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강독한 저작의 주요 내용 및 논지 요약
제1장 서론 : 경제위기와 수령 체계의 확립
제2장 1950년대 경제 위기 : 사회 정치 갈등과 조직 이기주의
제3장 행정 관료적 지도 체계의 한계와 당적 지도 체계의 확립
???? 본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 및 그 이유
???? 강독내용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이해되지 않는 내용, 의문점 등
제1장 서론 : 경제위기와 수령 체계의 확립
제2장 1950년대 경제 위기 : 사회 정치 갈등과 조직 이기주의
제3장 행정 관료적 지도 체계의 한계와 당적 지도 체계의 확립
???? 본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 및 그 이유
???? 강독내용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이해되지 않는 내용, 의문점 등
본문내용
했으나, 1962년을 거치면서 외적으로는 국제공산주의운동의 분열과 갈등으로 인해 그리고 내적으로는 사회주의 경제의 한계로 인해 점점 일그러지기 시작한다.
본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 및 그 이유
* 지금까지 나는 김일성이 수령의 위치에 오르는데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김일성 개인의 능력(책략)과 그의 항일 빨찌산 동지들 그리고 김일성에게 유리하게 돌아간 절묘한 타이밍의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책 ‘김일성 리더십 연구’를 강독하면서 나는 또 다른 새로운 강력한 요인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것은 바로 1950년대 당시 북한 경제의 자본 축적 위기로, 그러한 경제 상황이 당내 권력 투쟁과 연계되면서 김일성은 북한의 유일무이한 강력한 1인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물론 자본 축적 위기와 당내 권력 투쟁은 당시 김일성에게는 매우 큰 위기로, 그 위기를 극복해내지 못했다면 지금처럼 김일성이란 이름은 유명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김일성은 다양한 여러 위기가 최고조에 이른 ‘8월 종파 사건’을 극복해내었고 그를 통해 자신의 입지를 강화시켜 나갔다.
* 그러나 8월 종파사건 이후로 김일성이 평탄한 길을 걸었던 것은 아니었다. 스탈린이 했던 것처럼 유일관리제를 통해 당시 어려운 북한 경제상황을 타개해 보려 했으나, 행정 관료적 지도 체계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또 다시 큰 위기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이에 김일성은 복지부동하고 있던 행정 관료들을 제쳐두고 직접 생산자와 농민들을 찾아가 토론하면서 현지 지도하는 방식으로 대중의 지지를 얻어 또 하나의 큰 위기를 극복해 나간다. 이렇게 당과 대중의 위상이 강화되면서 김일성의 지시가 각 기층 당 조직에게까지 통하게 되는 당적 사상 체계가 확립하게 되었고 잇달아 천리마 운동, 천리마작업반운동, 청산리 방법 등이 성공을 거두게 되면서, 그는 ‘수령’으로서의 자신의 위치를 만들어 나갔다. 아직 책을 완독한 것은 아니지만 지금까지 강독한 결론은 지금처럼 김일성이 수령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김일성 개인의 능력이라기보다는 당시 여러 상황이 그가 수령이 되는데 유리한 방향으로 흘러갔기 때문이었음을 명확히 알 수 있었다.
강독내용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이해되지 않는 내용, 의문점 등
* 이 책을 읽으면서 다소 당황스러웠던 것은 「김일성 리더십 연구」라는 제목에서 풍기는 것처럼 정치·사회적인 부분에 대한 설명이 주를 이룰 것이라 생각했는데, 첫 부분부터 거래세, 협상가격차 등 다소 생소한 경제학 용어들로 당시 북한의 상황을 분석하고 있었던 것이다. 당연히 초기 북한 정권 수립과정에서 ‘수령체제’의 성립배경에 대해 알아보겠다고 펼친 책 속에 생소한 경제용어로 경제 위기를 설명하고 있으니 처음에는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당시 조세정책에 따라 북한 경제가 어떻게 변화하고, 또한 그러한 영향이 다시 당시 세력다툼을 벌이고 있던 김일성과 소련·연안파에게 각각 어떠한 영향이 미쳐졌는가를 알게 되니 점점 수긍이 되었다. 그 동안 정치·사회적인 측면에서 분석해 온 글들에 익숙해져 있던 나에게 이 책은 굉장히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 그런데 다소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역설적으로 너무 경제적인 측면에 치중하다 보니 정치·사회적인 면, 김일성 개인의 능력 등에 대해서는 너무 과소평가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저자의 논지에 대해 충분히 수긍하고 인정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김일성의 ‘수령체제’를 만드는데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정치·사회적인 면에 대한 분석을 조금 더 포함했었더라면 더 좋은 저작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본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 및 그 이유
* 지금까지 나는 김일성이 수령의 위치에 오르는데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김일성 개인의 능력(책략)과 그의 항일 빨찌산 동지들 그리고 김일성에게 유리하게 돌아간 절묘한 타이밍의 도움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책 ‘김일성 리더십 연구’를 강독하면서 나는 또 다른 새로운 강력한 요인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것은 바로 1950년대 당시 북한 경제의 자본 축적 위기로, 그러한 경제 상황이 당내 권력 투쟁과 연계되면서 김일성은 북한의 유일무이한 강력한 1인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물론 자본 축적 위기와 당내 권력 투쟁은 당시 김일성에게는 매우 큰 위기로, 그 위기를 극복해내지 못했다면 지금처럼 김일성이란 이름은 유명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김일성은 다양한 여러 위기가 최고조에 이른 ‘8월 종파 사건’을 극복해내었고 그를 통해 자신의 입지를 강화시켜 나갔다.
