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본문내용
<다문화주의 시민권>
1장 - 서론
1-1. 문제의 쟁점들
다양성으로 인해 촉발된 인종문화적 갈등은 세계에서 정치적 폭력의 가장 공통적인 원천이 되어 왔으며 더 심해지는 중임: 이 책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새로운 접근(자유주의적 접근)을 제시할 것
2차 대전 이후 소수자집단권리에 대한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 명백해졌고, 많은 자유주의자들은 ‘인권’에 대한 새로운 강조가 소수자집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음 -> 유엔은 인권선언에서 인종문화적 및 소수민족들의 권리에 대한 모든 언급을 제거: 모든 인간의 기본적인 개인적 권리를 보장한다는 보다 광범위한 문제 하에 소수민족의 문제를 묻어둔 것.
우파와 좌파 상관없이 거의 모든 전후 자유주의자들이 계속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것은 특정 집단에 한해 차별적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문화적 차이를 수용하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 -> 전통적 인권 원칙으로는 소수자집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음
자유주의적 소수자집단권리 이론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공정하게 해결해야 함. 소수자집단권리가 어떻게 인권과 공존할 수 있는지, 소수자집단권리가 어떻게 개인적 자유, 민주주의, 그리고 사회정의의 원칙들에 의해 제한되고 있는지를 설명해야 함.
1-2. 개요
2장: 여러 가지 형태의 문화적 다원주의를 다룸, 다민족 국가와 다인종문화 국가 구분, 소수자집단권리의 유형-집단적 권리 (자치권, 다인종문화 권리, 특별대표권) 제시
3장: 이 집단적 권리와 개인적 권리의 관계 탐구
4장: 본격적으로 자유주의와 소수자집단권리 간의 역사적 관계 추적
5장: 자유민주주의 이론 내에서의 ‘문화’의 역할, ‘사회고유문화’, 문화 소속감 설명
6장: 이러한 자유주의의 개념에 기초하여, 인종문화적 집단과 소수민족들을 위한 집단차별적 권리를 옹호하는 세 가지 주요 주장 탐구(평등근거, 역사근거, 문화적 다양성 자체)
7장: 정치적 대표의 문제; 특정한 인종문화적 또는 민족적 집단의 구성원들을 위한 중앙 입법부에서의 의석 보장 제안
8장: 자유주의자들이 소수자집단들의 비자유주의적(전체사회 구성원들의 권리를 제한할 수 있는) 요구에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가를 논의
9장: 집단차별적 권리가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공유된 정체성의 개발을 방해할 것이라는 우려의 문제 다룸
10장: 저자의 결론
2장- 다문화주의 정치
현대사회는 점점 더 많아지는 소수자집단과 그들의 문화적 차이 수용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다문화주의’라는 말은 일반화가 어려움
저자가 초점 맞추려는 문화적 다양성의 두 가지 광범위한 패턴
1) ‘소수민족’: 이전에 자치적이었던, 그리고 영토적으로 집중되어 있던 문화들을 보다 광범위한 전체사회로 통합하였던 것으로부터 발생한 문화적 다양성
- 다수 주류 문화와의 병행, 자신들을 고유한 사회로 유지하기 원함. 다양한 형태의 자율성과 .자치 요구
2) ‘인종문화적 집단’: 개인적 및 가족적 이민으로부터 발생하는 문화적 다양성
- 주류 사회의 제도와 법들이 문화적 차이를 보다 수용할 수 있도록 수정을 요구
소수자 집단들의 역사적 병합 과정이 자신들의 집단적 제도, 정체성 그리고 열망을 어떻게 형성하였는지 살펴보아야 함.
1장 - 서론
1-1. 문제의 쟁점들
다양성으로 인해 촉발된 인종문화적 갈등은 세계에서 정치적 폭력의 가장 공통적인 원천이 되어 왔으며 더 심해지는 중임: 이 책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새로운 접근(자유주의적 접근)을 제시할 것
2차 대전 이후 소수자집단권리에 대한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 명백해졌고, 많은 자유주의자들은 ‘인권’에 대한 새로운 강조가 소수자집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음 -> 유엔은 인권선언에서 인종문화적 및 소수민족들의 권리에 대한 모든 언급을 제거: 모든 인간의 기본적인 개인적 권리를 보장한다는 보다 광범위한 문제 하에 소수민족의 문제를 묻어둔 것.
