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 제왕절개 케이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간호 제왕절개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ⅰCesarean Section>
<ⅱ.Breech>
Ⅱ. 제왕절개분만 산부의 건강사정 도구
ⅰ) 산부의 건강사정
ⅱ) 제왕절개 분만 과정
Ⅲ. 간호과정
ⅰ) 시나리오
ⅱ) 임상 검사
Ⅳ. 간호과정의 적용
Ⅴ. 제왕절개 분만 퇴원환자 교육

본문내용

을 사정한다.
3. 출혈을 나타내거나 출혈 위험성을 나타내는 Lab 결과를 모니터한다.
1.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건강 상태의 변화를 관찰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정보이다.
2,3. 자궁수축의 부전이나 다른 이상 요인으로 출혈이 계속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치료적 계획>
1. 수술부위 지혈을 돕기 위하여 모래주머니를 배위에 올려둔다.
2. 자궁저부의 수축정도와 단단한 정도를 사정하고 마사지 한다.
1. 수술부위를 지혈시키고, 복부의 움직임의 범위를 줄어들게 하여 통증을 경감시켜주고, 출혈의 위험성을 줄여준다.
2. 분만 후 자궁이 수축되면서 지혈이 되고, 자궁저부를 마사지 하면 자궁퇴축을 돕고 출혈량을 감소시킨다.
<교육적 계획>
1. 철분제 복용의 필요성과 복용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2. 활동 시 주의점에 대해 설명한다.
1. 출혈로 인한 빈혈을 예방하기 위해 철분제를 투여하고, 퇴원 후 철분제 복용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2. 갑자기 움직이면 어지러울 수 있기 때문에 일어나거나 앉을 때, 자세를 바꿀 때 천천히 움직이도록 한다.
간호중재
- 매 duty 마다 V/S을 측정하여 대상자의 건강 상태의 변화를 관찰하였다.18/5/29
BP
P
R
BT
MN 12:00
125/74
75
20
37.2
AM 2:00
122/82
82
20
37.1
AM 4:00
111/80
80
20
37.0
AM 7:00
108/66
77
20
36.9
AM 10:00
125/82
74
20
36.6
PM 13:00
123/80
73
20
36.7
PM 21:00
126/82
71
20
36.8
18/5/30
BP
P
R
BT
AM 10:00
122/82
72
20
36.9
PM 13:00
121/80
71
20
36.6
PM 21:00
126/79
73
20
36.8
18/5/31
BP
P
R
BT
AM 10:00
121/81
71
20
36.8
PM 13:00
119/80
71
20
36.6
PM 21:00
124/77
73
20
36.7
18/6/1
BP
P
R
BT
AM 10:00
120/77
74
20
36.5
PM 13:00
124/84
75
20
36.8
PM 21:00
120/72
72
20
36.8
- 대상자가 회음패드가 젖었다고 말하면, 시트를 갈아주며 오로의 양상을 확인하였다.오로 양상
5/28
5/29
5/30
5/31
6/1
양, 냄새, 색
패드 4~5장 / 월경냄새 /
붉은 색
패드 3~4장 / 월경냄새
붉은 색
패드 2~3장 / 월경냄새 /
붉은 색
패드 1~2장 / 월경 냄새 약간 / 갈색 혈
lab검사 결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구분
항목
결과
4/30
(산전검사)
5/28
(수술 전)
5/29
(수술 후)
6/1
CBC
RBC(Red Blood Cell)
3.31▼
3.07▼
4.4
Hb(Hemoglobin)
11.7▼
10.4▼
9.2▼
12.2
Hct(Hematocrit)
35.5▼
30.3▼
27▼
37.3
- 복부에 모래주머니를 올려 드리고, 이동시에는 복대를 제공하여, 압력으로 인한 통증예방을 해 드렸다. 또한 이동 시 스스로 복대를 착용 할 수 있도록 교육 하였다.
- 자궁저부를 촉지 하여 단단한지, 어느 정도 수축되었는지를 파악하고 부드럽고 조심스럽게 마사지하였다. 자궁퇴축 및
자궁저부
5/28
5/29
5/30
5/31
6/1
자궁저부
형태, 위치, 단단함
원형 /
단단함 /
배꼽 위 2cm
원형 /
단단함 /
배꼽 위
1cm
원형 /
단단함 /
배꼽 위치
원형 /
단단함 /
배꼽 아래
0.5cm
원형 /
단단함 /
배꼽 아래
1cm
- 철분제 복용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self 훼로바유 서방정 복용)
⇒ 1일 1~2회 식후 씹지 않고 삼켜서 복용하도록 교육함.
- 일어나거나 앉을 때, 자세를 바꿀 때, 산책 할 때, 기립성 저혈압의 위험이 있으므로 꼭 보호자가 옆에서 도와주도록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 퇴원 시까지 매일 대상자의 자궁을 촉진하여 수축이 되었는지 확인하였는데 원활하게 이루어 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달성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출혈양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 달성
- 철분제 복용, 출혈양상 사정 등의 중재를 통하여 RBC, Hb, Hct이 5일 이내에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 달성
해결
Ⅴ. 제왕절개 분만 퇴원환자 교육
외래방문: 퇴원시 다은 방문일을 예약해주세요.
소독: 수술부위 거즈는 이틀후에는 떼어내어도 되며, 수술부위는 소독을 안하셔도
됩니다. (흡수되는 봉합사를 이용하므로 실밥제거도 안하게 됩니다)
오로: 4~5일간 갈색의 혈장성 분비물
10~6주: 누런 크림모양의 분비물을 보이나 혈액성 분비물이 지속될때는 진찰을 요합니다.
4. 샤워,목욕: 샤워는 퇴원 2일 후 상처부위의 자극을 피하여 하실 수 있으며 통 목욕은 6주 후까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5. 운동: 심호흡 동작부터 시작해서 2주후 경 가벼운 체조로 신체적 회복의 과정을 앞당기시면 좋습니다.
6. 부부관계: 4~6주까지는 피하는 것이 좋으며 생리전에도 임신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치의와 상의 후, 적절한 피임이 필요합니다.
7. 약복용: 퇴원약은 모유수유에 영향이 없으므로 끝까지 복용하시고 철분제도 수유중에 복용하셔도 됩니다.
8. 주의사항: 과다출혈, 고열, 복통이 있는 경우는 내원하셔서 진료를 요합니다.
※기타 문의사항은 병원으로 연락주세요
※ 참고문헌
1. 제4판 여성건강간호학Ⅰ,Ⅱ. 현문사. 박영주 외.
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3.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원종순 외.
4. 제7판 모성간호학 여성건강간호학Ⅰ,Ⅱ. 수문사. 김미영 외.
5. Women Health Nursing 모성간호학. 퍼시픽북. 최명희 외.
6.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7. 두산백과
8. 네이버 지식백과
9. 사진첨부 : [www.google.co.kr] , 네이버 건강
10. 약품정보 :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20.11.02
  • 저작시기201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89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