눅 16-1~13 주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눅 16-1~13 주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석은 후반부의 \'영원한 처소\'를 단순히 재정적(財政的)인 면에서 안전한 곳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하지 않고 성도의 영원한 고향인 하나님의 나라로서 이해한데 따른 것이다.
영원한 처소로: 일반적으로 장막의 뜻인 \'스케네\'(*)는 일시적인 거주지를 말하지만 여기서는 영원한 것 즉 영구적인 것을 가리키는데 이는 하나님이 임재하시는 곳으로서의 초월적인 영원한 나라를 가리킨다. 따라서 본절 전체의 의미는, 재물을 잘 사용하여 가난한 자들에게 도움을 주면 이 세상에 종말이 오고 죽음을 맞이하게 되어도 하나님이 그를 잊지 않고 영원한 하늘나라로 인도하실 것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나 이것이 예수께서 구원의 방법론으로 제시하신 것은 아니다.
눅 16:10 지극히 작은 것에 충성된 자는 큰 것에도 충성되고 지극히 작은 것에 불의한 자는 큰 것에도 불의하니라
지극히 작은 것..,큰 것: \'지극히 작은\'의 뜻인 헬라어 \'엘라키스토스\'(*)는 \'작은\'의 뜻인 \'미크로스\'(*)의 최상급으로, 더 이상 표현할 수 없이 잣은 것, 보잘것 없는 것을 가리킨다. 이에 비해 \'큰\', \'많은\'의 뜻인 폴뤼스(*)는 원급 형용사이다. 이 지극히 작은 것과 큰 것의 또다른 표현은 11절에 의하면 불의한 재물과 참된 것, 12절에 의하면 남의 것과 너희의 것이된다. 이는 다른 말로 하자면 이 세상의 재물은 하늘의 보화 즉 복음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응 정도로 작은 선물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세상 재물을 지극히 작은 것이라고 부름으로써 주님은 우리에게 재물의 가치를 과대 평가하는 것을 경고(警告)하셨다.
충성되고: 직역하면 \'충성된 자가 된다\'고 하는 말이다, 여기서 \'충성된 자\' 헬라어로 \'피스토스\'(*)인데 이 말이 어원은 \'믿다, 옳게 여기다\'의 뜻인 \'페이도\'(*)이다. 따라서 지극히 작은 것 즉 불의의 재물에 \'충성하는 자\'란 재물에 의해 무조건적으로 복종하고 \'돈의 힘\'에 따라 움직이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재물을 주고받고 또 보관하는 등의 경제 생활 영역에서 다른 사람으로부터 신뢰를 받는 사람임을 의미한다. 결국 본 주석에서는 비록 청지기의 죄가 간사한 것이긴 하지만 난관을 타개해 나가는 열심과 지혜만큼은 칭찬을 받았다고 설명하였다. 반면 리빙 바이블(Living Bible)은 이를 죄악된 술수로 규정할 뿐이며 나아가 하나님의 자녀들이 이 청지기와 같은 식으로 처신해서는 결코 안된다는 투로 번역하고 있다. 이러한 상이한 해석에 관해 정확한 답을 제시하기는 힘들지만 전체적 문맥을 고려하건데 본 주석의 해석이 무난하리라 본다.
눅 16:11 너희가 만일 불의한 재물에 충성치 아니하면 누가 참된 것으로 너희에게 맡기겠느냐
눅 16:12 너희가 만일 남의 것에 충성치 아니하면 누가 너희의 것을 너희에게 주겠느냐
불의한 재물: 제상의 제물이 불의한 일의 도구가 되기 때문/ 재물을 버는데 불의가 개입된다. 불의한- 관습을
충성치 아니하면:
10-12절은 9절에 대한 부연설명이며, 13절은 불의한 재물에 충성치 못하는 자들이 어떤 자들인가를 암시해 주고 있다.
눅 16:13 집 하인이 두 주인을 섬길 수 없나니 혹 이를 미워하고 저를 사랑하거나 혹 이를 중히 여기고 저를 경히 여길 것임이니라 너희가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길 수 없느니라
집 하인이 두 주인을 섬길 수 없나니: 이 말씀은 고대 사회에서 한 사람의 노예가 시간을 나누어 두 군데에서 일하면서 두 주인을 섬길 수 없었다는 것을 뜻하는 말씀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이다. 고대 사회에서는 한 사람의 노예가 다른 두 주인을 섬기거나 그 이상의 사람들을 위해서 일하기도 했고(참조, 행 16:19), 어느 한 주인에게서는 자유함을 얻었으나, 다른 주인에게는 여전히 종속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이 말씀이 가지는 요지는 한 사람이 라는 개념이 가지는 충성과 봉사와 헌신을 동시에 두 주인에게 바칠 수 없다는 데에 있다. 다시 말해서 종이 두 주인 이상을 섬기려 할 때는 전적으로 한 주인에게 봉사와 충성을 바칠 수 없다는 것이다. 두 주인 중에 한 주인에게 헌신하고 다른 주인은 무시하려는 경향이 생기고, 결국에는 양쪽 다에게 만족스러운 헌신을 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길 수 없느니라.\' \'재물\'이란 말은 헬라어로 로서 원래의 뜻은 \'신뢰하는 것\'이다. 사람이 재물을 신뢰하고 섬기려 한다면 하나님께 대한 전적인 헌신을 바치지 못하리라는 말씀이다.

키워드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11.20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06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