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고 지시하는 말, 타이르고 꾸중하는 말, 조롱하고 무시하는 말, 위협하고 매수하는 말, 진단하고 예언하는 말과 같은 식의 대화 방법을 써서는 안 된다. 대신 아이의 마음속에 있는 불안과 두려움, 기쁨, 성취감 등을 읽어내고 그 상황에 대해서 설명하는 말을 써야 할 것이다.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만 가지고는 교사를 전문가라고 할 수 없다. 아이들의 존재 그 자체를 존중해주는 말을 할 줄 아는 기술, 평가 없이 칭찬할 줄 아는 기술, 아이들 스스로 자존감을 갖도록 북돋워주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가 굉장히 수용적인 자세를 갖추고 있어야지만 가능한 일이다. 인간관계에 어느 정도 능숙해야하는 것도 필요하다. 지금 당장부터라도 떨치고 일어나 이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 노력해야겠다.
지식을 전달하는 지식 전달자로서의 교사가 아닌 아이들을 사랑하고 아끼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교사가 되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해야겠다는 생각뿐이다. 인격을 말하지 않고 상황에 맞추어 이야기하며, 지식만이 아닌 아이들의 정서를 헤아리는 그런 교사.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교사를 이 책에서 보여주는 것 같다. 이 책을 통해 교실에서 아이들과 어떻게 의사소통해야 하는지 많이 배웠으니 미래의 내가 맡을 내 반을 조금 더 아이들을 생각하며 발전적인 교실을 만들어야겠다. 하지만 책에 나오는 내용을 기억한다고 하여 미래에 내가 무조건적으로 그렇게 한다는 보장은 없다. 그대로 한다기 보다는 내가 아이들에게 말 할 때 그 말 한 마디 한 마디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며 아이들에게 상처가 되지 않도록 심사숙고하는 자세가 가장 중요하다.
아이들을 사랑하는 마음만 가지고는 교사를 전문가라고 할 수 없다. 아이들의 존재 그 자체를 존중해주는 말을 할 줄 아는 기술, 평가 없이 칭찬할 줄 아는 기술, 아이들 스스로 자존감을 갖도록 북돋워주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가 굉장히 수용적인 자세를 갖추고 있어야지만 가능한 일이다. 인간관계에 어느 정도 능숙해야하는 것도 필요하다. 지금 당장부터라도 떨치고 일어나 이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 노력해야겠다.
지식을 전달하는 지식 전달자로서의 교사가 아닌 아이들을 사랑하고 아끼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교사가 되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해야겠다는 생각뿐이다. 인격을 말하지 않고 상황에 맞추어 이야기하며, 지식만이 아닌 아이들의 정서를 헤아리는 그런 교사.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교사를 이 책에서 보여주는 것 같다. 이 책을 통해 교실에서 아이들과 어떻게 의사소통해야 하는지 많이 배웠으니 미래의 내가 맡을 내 반을 조금 더 아이들을 생각하며 발전적인 교실을 만들어야겠다. 하지만 책에 나오는 내용을 기억한다고 하여 미래에 내가 무조건적으로 그렇게 한다는 보장은 없다. 그대로 한다기 보다는 내가 아이들에게 말 할 때 그 말 한 마디 한 마디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며 아이들에게 상처가 되지 않도록 심사숙고하는 자세가 가장 중요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