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들고 있다. 예수를 그리스도라기보다 그리스도가 되는 자로 이해한 것은 아주 비성경적이다. 신의 절대성을 주장하기 위해 신의 인격성을 부정하고 ‘존재 자체’, ‘존재의 지반’, ‘존재의 힘’ 등의 개념으로 표현한다. 신의 절대성을 떠나서 철학으로 인식하려고 하는 과오를 범한다. 예수 그리스도를 ‘새 존재’라는 철학적 개념으로 이해하고 실존주의 적으로 인식한다. 역사적 그리스도를 부인하고 철학적 허구에 머무른다. ‘아래로부터의 방법’으로 인간으로부터 출발하는 신학방법이다. 틸리히의 ‘낮은 기독론’은 ‘하나님이 인간으로 되셨다’는 위로부터의 기독론의 역설로부터 출발하지 않고, 예수 그리스도 안에 ‘참된 인간 존재의 모습이 실존의 조건들 속에서 나타났다’는 역설로부터 출발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참 하나님이면서 참 인간이 아니라 참 인간이고 현실적 인간이다. 그는 하나님 자신이 아니라 하나님과 완전히 연합한 인간이다. 십자가는 실존에의 참여를, 부활은 실존에 대한 승리를 뜻한다. 여기에서 그리스도가 철저히 인간으로, 실존의 상황 속에 있는 본질적 인간으로 이해되고 있음을 발견하며 그의 신적인 근원성이 부인되고 있다. 바로 여기에 틸리히의 기독론이 가진 가장 큰 문제점이 있다.
근본적인 과오는 ‘성경 유오’의 주장을 필연케 하는 칸트의 이원론적 철학에서 온 ‘두 개의 차원’의 개념이다. 인간의 철학으로 그런 주장은 진리일 수 없다. 하나님 중심의 윤회적 변론을 하지 않고 인간의 이성을 표준으로 삼는 이성본위의 자율적 변론을 하고 있음 보여준다. 성경무오는 ‘하나님은 하나님으로, 성경은 성경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사상이다. 무한하신 하나님을 철학적인 구조 속에 가둘 수 없는 것이다.
Ⅴ. 나가면서
시대적, 사회적 상황성을 고려하고 신학을 충실히 추구한다는 것은 현대신학의 중요한 두 축이다. 사상이나 관념의 문제와 삶의 문제는 불과분의 관계이다. 신학이란 단순히 명제들을 암송하는 것이 아니라, 말씀을 삶의 정황에로 투여하는 것이요, 또한 적용하는 것이다. 문석호, 개혁주의 관점에서 보는 현대신학의 이해, (서울 : 솔로몬, 2000), p17
인간 중심의 삶을 살고자 하는 비종교적인 자세를 청산하고, 하나님 중심의 바른 신학과 신앙을 지녀야 할 것이다. 성경 중심의 개혁주의 신학은 삶의 다양성에 대한 문제들과 의문들에 대하여 궁극적인 답을 제시해야 한다. 성경은 분명히 현재에도 동일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답을 가지고 있다.
〈참고 문헌〉
박만, 『폴 틸리히 경계선상의 신학자』, 서울 : 살림, 2003.
박아론, 『현대 신학 연구』,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1989.
이보민, 『현대 기독교 사상 비판』, 서울 : 개혁주의 신행협회, 1987.
Kenneth Hamilton, 옥한음 역, 『폴 틸리히』, 서울 : 개혁주의 신행협회, 1991.
Mackenzie Brown, 이계준 역, 『궁극적 관심 현대 청년과의 대화』,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71.
Tony Lane, 박도웅양정호 역, 『기독교 인물 사상 사전』, 서울 : 홍성사, 2008, 391-393.
William E. Horden, 장영태 역, 『개신교 신학 입문』, 서울 : 보이스사, 1990.
