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삶의 물적 기초인 파편화된 모던 컨디션과 짝지어진 ‘훼손된 삶’에 대한 거울이며; ⅱ) 파시즘에 강타 당한 개인의 ‘내부 파열’에 대한 창이며; ⅲ) 의미를 박탈당한 언어의 넌센스, 즉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한 교란이었으며; ⅳ) 검열의 장벽 너머로 메시지를 넘기는 수화의 문법이었다고 할까요? ”와 같이 말하면서도 그 자신이 시를 쓴 것은 결국 ‘견딜 수 없어서’썼다고 말함으로써 황지우의 시세계의 가장 큰 특징인 파괴된 형식과 현실 인식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5. 문학사적 의의
황지우의 시는 현실에 대한 역사에 대한 치열한 참여로 씌어진다. 그의 시는 공격의 미학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을 조화시키려는 노력이 보이는 시이다. 민중시와 모더니즘시라는 이질적인 두 세계를 하나로 통합시킬 수 있었던 시인이 황지우이다. 민중시 운동이 부분적으로 드러내고 있던 극단적 이념 추구 방향뿐 아니라, 순수시의 정서적 안일성까지도 극복의 대상으로 삼고 다양한 실험적 기법을 사용하여 언어의 힘을 최대로 활용하였다. ‘시를, 당대에 대한, 당대를 위한, 당대의 유언으로’ 쓰고자 했던 그에게 있어 세계를 향한 언어적 대응으로서의 상징과 풍자, 그리고 이를 향한 끊임없는 언어적 탐구는 그의 시 정신의 중심이며, 세계에 대응하는 우회적인 현실 대응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능력이 한편으로는 그의 시가 지적 허무주의나 무의미한 언어 유희로 떨어질 위험성을 내포한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그러나 섬세한 서정성과 언어적 감수성으로 현실을 풍자하고 비판한다는 점에서 문학사적으로 의의가 있는 작품이라고 볼 수가 있겠다.
※ 참고문헌
황지우 외(1995), 『황지우 문학앨범』, 웅진출판
남송우(1991), ‘황지우, 나는 〈새〉에서 기는 〈게〉까지 ’, 오늘의 문예비평, 오늘의 문예비평
박순재(1994), ‘황지우의 시 연구’, 돈암어문학, 돈암어문학회
김신정(1998), ‘황지우론 - 자기갱신의 꿈, 유토피아를 향한 욕망’, 현대문학의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여지선(2001), ‘황지우론 - 시론(詩論)과 시작(詩作)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건국대학교
이성우(2004), ‘1990년대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이념의 아노미와 전환기적 모색’,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진연권(2009), ‘황지우 초기 시 연구 : 현실에 대한 체험과 인식, 대응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5. 문학사적 의의
황지우의 시는 현실에 대한 역사에 대한 치열한 참여로 씌어진다. 그의 시는 공격의 미학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을 조화시키려는 노력이 보이는 시이다. 민중시와 모더니즘시라는 이질적인 두 세계를 하나로 통합시킬 수 있었던 시인이 황지우이다. 민중시 운동이 부분적으로 드러내고 있던 극단적 이념 추구 방향뿐 아니라, 순수시의 정서적 안일성까지도 극복의 대상으로 삼고 다양한 실험적 기법을 사용하여 언어의 힘을 최대로 활용하였다. ‘시를, 당대에 대한, 당대를 위한, 당대의 유언으로’ 쓰고자 했던 그에게 있어 세계를 향한 언어적 대응으로서의 상징과 풍자, 그리고 이를 향한 끊임없는 언어적 탐구는 그의 시 정신의 중심이며, 세계에 대응하는 우회적인 현실 대응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능력이 한편으로는 그의 시가 지적 허무주의나 무의미한 언어 유희로 떨어질 위험성을 내포한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그러나 섬세한 서정성과 언어적 감수성으로 현실을 풍자하고 비판한다는 점에서 문학사적으로 의의가 있는 작품이라고 볼 수가 있겠다.
※ 참고문헌
황지우 외(1995), 『황지우 문학앨범』, 웅진출판
남송우(1991), ‘황지우, 나는 〈새〉에서 기는 〈게〉까지 ’, 오늘의 문예비평, 오늘의 문예비평
박순재(1994), ‘황지우의 시 연구’, 돈암어문학, 돈암어문학회
김신정(1998), ‘황지우론 - 자기갱신의 꿈, 유토피아를 향한 욕망’, 현대문학의 연구, 한국문학연구학회여지선(2001), ‘황지우론 - 시론(詩論)과 시작(詩作)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 건국대학교
이성우(2004), ‘1990년대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이념의 아노미와 전환기적 모색’,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진연권(2009), ‘황지우 초기 시 연구 : 현실에 대한 체험과 인식, 대응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