천 방향성
[색채치료/色彩治療/Color Therapy] 객관적 자아의 개념이해와 색채이미지 형성
[색채치료/色彩治療/Color Therapy] 참자아의 개념이해와 색채이미지의 형성
[색채치료/色彩治療/Color Therapy] 이상적 자아의 개념이해와 색채이미지의 형성
[청소년상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및 가치관 문제(관련 사례포함) - 자아정체감의 개념, 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