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낙상 정의
2. 낙상 위험요소
3. 낙상 예방법
4. 낙상사고시 응급대처방법
5. 낙상 간호사정 및 간호중재
(1) 간호사정
(2) 간호사정 후 필요한 간호 중재
2. 낙상 위험요소
3. 낙상 예방법
4. 낙상사고시 응급대처방법
5. 낙상 간호사정 및 간호중재
(1) 간호사정
(2) 간호사정 후 필요한 간호 중재
본문내용
를 살펴보면 규칙적으로근력 강화와 평형감각 운동을 한 사람들은 운동하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낙상의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고 보고한다.
- 낙상과 관련된 건강 문제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낙상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다.
- 낙상을 일으키게 하는 주위 환경요인들을 제거하거나 피해야 한다.
4. 낙상사고시 응급대처방법
1) 낙상을 당한 환자를 안정시키고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대응한다.
2) 발견한 사람은 눈으로 상황을 파악하고 인지가 있으시다면 환자에게 물어서 어디가 다쳤는지 상황을 빨리 파악한다.
3) 최대한 무리하지 않고 편안한 상태로 있게 하되 통증이 심한 경우 억지로 구부리거나 펴려고 하지 않는다.
4) 응급상황 발생시 윗 단계로 보고한다.
5) 가장 가까운 가족 및 보호자에게 사고 사실을 반드시 알린다.
6) 간호사는 가능한 모든 응급처치-출혈이 있으면 지혈하고, 환부를 부목 등으로 고정하고, 되도록 신속히 의료기관으로 옮긴다.
7) 모든 사고 발생상황을 경위서를 작성하여 보관한다.
5. 낙상 간호사정 및 간호중재
(1) 간호사정
“ 낙상 위험 사정 도구를 사용한 노인 사정하기”
1) 건강력
대상자 : 김 XX
성별 : 여
연령 : 70세
현 병력
- 진단명 : Both knee TKR(Total knee replacement,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 현 호소: 수술 받은 지 8일 째며, 걸을 때마다 무릎이 콕콕 쑤신다고 말함.
이동 시 보행기를 사용함.
2) 낙상 위험 사정 도구
(2) 간호사정 후 필요한 간호 중재
낙상 위험 사정도구를 통해 대상자를 사정한 결과, 총 5점으로 측정되었다. 대상자는 낙상 저위험군에 속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중재를 통해 낙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한다.
- 바닥에 물이 떨어진 경우, 즉시 물기가 전혀 없을 때까지 닦는다.
- 슬리퍼나 바닥이 미끄러운 신발은 신지 않는다.
- 굽이 낮고, 폭이 넓으며, 뒤가 막힌 신발을 신도록 한다.
- 자주 사용하는 물건 등을 침대 옆 탁자나 침상 곁에 둔다.
낙상 예방 교육을 하도록 한다.
- 침상에 있을 때 항상 침상 난간을 올리도록 교육한다.
- 앉고 일어설 때 천천히 움직이도록 교육한다.
- 야뇨를 예방하기 위해 화장실을 자기 전 미리 가도록 교육한다. 부득이하게 자다가 깨서 화장실에 갈 때에는 반드시 보호자나 간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도록 교육한다.
- 낙상과 관련된 건강 문제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낙상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다.
- 낙상을 일으키게 하는 주위 환경요인들을 제거하거나 피해야 한다.
4. 낙상사고시 응급대처방법
1) 낙상을 당한 환자를 안정시키고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대응한다.
2) 발견한 사람은 눈으로 상황을 파악하고 인지가 있으시다면 환자에게 물어서 어디가 다쳤는지 상황을 빨리 파악한다.
3) 최대한 무리하지 않고 편안한 상태로 있게 하되 통증이 심한 경우 억지로 구부리거나 펴려고 하지 않는다.
4) 응급상황 발생시 윗 단계로 보고한다.
5) 가장 가까운 가족 및 보호자에게 사고 사실을 반드시 알린다.
6) 간호사는 가능한 모든 응급처치-출혈이 있으면 지혈하고, 환부를 부목 등으로 고정하고, 되도록 신속히 의료기관으로 옮긴다.
7) 모든 사고 발생상황을 경위서를 작성하여 보관한다.
5. 낙상 간호사정 및 간호중재
(1) 간호사정
“ 낙상 위험 사정 도구를 사용한 노인 사정하기”
1) 건강력
대상자 : 김 XX
성별 : 여
연령 : 70세
현 병력
- 진단명 : Both knee TKR(Total knee replacement,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 현 호소: 수술 받은 지 8일 째며, 걸을 때마다 무릎이 콕콕 쑤신다고 말함.
이동 시 보행기를 사용함.
2) 낙상 위험 사정 도구
(2) 간호사정 후 필요한 간호 중재
낙상 위험 사정도구를 통해 대상자를 사정한 결과, 총 5점으로 측정되었다. 대상자는 낙상 저위험군에 속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중재를 통해 낙상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한다.
- 바닥에 물이 떨어진 경우, 즉시 물기가 전혀 없을 때까지 닦는다.
- 슬리퍼나 바닥이 미끄러운 신발은 신지 않는다.
- 굽이 낮고, 폭이 넓으며, 뒤가 막힌 신발을 신도록 한다.
- 자주 사용하는 물건 등을 침대 옆 탁자나 침상 곁에 둔다.
낙상 예방 교육을 하도록 한다.
- 침상에 있을 때 항상 침상 난간을 올리도록 교육한다.
- 앉고 일어설 때 천천히 움직이도록 교육한다.
- 야뇨를 예방하기 위해 화장실을 자기 전 미리 가도록 교육한다. 부득이하게 자다가 깨서 화장실에 갈 때에는 반드시 보호자나 간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도록 교육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