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실습 신생아실(NICU) 고빌리루빈혈증(Hyperbilirubinemia)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A+자료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실습 신생아실(NICU) 고빌리루빈혈증(Hyperbilirubinemia)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A+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간호사정
B. 간호과정

본문내용

인공젖꼭지를 제공하였다.
수유 시 매회 섭취량을 기록한다.
수유 시 매회 섭취량을 기록하였다.
- 수유량, 수유 시간, 수유 횟수, 수유 간격을 기록하였다.
소변량과 대변 횟수를 기록한다.
소변량과 대변 횟수를 기록하였다.
- 대변 횟수를 체크하고 기저귀 무게를 재어 양을 기록하였다.
수유 기술에 대한 부모 지식 정도를 사정 하고 수유 기술을 교육한다.
수유 기술에 대한 부모 지식 정도를 사정 하고 수유 기술을 교육하였다.
- 수유 기술에 대한 부모의 지식을 사정하였다.
- 모유 수유 시 유륜까지 깊게 젖을 물릴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 충분한 양을 수유 시 빌리루빈 수치 감소에도 도움이 됨을 교육하였다.
- 성공적인 수유를 하도록 지지와 격려를 하였다.
- 보호자는 교육 내용을 인지하였다.
간호평가
자료에 출생 당시와 입원 당시 체중만 있어 평가 하지 않음
간호진단
#3. 광선치료와 관련된 신체 손상의 위험 ( 사정일: 8/28- HD#2 )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 진단명: Hyperbilirubinemia
- [Phototherapy] : 입원당일(2019.08.27.)부터 황달 치료를 위한 Phototherapy 시행하고 있음
간호목표
단기 목표
24시간이내 환아는 피부의 발진 없이 통합성을 유지한다.
장기 목표
퇴원 시까지 환아는 망막 손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계획내용
근거
광선을 차단하는 눈가리개를 해주고, 1일 1회 이상 교환한다.
광선을 차단하는 눈가리개를 해주고, 1일 1회 이상 교환하였다.
- 빛을 가릴 수 있는 불투명한 안대를 해주었다.
- 안대의 크기는 완벽하게 눈을 가릴 수 있되 코는 막지 않는 크기로 해주었다.
- 각막이 다치지 않게 눈을 감도록 한 후 안대를 해주었다.
각막에 손상이 있는지를 최소한 4시간마다 확인한다.
각막에 손상이 있는지를 최소한 4시간마다 확인하였다.
- 눈에 분비물이 생기는지 확인하였고 분비물은 없었다.
- 눈꺼풀이 과도하게 압박을 받는지 확인하였고 압박은 없었다.
생식기 부위는 기저귀로 가리고, 기저귀를 2시간 마다 확인하여 자주 갈아준다.
생식기 부위는 기저귀로 가리고, 기저귀를 2시간 마다 확인하여 자주 갈아주었다.
- 생식기 손상으로 인한 불임 예방을 위하여 생식기를 기저귀로 가려주었다.
- 매 수유 전 2시간 마다 기저귀를 확인하였다.
- 피부손상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아가 힘을 주는 행동을 보이거나 보챌 때 수시로 기저귀 상태를 점검하여 갈아주었다.
광선 요법 전 처방된 내용을 확인 후 시행한다.
광선 요법 전 처방된 내용을 확인 후 시행하였다.
- 처방을 확인 한 후 광선요법 시작과 종료 시간을 준수 하였다.
- 적용시마다 처방된 램프의 종류, 개수, 램프와 신생아의 거리를 확인한 후 시행하였다.
체위변경을 2~4시간마다 한다.
체위변경을 2~4시간마다 하였다.
- 매 수유 후 체위 변경을 하여 피부를 광선에 골고루 노출 시켰다.
오일이나 로션을 바르지 않는다.
오일이나 로션을 바르지 않았다.
- 피부 손상 유발 방지를 위하여 오일이나 로션을 바르지 않았다.
4시간마다 발진 등의 피부상태를 점검한다.
4시간마다 발진 등의 피부상태를 점검하였다.
- 피부 발진을 사정 하였고 피부 발진은 없었다.
- 화상 부위가 있는지 사정하였고 손상된 부위는 없었다.
간호평가
단기 평가: 24시간이내 환아는 피부의 발진 없이 통합성을 유지하였다.
장기 평가: 퇴원 시까지 환아는 망막 손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 자료상 환아는 입원 후 피부 발진 이력이 없고 망막 손상 관련 내용도 없는 것으로 미루어 목표를 달성하였다.
간호진단
#4.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 사정일: 8/27- HD#1 )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 빌리루빈 수치 확인을 위한 혈액 검사를 시햄함.
- 치료를 위해 IV로 약물을 투여함
약물
대한포도당주사액10% 500ml
용법/용량
1bag #1 x1days
효과
고칼륨혈증, 순환허탈, 저혈당시의 에너지 보급
부작용
발진, 발적, 가려움증
투여 이유
광선치료로 인한 탈수증 예방, 수분과 전해질 공급, 에너지 보급
약물
대한포도당주사액10% 500ml
용법/용량
1bag #1 x1days
효과
고칼륨혈증, 순환허탈, 저혈당시의 에너지 보급
부작용
발진, 발적, 가려움증
투여 이유
광선치료로 인한 탈수증 예방, 수분과 전해질 공급, 에너지 보급
간호목표
장기 목표
퇴원 시까지 환아는 정맥 주사 부위에 부종이 없다.
간호계획
계획내용
간호수행
간호 전, 후 손을 씻는다.
간호 전, 후 손을 씻었다.
- 환아와 접촉전과 접촉 후 손 위생을 실시 하였다.
체온을 4시간 간격으로 모니터 하고 기록한다.
체온을 4시간 간격으로 모니터 하고 기록하였다.
- 체온 상승 및 V/S 이상 징후는 없었다.
백혈구 수치를 모니터 한다.
백혈구 수치를 모니터 하였다.
- 백혈구 수치는 정상 범위를 유지 하였다.
검 사 항 목
8/27
8/30
참 고 치
WBC Count
8.53
10.32
5 ~ 19.5 10^3/㎕
수액 교환시 Drip chamber를 1/3~1/2 수액으로 채운 상태로 교환한다.
수액 교환시 Drip chamber를 1/3~1/2 수액으로 채운 상태로 교환하였다.
- 튜브에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막고 수액의 부족으로 인해 혈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 하였다.
- 도입침을 기존 수액백에서 빨리 제거한 후, 그 끝이 오염되지 않게 새 수액백에 삽입 하였다.
매 24~48 시간 간격으로 정맥주사 튜브를 교환하고 주사 부위를 사정한다.
매 24~48 시간 간격으로 정맥주사 튜브를 교환하고 주사 부위를 사정하였다.
- 정맥주사 튜브 교환 시 주사 부위를 사정하였고 발적 등 감염 징후는 없었다.
매 48~72시간 간격으로 정맥주사 부위를 변경한다.
매 48~72시간 간격으로 정맥주사 부위를 변경 하였다.
- 무균적으로 정맥주사 부위를 변경하였다.
- 변경 시 주사 부위에 발적 등 감염 징후는 없었다.
간호평가
퇴원 시까지 환아는 정맥 주사 부위에 부종이 없었다.
- 자료상 환아는 정맥 주사 부위 감염 증상이 없는 것으로 미루어 목표를 달성하였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21.07.27
  • 저작시기202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33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