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간호사정
1. 출생력
2. 건강력
3. 신체사정
4. 검사결과
5. 투여약물
B 간호과정
c. 출처
1. 출생력
2. 건강력
3. 신체사정
4. 검사결과
5. 투여약물
B 간호과정
c. 출처
본문내용
였다.
- yellow color로 다량의 분비물이 thick 한 양상이 관찰되었다. (06:00)
- yellow color로 다량의 분비물이 thick 한 양상이 관찰되었다. (10:00)
- yellow color로 소량의 분비물이 thick 한 양상이 관찰되었다. (14:00)
- yellow color로 소량의 분비물이 thick 한 양상이 관찰되었다. (18:00)
4-1. nebulizer의 사용법과 적응증, 사용 후 주의사항 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8:00)
4-2. 환아가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 보호자가 nebulizer를 분무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8:30)
5-1. 흉부물리요법 전 nebulizer를 분무하여 분비물 배출을 원활하게 하였으며 체위배액 시 자세를 잡을 수 없는 아기를 대신하여 부모가 머리와 몸을 지지하도록 교육하였다. (8:00)
5-2. 간호사가 손을 컵모양으로 만들어
흉벽을 두드렸다. (08:00부터 8시간 마다)
6-1. 보호자에게 10분마다 5-10ml정도의 보리차를 주사기를 이용하여 환아에게 공급해줄 것을 교육하였으며, 병실 안 습도 조절을 위하여 젖은 물수건을 침상 근처에 걸어두어 가습효과를 내도록 격려하였다. (8:00)
6-2. 30분 후 환아의 침상 발치에 젖은 수건이 걸려있음을 확인하였다. (8:30)
7. 록솔정30mg을 PO로 투약하였다. (08:00)
평가
대상자의 분비물의 양이 06:00에 다량에서 14:00에 소량으로 감소하였다.
#3. 구강섭취 어려움과 관련된 영양불균형(8/31)
간호사정
주관적자료
“내원 전날 수유 후 사래 들렸고, 구토 1차례 동반되었어요.”
객관적자료
- 1개월 여아임
- 출생 시 체중: 3.8kg
출생 시 신장: 57cm
출생 시 두위: 37.50cm
- 검 사
8/31
protein(T)
5.8 ▼
Albumin
3.7 ▼
Na(sodium)
15 ▼
K(Potassium)
4.8
Cl(Chloride)
104
P(Phosphorus)
6.2 ▲
Ca(calcium)
10.0
Mg(magnesium)
2.2
Glucose(Fasting)
80
간호진단
구강섭취 어려움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간호목표
영양불균형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1. 8시간 마다 섭취량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2. 오전에 환자의 체중을 측정한다.
3. 수유능력을 사정한다.
4. 처방이 나면 비경구적 수액요법을 실시한다.
5. 적절한 수유방법을 교육한다.
6. 영양지표와 관련된 혈액검사결과를 확인한다.
1. 8시간 마다 섭취량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06:00
14:00
22:00
섭취량
100
150
150
배설량
100
100
100
2. 환아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10:00)
4.0kg으로 측정되었다. 1개월 여아의 정상 체중은 4.3kg이므로 저체중이다.
3. 수시로 수유능력을 사정하였고, 흡철능력은 좋으나 우유를 먹는 중간에 그르렁 소리가 들리며 사래 들리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4. 비경구적 수액요법은 처방이 나지 않아 수행하지 못하였다.
5-1. 되도록 안아서 먹이도록 하며, 수유 중간중간에 트림을 시켜줄 것을 교육하였다. (10:00)
5-2. 한꺼번에 다 먹이려고 하지 말고 조금씩 조금씩 나눠서 먹여야 된다는 것을 교육하였다. (10:00)
5-3. 교육 30분 후 교육내용대로 수행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0:30)
6. 아직 혈액검사결과가 나오기 전이므로 확인하지 못하였다.
평가
섭취량과 배설량은 정상적이었나 환자가 저체중으로 나타났다.
#4.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9/4)
간호사정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 1개월 여아임
- 9/3 기저귀로 인한 엉덩이 발진 관찰됨
간호진단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간호목표
대상자의 피부에 기저귀에 의한 발적이 연해진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1. 기저귀 교환 전, 후에 손을 깨끗이 씻는다.
2. 기저귀를 규칙적으로 확인하여(2시간 마다) 자주 교체한다.
3. 기저귀를 교환할 때마다 피부 손상 부위와 손상 정도를 사정한다.
4. 기저귀를 교환할 때 엉덩이를 문지르거나 비벼서 닦지 않는다.
5. 기저귀 적용 부위를 건조하고 청결하게 유지하여 피부 자극을 방지한다.
