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글
2. 학교 자율화
3. 학교 자율화의 효과
4. 학교 자율화의 비판점
5. 나아가야할 방향
6. 마치면서
2. 학교 자율화
3. 학교 자율화의 효과
4. 학교 자율화의 비판점
5. 나아가야할 방향
6. 마치면서
본문내용
린 생각의 틀”(framework)을 통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입시위주의 교육풍토 속에서 학생들의 건강과 인권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아직까지 요원한 일이다. 그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0교시, 야간자율학습 문제를 완전히 단위학교에 맡겨 놓는 것은 아직은 이르다고 생각된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의 건강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은 국가적인 수준에서 보장해야 한다. 교육의 자율화는 엄연히 그 목적을 교육의 질의 향상으로 두고 있기 때문이다.
4) 권한이 중앙 정부에서 지방교육청을 거쳐 학교에 이양됨에 따라 자칫하면 학교장에게 과도한 권한이 집중될 수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먼저 학교장 스스로 민주적인 지도성을 발휘하여 책임과 권한을 적절하게 배분해야 하고, 교무회의와 운영위원회의 활성화를 통해서 학교의 의사결정 과정에 교직원 및 학부모들의 보다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6. 마치면서
선진국의 교육개혁에서 볼 수 있듯이 교육의 본질 추구, 수월성 추구, 교육행정의 본래 기능 수행 추구, 격변하는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교육행정 조직은 재구조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학교자율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행정의 분권화, 전문화, 내실있는 교육자치의 실현, 학교 자율권의 강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교과부나 교육청 차원의 통일성 보다는 단위학교의 다양성·효율성 추구에 중점을 두고 있는 이번 4.15 학교자율화 조치는 너무나 조급하게 그것을 이룩하려는 모습이 발견된다. 너무나 조급한 추진계획은 많은 문제를 불러 일으키리라는 것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 자율화라는 교육개혁은 이러한 비판점들을 수용하면서 교육의 질 향상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향해 꾸준히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한 곳
조화섭, 『New mind map 조화섭 교육학 상』, 현대고시사, 2005. 02. 05
신중식,「초·중등학교의 학교자율화 개선방안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논총 제20집, 2001
이종재, 이명박 정부 교육정책 100일의 성과와 과제. 2008. 5. 22
(한국교육개발원>교육정책 포럼>칼럼>교육시론)
네이버 까페 - 0교시,우열반,야자보충,학교자율화 반대 http://cafe.naver.com/no2mbedu/
학교자율화 국민제안마당 http://madang.edunet.net/
3)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입시위주의 교육풍토 속에서 학생들의 건강과 인권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아직까지 요원한 일이다. 그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0교시, 야간자율학습 문제를 완전히 단위학교에 맡겨 놓는 것은 아직은 이르다고 생각된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의 건강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은 국가적인 수준에서 보장해야 한다. 교육의 자율화는 엄연히 그 목적을 교육의 질의 향상으로 두고 있기 때문이다.
4) 권한이 중앙 정부에서 지방교육청을 거쳐 학교에 이양됨에 따라 자칫하면 학교장에게 과도한 권한이 집중될 수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먼저 학교장 스스로 민주적인 지도성을 발휘하여 책임과 권한을 적절하게 배분해야 하고, 교무회의와 운영위원회의 활성화를 통해서 학교의 의사결정 과정에 교직원 및 학부모들의 보다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6. 마치면서
선진국의 교육개혁에서 볼 수 있듯이 교육의 본질 추구, 수월성 추구, 교육행정의 본래 기능 수행 추구, 격변하는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교육행정 조직은 재구조화되어야 하기 때문에 학교자율화는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행정의 분권화, 전문화, 내실있는 교육자치의 실현, 학교 자율권의 강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교과부나 교육청 차원의 통일성 보다는 단위학교의 다양성·효율성 추구에 중점을 두고 있는 이번 4.15 학교자율화 조치는 너무나 조급하게 그것을 이룩하려는 모습이 발견된다. 너무나 조급한 추진계획은 많은 문제를 불러 일으키리라는 것은 누구나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 자율화라는 교육개혁은 이러한 비판점들을 수용하면서 교육의 질 향상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향해 꾸준히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한 곳
조화섭, 『New mind map 조화섭 교육학 상』, 현대고시사, 2005. 02. 05
신중식,「초·중등학교의 학교자율화 개선방안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논총 제20집, 2001
이종재, 이명박 정부 교육정책 100일의 성과와 과제. 2008. 5. 22
(한국교육개발원>교육정책 포럼>칼럼>교육시론)
네이버 까페 - 0교시,우열반,야자보충,학교자율화 반대 http://cafe.naver.com/no2mbedu/
학교자율화 국민제안마당 http://madang.edunet.net/
키워드
추천자료
[학교자율화]학교자율화 정책의 특징과 문제점, 교육자치를 위한 학교 자율화 추진계획의 (긍...
[학교안전공제회][학교사고][안전사고][학생사고]학교안전공제회의 의의, 학교안전공제회의 ...
학교 교육 자율화에 따른 학교장 권한 강화가 미치는 영향
[학부모참여]학부모학교참여(학부모교육참여)의 필요성, 학부모학교참여(학부모교육참여)의 ...
학교경영 자율화 정책의 방향에 관한 연구
고교평준화제도(고등학교평준화정책)와 사교육비증가, 고교평준화제도(고등학교평준화정책)와...
[학교갈등][학교운영위원회]학교갈등의 유형, 학교갈등의 원인, 학교갈등의 쟁점, 학교갈등과...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격, 학교운영위원회의 권한과 의무, 학교운영위원회의 종류와 원칙, 학교...
[학교운영위원회]학교운영위원회의 특징, 학교운영위원회의 대표성, 학교운영위원회의 법적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