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정적 강화
II. 정적 강화의 활용방법
III. 부적 강화
IV. 간헐적 강화
V. 강화기법
VI. 강화자극의 종류
1. 정적 강화 자극의 종류/예시
2. 혐오 자극의 종류/예시
3. 그 밖의 벌
* 참고문헌
II. 정적 강화의 활용방법
III. 부적 강화
IV. 간헐적 강화
V. 강화기법
VI. 강화자극의 종류
1. 정적 강화 자극의 종류/예시
2. 혐오 자극의 종류/예시
3. 그 밖의 벌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을수록 시간을 두고 제공되는 강화의 효과가 반감된다. 개별성은 아동에게 특별한 의미를 주는 강화이어야 하며, 개별적 욕구를 고려해야 한다. 개인에 따라 어떤 강화는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행동을 했을 때, 그 아동만을 데리고 영화를 본다든지 하는 특별하면서도 개별적 욕구를 존중하는 강화가 효과적이다.
물질적 강화는 장기적인 효과를 거두기 힘들다. 물론 아동이 각별하게 소망하던 물질은 효과가 있다. 하지만 요즈음은 물질적으로 풍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무엇인가를 사준다든가 하는 물질적인 강화물은 일시적인 효과를 거둘 수는 있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아동에게 커다란 매력으로 작용할 수 없다. 초기에는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동기 유발을 위해 물질적인 강화를 제공하는 것도 괜찮지만 점차 사회적 강화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물질적 강화는 장기적인 효과를 거두기 힘들다. 물론 아동이 각별하게 소망하던 물질은 효과가 있다. 하지만 요즈음은 물질적으로 풍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무엇인가를 사준다든가 하는 물질적인 강화물은 일시적인 효과를 거둘 수는 있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아동에게 커다란 매력으로 작용할 수 없다. 초기에는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동기 유발을 위해 물질적인 강화를 제공하는 것도 괜찮지만 점차 사회적 강화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참고문헌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행동주의/학습이론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배경과 성격,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 중요...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의 제 모델 - 인지행동 모델 (역사적 기원과 발달, 기분 가정 ...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인지상담이론/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핵심적 내...
행동주의 기법에서 강화를 통한 개입의 의미를 정의하고, 정적강화와 부적강화의 개념과 사례...
행동주의 기법에서 강화를 통한 개입의 의미를 정의하고 정적강화와 부적강화의 개념과 사례...
행동주의 기법에서 강화를 통한 개입의 의미를 정의하고 정적강화와 부적강화의 개념과 사례...
인간행동과사회환경]행동주의 기법에서 강화를 통한 개입의 의미를 정의하고 정적강화와 부적...
[행동주의상담이론] 행동주의이론의 기본관점과 접근방향(행동주의치료기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