우파와 좌파 상관없이 거의 모든 전후 자유주의자들이 계속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것은 특정 집단에 한해 차별적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문화적 차이를 수용하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 -> 전통적 인권 원칙으로는 소수자집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음
자유주의적 소수자집단권리 이론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공정하게 해결해야 함. 소수자집단권리가 어떻게 인권과 공존할 수 있는지, 소수자집단권리가 어떻게 개인적 자유, 민주주의, 그리고 사회정의의 원칙들에 의해 제한되고 있는지를 설명해야 함.
1-2. 개요
2장: 여러 가지 형태의 문화적 다원주의를 다룸, 다민족 국가와 다인종문화 국가 구분, 소수자집단권리의 유형-집단적 권리 (자치권, 다인종문화 권리, 특별대표권) 제시
3장: 이 집단적 권리와 개인적 권리의 관계 탐구
4장: 본격적으로 자유주의와 소수자집단권리 간의 역사적 관계 추적
5장: 자유민주주의 이론 내에서의 ‘문화’의 역할, ‘사회고유문화’, 문화 소속감 설명
6장: 이러한 자유주의의 개념에 기초하여, 인종문화적 집단과 소수민족들을 위한 집단차별적 권리를 옹호하는 세 가지 주요 주장 탐구(평등근거, 역사근거, 문화적 다양성 자체)
7장: 정치적 대표의 문제; 특정한 인종문화적 또는 민족적 집단의 구성원들을 위한 중앙 입법부에서의 의석 보장 제안
8장: 자유주의자들이 소수자집단들의 비자유주의적(전체사회 구성원들의 권리를 제한할 수 있는) 요구에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가를 논의
9장: 집단차별적 권리가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공유된 정체성의 개발을 방해할 것이라는 우려의 문제 다룸
10장: 저자의 결론
2장- 다문화주의 정치
현대사회는 점점 더 많아지는 소수자집단과 그들의 문화적 차이 수용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다문화주의’라는 말은 일반화가 어려움
저자가 초점 맞추려는 문화적 다양성의 두 가지 광범위한 패턴
1) ‘소수민족’: 이전에 자치적이었던, 그리고 영토적으로 집중되어 있던 문화들을 보다 광범위한 전체사회로 통합하였던 것으로부터 발생한 문화적 다양성
- 다수 주류 문화와의 병행, 자신들을 고유한 사회로 유지하기 원함. 다양한 형태의 자율성과 .자치 요구
2) ‘인종문화적 집단’: 개인적 및 가족적 이민으로부터 발생하는 문화적 다양성
- 주류 사회의 제도와 법들이 문화적 차이를 보다 수용할 수 있도록 수정을 요구
소수자 집단들의 역사적 병합 과정이 자신들의 집단적 제도, 정체성 그리고 열망을 어떻게 형성하였는지 살펴보아야 함.
추천자료
한국의 다문화정책 현황과 발전전략
[상상력과 문학 A공통] 일원론/이원론과 다문화주의의 관계에 대하여 논하시오
1.다문화 주의적 프로그램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2.결혼이주민 여성 교육(가칭)을 다문화 ...
[다문화사회와 교육] 다문화의 배경과 다문화주의의 이론, 정책과 교육, 활동영역 및 해당 국...
[다문화사회복지] 다문화주의 관련 이론들 - 다문화주의와 시민권, 이주민과 사회통합(차별적...
[세계의정치와경제]현대사회에서 인권과 시민권이 발전되어 온 과정을 살펴보고 현재 우리 사...
난민
이주민소수자의 현황과 대안
사회복지문화와다양성2019문화적 다양성의 배경을 가진 외국인(주민) 또는 다문화가족이 겪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