6. 기저귀를 교환할 때 rash가 있는 쪽에 처방도니 연고가 있다면 발라주도록 교육한다.
7. 기저귀를 채울 때는 너무 조이지 않도록 헐겁게 채운다.
8. 2시간 마다 대상자의 체위를 변경한다.
1. 기저귀를 교환하기 전과 후에 손을 씻거나 손 소독제를 사용하여 손 위생을 실시하였다. (08:00)
2. 대상자가 보채거나 울지 않아도 2시간에 한 번 정기적으로 기저귀를 확인하고 대, 소변양과 관계없이 교체하였다. 특히 수유 전, 후에 확인하여 교체하였다.
(08:00부터 2시간 마다)
3. 2시간마다 기저귀를 확인하고 교환할 때마다 기저귀 적용 부위 피부의 색, 습도, 손상 정도를 관찰하고 사정하였다.
08:00
붉고 촉촉한 피부. 열감 느껴짐
10:00
붉고 촉촉한 피부. 열감 느껴짐
12:00
붉고 촉촉한 피부. 열감 느껴짐
14:00
붉고 촉촉한 피부. 열감 느껴짐
16:00
붉은색이 연해짐. 열감 약해짐
4. 기저귀를 교환할 때 물티슈나 기저귀로 엉덩이를 문지르거나 비벼서 닦지 않고, 톡톡 부드럽게 두드리듯이 닦아주었다.
5. 깨끗한 물이나 천으로 대상자의 엉덩이 부위를 부드럽고 깨끗하게 닦아주고 바로 기저귀를 채우지 않고 공기에 노출시켜서 완전히 건조시켰다.
6. 연고 처방이 나지 않아 수행하지 못하였다.
7. 기저귀는 항상 헐겁게 느껴지는 정도를 적용하여 통풍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8. 최소 2시간 간격으로 체위를 변경하고, 침상 곁에 체위변경 표를 부착하여 이를 따르도록 한다.
08:00
좌측위
10:00
우측위
12:00
반좌위
14:00
앙와위
16:00
좌측위
평가
대상자의 피부에 기저귀에 의한 발적이 08:00에 붉은색에서 16:00에 연해졌다.
c. 출처
홍경자 외,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016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성미혜 외(2017),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JMK
- yellow color로 다량의 분비물이 thick 한 양상이 관찰되었다. (06:00)
- yellow color로 다량의 분비물이 thick 한 양상이 관찰되었다. (10:00)
- yellow color로 소량의 분비물이 thick 한 양상이 관찰되었다. (14:00)
- yellow color로 소량의 분비물이 thick 한 양상이 관찰되었다. (18:00)
4-1. nebulizer의 사용법과 적응증, 사용 후 주의사항 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8:00)
4-2. 환아가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 보호자가 nebulizer를 분무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8:30)
5-1. 흉부물리요법 전 nebulizer를 분무하여 분비물 배출을 원활하게 하였으며 체위배액 시 자세를 잡을 수 없는 아기를 대신하여 부모가 머리와 몸을 지지하도록 교육하였다. (8:00)
5-2. 간호사가 손을 컵모양으로 만들어
흉벽을 두드렸다. (08:00부터 8시간 마다)
6-1. 보호자에게 10분마다 5-10ml정도의 보리차를 주사기를 이용하여 환아에게 공급해줄 것을 교육하였으며, 병실 안 습도 조절을 위하여 젖은 물수건을 침상 근처에 걸어두어 가습효과를 내도록 격려하였다. (8:00)
6-2. 30분 후 환아의 침상 발치에 젖은 수건이 걸려있음을 확인하였다. (8:30)
7. 록솔정30mg을 PO로 투약하였다. (08:00)
평가
대상자의 분비물의 양이 06:00에 다량에서 14:00에 소량으로 감소하였다.
#3. 구강섭취 어려움과 관련된 영양불균형(8/31)
간호사정
주관적자료
“내원 전날 수유 후 사래 들렸고, 구토 1차례 동반되었어요.”
객관적자료
- 1개월 여아임
- 출생 시 체중: 3.8kg
출생 시 신장: 57cm
출생 시 두위: 37.50cm
- 검 사
8/31
protein(T)
5.8 ▼
Albumin
3.7 ▼
Na(sodium)
15 ▼
K(Potassium)
4.8
Cl(Chloride)
104
P(Phosphorus)
6.2 ▲
Ca(calcium)
10.0
Mg(magnesium)
2.2
Glucose(Fasting)
80
간호진단
구강섭취 어려움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간호목표
영양불균형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1. 8시간 마다 섭취량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2. 오전에 환자의 체중을 측정한다.