* 그러나 8월 종파사건 이후로 김일성이 평탄한 길을 걸었던 것은 아니었다. 스탈린이 했던 것처럼 유일관리제를 통해 당시 어려운 북한 경제상황을 타개해 보려 했으나, 행정 관료적 지도 체계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또 다시 큰 위기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이에 김일성은 복지부동하고 있던 행정 관료들을 제쳐두고 직접 생산자와 농민들을 찾아가 토론하면서 현지 지도하는 방식으로 대중의 지지를 얻어 또 하나의 큰 위기를 극복해 나간다. 이렇게 당과 대중의 위상이 강화되면서 김일성의 지시가 각 기층 당 조직에게까지 통하게 되는 당적 사상 체계가 확립하게 되었고 잇달아 천리마 운동, 천리마작업반운동, 청산리 방법 등이 성공을 거두게 되면서, 그는 ‘수령’으로서의 자신의 위치를 만들어 나갔다. 아직 책을 완독한 것은 아니지만 지금까지 강독한 결론은 지금처럼 김일성이 수령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김일성 개인의 능력이라기보다는 당시 여러 상황이 그가 수령이 되는데 유리한 방향으로 흘러갔기 때문이었음을 명확히 알 수 있었다.
강독내용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이해되지 않는 내용, 의문점 등
* 이 책을 읽으면서 다소 당황스러웠던 것은 「김일성 리더십 연구」라는 제목에서 풍기는 것처럼 정치·사회적인 부분에 대한 설명이 주를 이룰 것이라 생각했는데, 첫 부분부터 거래세, 협상가격차 등 다소 생소한 경제학 용어들로 당시 북한의 상황을 분석하고 있었던 것이다. 당연히 초기 북한 정권 수립과정에서 ‘수령체제’의 성립배경에 대해 알아보겠다고 펼친 책 속에 생소한 경제용어로 경제 위기를 설명하고 있으니 처음에는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당시 조세정책에 따라 북한 경제가 어떻게 변화하고, 또한 그러한 영향이 다시 당시 세력다툼을 벌이고 있던 김일성과 소련·연안파에게 각각 어떠한 영향이 미쳐졌는가를 알게 되니 점점 수긍이 되었다. 그 동안 정치·사회적인 측면에서 분석해 온 글들에 익숙해져 있던 나에게 이 책은 굉장히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 그런데 다소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은 역설적으로 너무 경제적인 측면에 치중하다 보니 정치·사회적인 면, 김일성 개인의 능력 등에 대해서는 너무 과소평가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저자의 논지에 대해 충분히 수긍하고 인정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김일성의 ‘수령체제’를 만드는데 절대적인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정치·사회적인 면에 대한 분석을 조금 더 포함했었더라면 더 좋은 저작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추천자료
[북한 연구] - 김일성 리더십 연구(1~3장) - 경제위기와 수령체제의 확립 1950년대 경제 위기...
[북한 연구] - 김일성 리더쉽 연구(1장~3장) - 1950년대 경제 위기 사회 정치 갈등과 조직 이...
[북한 연구] - 김일성 리더십 연구(1~3장) - 수령 체계의 성립 배경 1950년대 경제위기 중심
[북한 연구] - 이태섭의 김일성 리더십 연구 (1~3장) - 경제 위기와 수령 체계의 확립
[북한 연구] - 김일성 리더십 연구 - 계획의 일원화 세부화 체계 확립
[북한 연구] - 김일성 리더십 연구 - 강독 보고서 - 제 1~3장 서론 경제 위기와 수령체제의 ...
김일성 리더십 연구 (제1장~제3장) - 경제 위기와 수령체계의 확립 1950년대 경제위기
김정일 리더십 연구 - 수령체계의 형성과 발전 김일성주의화 후계자론
[북한 연구] - 김일성 리더십 연구 이태섭 (도서출판 들녘 2001) - 제 1~5장 경제 위기와 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