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시대와 구비문학의 관계성에 대한 탐구 한민족과 세계 그리고 구비문학의 요약과 논평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문화 시대와 구비문학의 관계성에 대한 탐구 한민족과 세계 그리고 구비문학의 요약과 논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요 약

1. 서 론 : 다문화-다문화주의-구비문학

2. 다문화 시대에 대한 구비 학문적 대응

3. 다문화적 관점에서 본 고대 건국신화

4. 결 론

Ⅱ. 논 평

본문내용

서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Ⅱ. 논평
\"구비문학으로 다문화사회를 본 다\"
논문에서 \'한민족과 세계, 그리고 구비문학-21세기적 상황을 중심으로ㅡ\'라는 제목의 발제에서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다문화 사회의 대응이 국가 및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외국이론에만 의존하거나 보편적인 이론에 경도돼 공론에 함몰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자생적인 이론을 탐색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한민족과 타민족이 혼거하면서 접촉했을 때 어떤 문화적 상관관계를 이뤘는지에 관해 구비문학적 조망이 요망된다”며 \"구비문학을 창조적인 측면과 효용성을 강조하는 \'현재학\'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다문화적 관점에서 고조선과 신라의 건국신화를 분석한 점이 눈길을 끌었다.
논문에서 \"단군신화는 청동기문화에 먼저 진입한 알타이족이 아직 신석기문화에 머물러있던 고아시아족을 정복하고 이룩한 정치적. 종교적. 사회적. 문화적 통합을 신화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말한다. 논문은 또 \"박혁거세신화의 경우 신라의 건국 초기에 문화가 다른 두 종족이 결합해 다문화사회를 이룩한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며 \"박혁거세의 난생은 유목문화를 지닌 이주민이 토착민의 농경문화를 수용한 것을 의미 한다\"고 설명했다.
다문화 시대는 이제 시작이므로 구비문학의 학문적 대응은 대광맥을 찾은 셈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국내외의 통합적 연구는 구비문학계가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하며 이 논문은 이러한 구비문학 연구의 방향에 대한 구체적 사례연구를 꾀하여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큰 의의가 있는 논문이라고 생각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6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