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염기 불균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염기 불균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호흡성산증
2.호흡성 알칼리증
3.대사성 산증
4.대사성 알칼리증

본문내용

가 증가되어 PH가 증가하는 것입니다. 보상작용으로 PaCO2가 증가되는데 보통 중탄산염 증가에는 소듐의 증가, 염소의 감소, 포타슘 부족이 동반되기 때문에 중탄산염은 배출되지 않고 재흡수됩니다. 수소 이온 농도와 탄산을 증가기키기 위해 폐에서는 호흡저하가 나타나게 되고, 소변은 중탄산염을 배설하고 암모니아의 형성을 억제하게 됩니다. 젖산과 케톤산에서 생긴 수소 이온은 신장에서 재흡수됩니다.
ABGA상 PH 7.45이상, HCO3 26mEq/L이상이고 PCO는 정상, Base excess는 +3이상입니다. 또한 CFS상, UA상에 PH가 증가합니다. EKG상 T파, U파에서는 저칼륨혈증에서 나타나는 변화가 생깁니다. 혈압, 맥박, 의식이 조금만 변하여도 호흡부전으로 인한 심폐 쇼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치료로는 환기를 증진시키고 의식 수준에 적합한 안전 대책을 강구합니다. 제산제를 복용할 경우에는 올바로 투약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시킵니다. 울혈성 심부전이 없고 위액 상실 및 저칼륨혈증일 때에는 N/S에 KCL을 mix 하여 IV합니다. Diamox(acetazolamide)와 같은 이뇨제는 신장에서 중탄산염(HCO3)의 배설을 증가시키므로 유용합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1.06.08
  • 저작시기20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0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