3. 수유능력을 사정한다.
4. 처방이 나면 비경구적 수액요법을 실시한다.
5. 적절한 수유방법을 교육한다.
6. 영양지표와 관련된 혈액검사결과를 확인한다.
1. 8시간 마다 섭취량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06:00
14:00
22:00
섭취량
100
150
150
배설량
100
100
100
2. 환아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10:00)
4.0kg으로 측정되었다. 1개월 여아의 정상 체중은 4.3kg이므로 저체중이다.
3. 수시로 수유능력을 사정하였고, 흡철능력은 좋으나 우유를 먹는 중간에 그르렁 소리가 들리며 사래 들리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4. 비경구적 수액요법은 처방이 나지 않아 수행하지 못하였다.
5-1. 되도록 안아서 먹이도록 하며, 수유 중간중간에 트림을 시켜줄 것을 교육하였다. (10:00)
5-2. 한꺼번에 다 먹이려고 하지 말고 조금씩 조금씩 나눠서 먹여야 된다는 것을 교육하였다. (10:00)
5-3. 교육 30분 후 교육내용대로 수행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10:30)
6. 아직 혈액검사결과가 나오기 전이므로 확인하지 못하였다.
평가
섭취량과 배설량은 정상적이었나 환자가 저체중으로 나타났다.
#4.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9/4)
간호사정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 1개월 여아임
- 9/3 기저귀로 인한 엉덩이 발진 관찰됨
간호진단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간호목표
대상자의 피부에 기저귀에 의한 발적이 연해진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1. 기저귀 교환 전, 후에 손을 깨끗이 씻는다.
2. 기저귀를 규칙적으로 확인하여(2시간 마다) 자주 교체한다.
3. 기저귀를 교환할 때마다 피부 손상 부위와 손상 정도를 사정한다.
4. 기저귀를 교환할 때 엉덩이를 문지르거나 비벼서 닦지 않는다.
5. 기저귀 적용 부위를 건조하고 청결하게 유지하여 피부 자극을 방지한다.
6. 기저귀를 교환할 때 rash가 있는 쪽에 처방도니 연고가 있다면 발라주도록 교육한다.
7. 기저귀를 채울 때는 너무 조이지 않도록 헐겁게 채운다.
8. 2시간 마다 대상자의 체위를 변경한다.
1. 기저귀를 교환하기 전과 후에 손을 씻거나 손 소독제를 사용하여 손 위생을 실시하였다. (08:00)
2. 대상자가 보채거나 울지 않아도 2시간에 한 번 정기적으로 기저귀를 확인하고 대, 소변양과 관계없이 교체하였다. 특히 수유 전, 후에 확인하여 교체하였다.
(08:00부터 2시간 마다)
3. 2시간마다 기저귀를 확인하고 교환할 때마다 기저귀 적용 부위 피부의 색, 습도, 손상 정도를 관찰하고 사정하였다.
08:00
붉고 촉촉한 피부. 열감 느껴짐
10:00
붉고 촉촉한 피부. 열감 느껴짐
12:00
붉고 촉촉한 피부. 열감 느껴짐
14:00
붉고 촉촉한 피부. 열감 느껴짐
16:00
붉은색이 연해짐. 열감 약해짐
4. 기저귀를 교환할 때 물티슈나 기저귀로 엉덩이를 문지르거나 비벼서 닦지 않고, 톡톡 부드럽게 두드리듯이 닦아주었다.
5. 깨끗한 물이나 천으로 대상자의 엉덩이 부위를 부드럽고 깨끗하게 닦아주고 바로 기저귀를 채우지 않고 공기에 노출시켜서 완전히 건조시켰다.
6. 연고 처방이 나지 않아 수행하지 못하였다.
7. 기저귀는 항상 헐겁게 느껴지는 정도를 적용하여 통풍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8. 최소 2시간 간격으로 체위를 변경하고, 침상 곁에 체위변경 표를 부착하여 이를 따르도록 한다.
08:00
좌측위
10:00
우측위
12:00
반좌위
14:00
앙와위
16:00
좌측위
평가
대상자의 피부에 기저귀에 의한 발적이 08:00에 붉은색에서 16:00에 연해졌다.
c. 출처
홍경자 외,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016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성미혜 외(2017),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JMK
키워드
추천자료
NICU 황달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신생아실 및 신생아중환자실 사례보고서] / 의학적 ...
a++++ 칭찬받은 케이스 중환자실 뇌경색 혈전성 뇌졸중 케이스 스터디 진단4개 과정2개 1 비...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TTN)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세기관지염 Bronchiolitis)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유도분만)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난소낭종)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지역사회간호학실습 가족간호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심방세동)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기흉)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4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