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학)광고의 정기능이 무엇인지 알고 있는 대로 기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광고학)광고의 정기능이 무엇인지 알고 있는 대로 기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경제적 기능
2) 마케팅 기능
3) 문화적 기능
4) 사회적 기능
5) 정보 제공 기능
6) 매체 육성 기능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해 소비자에게 여러 종류의 제품 및 브랜드 선택의 폭을 넓혀주고 소비자가 누릴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알권리를 보장해줄 수 있다.
6) 매체 육성 기능
광고는 신문사의 수입 중 70-80%를 차지하고 있고 민영방송의 경우 시청료를 소비자에게 별도로 받지 않아 100% 광고에 의존하고 있다. 즉, 광고로 매체가 유지되고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신문에 광고가 없다면 과거 한 달에 약 1만원의 구독료를 냈던 것을 이제는 몇 십 만원의 구독료를 내야 될지도 모른다. 이는 tv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현상은 구독자나 시청자가 많은 매체 및 프로그램일수록 광고의 수입이 증가하게 됨으로 이에 따라 매체는 구독자와 시청자를 더 확보하기 위해 현재보다 더 좋은 기술과 설비를 갖추게 되고 소비자들이 원하고 바라는 기사 및 프로그램을 파악해 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더 나은 질의 문화를 창출하도록 해 언론의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3.결론
우리 사회에 이제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되어버린 광고는 소비자들에게 경제적, 마케팅적, 문화적, 사회적, 정보 제공, 매체 육성의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는 소비자들의 잘못된 인식과 가치관을 변화시키고 긍정적인 사회적 발전과 성장 및 올바른 소비문화 창출과 상품과 기업의 가치를 향상시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발전을 추구한다.
하지만 광고 역시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지나친 광고 경쟁으로 허위 광고나 경쟁사를 비방해 안정적인 시장질서와 윤리성을 파괴할 수 있고, 소비자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거나 기업이 개인적인 이익 창출만을 위해 노력하게 되어 소비자가 그릇된 소비관을 형성하게 하거나 광고에 잘못된 문화적 요소 및 언어 등을 사용함으로써 사회·문화적 혼란을 야기할 수도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따라서 광고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광고 제작사나 광고 의뢰자, 기업 운영자 등의 사람들은 광고가 가질 수 있는 정기능과 부정적 기능을 제대로 인식하고 광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도덕적이고 윤리적이며 공정성을 기반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공정한 거래를 위해 정부에서 광고에 대한 심의제도 및 공정거래법 제정 등 여러 방면의 제도와 정책을 통해 소비자들이 광고로 인해 입을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 시켜야 한다. 그리고 우선적으로 광고를 보고 제품을 소비하는 소비자가 직접 제품 및 기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광고를 무조건적 수용이 아닌 비판적이고 꼼꼼히 따져볼 수 있는 안목을 갖추도록 해 현명한 소비 가치관을 정립하도록 하고 올바른 소비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4.참고문헌
김재영, “[Column] 광고의 사회적·문화적·경제적 순기능”, 매거진, 2011.07.14.
두산백과: 광고의 정의
이명천, 김요한(2016), 광고학개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조재현(2011), 글로벌 시대의 광고와 사회, 한울아카데미.
한상필(2016), 문화를 반영하는 광고, 문화를 창조하는 광고, 광고학연구, 27(2), PP.30-50.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7.23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94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