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미한다. 민주적인 집단이나 제도는 의사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비판적 사고나 토론을 구속하지 않는 단체이다. 모든 구성원들이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자유롭고 동등하게 주어지고 모두에 의한 비판적 과정이 실현된다면 그 상황에서 민주적 선택은 옳은 선택이라 할 수 있다.
6) 옳은 일 하기
도덕적 의사결정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우리가 무엇을 해야 옳은 것인가를 결정하고 옳다고 결정한 것을 행하는 것이다.
5. 논 의
이 장에서는 인간발달에 대한 상호구성주의자들의 관점을 제시하였으며 개인 또는 집단의 도덕적 딜레마의 문제에서 상호구성주의 윤리가 어떻게 옳은 결정을 하는지를 설명했다. 비판적민주적 의사결정은 우리의 선택을 확신하거나 잘못된 신념에서 행동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을 도울 뿐 우리의 선택을 정당화시키는 이론의 타당성을 확증해주지는 않는다. 따라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우리의 선택에 대한 책임을 지기 위해 가장 비판적 검증이 가능한 우리의 선택을 기꺼이 따르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개인과 공유된 삶에 관한 도덕적 책임을 따름으로써 잘못된 신념에 따라 행동하거나 사는 것을 피하기 위해 노력 할 수 있는 것이다.
6) 옳은 일 하기
도덕적 의사결정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우리가 무엇을 해야 옳은 것인가를 결정하고 옳다고 결정한 것을 행하는 것이다.
5. 논 의
이 장에서는 인간발달에 대한 상호구성주의자들의 관점을 제시하였으며 개인 또는 집단의 도덕적 딜레마의 문제에서 상호구성주의 윤리가 어떻게 옳은 결정을 하는지를 설명했다. 비판적민주적 의사결정은 우리의 선택을 확신하거나 잘못된 신념에서 행동하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을 도울 뿐 우리의 선택을 정당화시키는 이론의 타당성을 확증해주지는 않는다. 따라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우리의 선택에 대한 책임을 지기 위해 가장 비판적 검증이 가능한 우리의 선택을 기꺼이 따르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개인과 공유된 삶에 관한 도덕적 책임을 따름으로써 잘못된 신념에 따라 행동하거나 사는 것을 피하기 위해 노력 할 수 있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