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암 최익현의 의리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면암 최익현의 의리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위정척사사상의 발생과정
3. 면암 최익현의 척사위정사상
4. 결론

본문내용

여 일본의 퇴진(退陣)을 요구하는 ‘기일본정부(寄日本政府)’를 올리는데 이같이 면암이 직접 일본에 대해 호소문을 띄우는 것은 바로 면암 자신이 항일운동의 선봉에 있다는 사실을 말해 주고 있다. 면암의 이 시기의 척사사상은 역사의 피주체자가 아닌 역사의 주체자로서 당대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포고팔도사민’, ‘기일본정부서’ 등에서와 같이 직접 민중에 호소하고 민중과 같이 의병항쟁에 참여하고 또 직접 일본정부에 호소하는 주체적 구국운동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우리가 아니면 이 위기를 누가 벗어나게 해주겠는가 하는 논리로 강렬한 역사적 주체의식 바로 그것이다.
74세의 고령으로 의병을 일으킨 면암은 일병이 아닌 관군의 습격을 받자 동족상해의 비극을 저지를 수 없다 하여 의병 전원에게 퇴거를 명하고 스스로 체포되어 대마도에 구금되었다. 그러나 항일 구국 운동의 의지는 꺾이지 않아 단식으로 투쟁하다 순국하였다.
4. 결론
한국 사회의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는 근대화의 변동기로서 흔히 개화기로 불리 운다. 이 시기는 전통사회가 서서히 몰락해가는 과정을 보여주며 동과 서의 이질문화가 만나 갈등과 타협으로 혼란한 사회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전통사회가 붕괴해가는 시기에 보수 이데올로기로서 유교전통을 보존하려는 위정척사사상이 나타나게 된다. 면암은 위정척사사상의 대표자로서 그의 사상은 실천적, 행동적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이런 그의 위정척사사상은 시대의 상황 속에서 변모, 발전되지 않을 수 없었는데 변모되어 가는 역사적인 분기점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단계는 면암이 화서의 문하에서 수학한 이래 , 화서의 수제자로서 존왕양이의 춘추대의와 화가위국적인 충의사상에 입각한 척사사상을 계승하고, 또한 그의 가계로부터 이어받은 민중의 편에선 현실, 실천 의식을 바탕으로 그의 위정척사사상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둘째 단계는 대원군에 대한 왕도정치 이론적 도전을 통해 실천사상으로의 성숙, 발전되는 시기이다. 셋째 단계는 무조건적인 보수적 배타적 사상을 초월하여 새로운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자주의식으로 발전하는 배타적 자주의식의 태동기이다. 넷째 단계는 갑신정변 이후 을미조약 이전까지의 시기로 그의 사상이 실천적 반개화, 내수자강의 자주의식으로 변화하는 시기이다. 다섯째 단계는 을사조약 이후의 시기로 그의 사상은 역사적 주체의식에 입각한 항일, 구국운동으로 심화되었다.
이러한 위정척사사상은 한편으로는 주체적인 근대화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한 것이 아니라 조선 왕조의 전통적인 정치체제와 사회, 경제 질서를 그대로 유지시키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었다는 점에서 자주적 근대화를 이룩하려는 사상에 대척되어 그만큼 역사적 발전을 가로막는 보수적인 역기능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면암의 사상과 이념은 역사적 현실에 바탕을 둔 실천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구국애국사상으로, 또 항일민족운동의 지도이념으로 정착함으로써 민족주의사상으로 승화, 발전할 수 있었다. 여기서 위정척사사상의 역사적 역할과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3.22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99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