김균진, 폴 틸리히의 기독론과 그 문제점, 신학논단 16집, 1983, p239-272
서동익, 현대 신학 사상에 나타난 “실존”의 문제, 신학지남 58권 4집, 1991, p179-188
이종성, 틸릭의 신관, 신학논단 6집, 1961, p31-47
최인식, 폴 틸리히의 종교이해, 신학사상 88집, 1995, p170-205
최인식, 폴 틸리히의 상징론, 신학사상 90집, 1995, p152-194
근본적인 과오는 ‘성경 유오’의 주장을 필연케 하는 칸트의 이원론적 철학에서 온 ‘두 개의 차원’의 개념이다. 인간의 철학으로 그런 주장은 진리일 수 없다. 하나님 중심의 윤회적 변론을 하지 않고 인간의 이성을 표준으로 삼는 이성본위의 자율적 변론을 하고 있음 보여준다. 성경무오는 ‘하나님은 하나님으로, 성경은 성경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사상이다. 무한하신 하나님을 철학적인 구조 속에 가둘 수 없는 것이다.
Ⅴ. 나가면서
시대적, 사회적 상황성을 고려하고 신학을 충실히 추구한다는 것은 현대신학의 중요한 두 축이다. 사상이나 관념의 문제와 삶의 문제는 불과분의 관계이다. 신학이란 단순히 명제들을 암송하는 것이 아니라, 말씀을 삶의 정황에로 투여하는 것이요, 또한 적용하는 것이다. 문석호, 개혁주의 관점에서 보는 현대신학의 이해, (서울 : 솔로몬, 2000), p17
인간 중심의 삶을 살고자 하는 비종교적인 자세를 청산하고, 하나님 중심의 바른 신학과 신앙을 지녀야 할 것이다. 성경 중심의 개혁주의 신학은 삶의 다양성에 대한 문제들과 의문들에 대하여 궁극적인 답을 제시해야 한다. 성경은 분명히 현재에도 동일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답을 가지고 있다.
〈참고 문헌〉
박만, 『폴 틸리히 경계선상의 신학자』, 서울 : 살림, 2003.
박아론, 『현대 신학 연구』,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1989.
이보민, 『현대 기독교 사상 비판』, 서울 : 개혁주의 신행협회, 1987.
Kenneth Hamilton, 옥한음 역, 『폴 틸리히』, 서울 : 개혁주의 신행협회, 1991.
Mackenzie Brown, 이계준 역, 『궁극적 관심 현대 청년과의 대화』,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71.
Tony Lane, 박도웅양정호 역, 『기독교 인물 사상 사전』, 서울 : 홍성사, 2008, 391-393.
William E. Horden, 장영태 역, 『개신교 신학 입문』, 서울 : 보이스사, 1990.
김균진, 폴 틸리히의 기독론과 그 문제점, 신학논단 16집, 1983, p239-272
서동익, 현대 신학 사상에 나타난 “실존”의 문제, 신학지남 58권 4집, 1991, p179-188
이종성, 틸릭의 신관, 신학논단 6집, 1961, p31-47
최인식, 폴 틸리히의 종교이해, 신학사상 88집, 1995, p170-205
최인식, 폴 틸리히의 상징론, 신학사상 90집, 1995, p152-194
키워드
추천자료
어거스틴(Aurelius Augustinus)의 신학사상
폴 틸리히의 신학적 해석학
폴틸리히의 기독론과 바르트의 기독론
[독후감] 「폴틸리히의 변증신학」에 대하여 _ 임형모 저
[한국기독교] 신율의 개념을 통해 살펴본 폴 틸리히의 문화신학 _ 종교와 문화의 상호관계, ...
[복음福音비평사] 합리주의 비평(RATIONALISTIC CRITICISM) - 성경의 영감성과 정확무오성에 ...
[복음비평사] 복음비평사의 과도기 - 바이세Christian (마가복음 우월성, 두 문서설, 결론),...
[복음비평사] 고전 자유주의(Old Liberalism) - 슈라이엘마허(Schleiermacher), 리츌(Ritschl...
[무신론적 신관] - 폴 틸리히, 디트리히 본회퍼, 존 로빈슨의 신학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