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견 안락사 찬성 [유기견 안락사 허용하라] 찬반 토론자료 한양대 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기견 안락사 찬성 [유기견 안락사 허용하라] 찬반 토론자료 한양대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Main Opinion. 유기견 문제의 가장 현실적인 대안
#2. Main Opinion. 안락사를 문제삼는 것이 아닌 주인에게 일정부분 책임을 지우는 제도가 필요
#3. [강력한 주장] (반대측) 유기견 안락사는 인간 편의주의적 해결법
1] [강력한 주장] (반대측) 경제적 문제로 다른 동물을 안락사시켜도 된다고요?
#4. (반대측) 안락사말고 다른 해결법이 있을 것이다.
#5. (반대측) 미국과 독일의 경우, 반려견에 대한 관리가 잘 되고 있다.
#6. (반대측) 유기견 문제는, 개개인의 책임뿐만 아니라 사회의 책임도 있다.
#7. (반대측) 반려동물을 책임질 수 없다고 판단되는 사람은 못 키우게 하자.

본문내용

대한 높은 입양률과 반려동물을 위한 각종 제도, 그리고 본질적으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의 의식수준에 있습니다.
물론, 이런 것들이 우리나라라고 해서 못할 것은 없다고 저도 생각하는 바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기본적인 인프라가 갖춰진 다음에야 시행이 가능한 일이지, 당장 이러한 것들을 따라 하고 사람들의 인식을 개선하는 것은 안타깝지만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무엇보다 짧은 시간 내에 할 수 있는 것들도 아니고요.
그렇다면, 이러한 제도를 따라 하는 과정에서, 그 기간 동안 안락사를 시키지 않는다면, 다른 해결책이 있어야 합니다. 당장만 해도 모든 유기견을 관리할 만큼의 시설, 인력, 능력도 부족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일단 안락사는 안되고, 미국과 독일의 경우를 따라 하자는 말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6. (반대측) 유기견 문제는, 개개인의 책임뿐만 아니라 사회의 책임도 있다.
----------------------------------------------------------------
유기동물 문제를 사회의 책임으로 하여, 우리 사회의 모두가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말씀하시는 것은 오류가 있습니다. 가장 근본적으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의 책임입니다. 반려동물을 키우고 싶다는 사람들이 분양을 받거나, 애견샵에서 사 와서 자발적으로 데려와 키워서 버린 것입니다.
어떻게, 이 문제를 평생 반려동물을 키워본 적도, 키울 생각도 없는 사람들에게 책임을 전가해서 함께 해결하자고 하십니까? 말이 된다고 생각하시나요?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 따로 있고, 치우는 사람 따로 있다는 표현으로 보입니다.
#7. (반대측) 반려동물을 책임질 수 없다고 판단되는 사람은 못 키우게 하자.
----------------------------------------------------------------
반려동물을 책임질 수 없는 사람은 반려동물을 키우지 못하게 하자는 정책은 명백하게 위헌일 것이라 생각됩니다.
법적인 부분을 떠나서, 말씀하신 데로 해본다면 반려동물을 책임질 수 있다는 기준은 무엇이 돼야 할까요? 당연히, 경제력을 따질 것입니다. 경제력이 부족한 사람은 반려동물을 못 키우게 한다? 이것은 매우 자본주의스러운 생각이고, 비인간적인 생각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차라리, 반려동물을 키우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더 지원을 해주다가 맞는 방향인 것 같습니다.
  • 가격1,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7.13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38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