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 1인의 행동, 태도, 또래 상호작용 등 유아의 다양한 측면을 관찰하여 일화기록으로 작성하고 그 내용을 분석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과정 )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 1인의 행동, 태도, 또래 상호작용 등 유아의 다양한 측면을 관찰하여 일화기록으로 작성하고 그 내용을 분석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교육과정
다음의 각 문제에 대해 과제물로 작성하여 제출하시오.

1. 타일러(R. Tyler)의 교육과정 모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 모형을 유아교육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하시오. (20점)
2. 다문화 교육과정의 의의를 사회적 측면에서 설명하고 이를 유아교육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시오. (20점)
3.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 1인의 행동, 태도, 또래 상호작용 등 유아의 다양한 측면을 관찰하여 일화기록으로 작성하고 그 내용을 분석‧설명하시오. (20점)
4. 아래에 제시된 각각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각 5점)
① 교과의 구조
② 포트폴리오 평가

본문내용

외국어 교육을 강화하는 등의 대대적으로 학문중심 교육과정을 통한 교육개혁을 단행하였고 개혁의 대안으로 교과 구조 개념이 제안되었다.
학문중심 교육과정을 대표하는 학자인 브루너는 학문의 기저를 이루는 사실이나 현상, 정보를 엮어주는 핵심 개념과 원리인 지식의 구조를 제시하여 정보의 더미가 아닌 정보 간의 관련성과 체계화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학교에서 교육하는 내용이 달라졌기 때문에 교육의 방식도 달라져야 한다고 주장에 따라 교과 구조를 가르침으로써 교과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하며 다른 상황에서 내용을 쉽게 적용하여 개인의 교육 수준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간극을 좁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강의 내용 (첨부 자료)
교과의 구조 학습은 교과 내용 간의 관련성을 학습하는 것에 있으며 핵심 개념과 원리가 학문 간에 전이가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지식 구조 교육 과정에서 교과와 학생 수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고 구조 중심의 교육과정을 새롭게 구성해야 한다. 특히 교과 구조가 잘 드러나게 자료를 구성하고 학생의 수준에 맞춰 구조를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나선형 교육과정 조직은 교과 구조의 동일한 핵심 내용을 반복하여 가르치면서 점차 깊고 폭넓은 개념을 배울 수 있도록 조직하는 방법으로 핵심 개념은 발달 단계에 맞춰 적절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발견학습은 교과의 핵심 개념을 획득하고 변형하거나 다른 문제에 적용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최소의 정보로 새로운 발견을 통해 계열화된 지식의 계속된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 탐구 과정을 통해 필수 사실과 관련한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고 토의 과정에서 새로운 사태에 대한 적용과 적합성을 평가할 수 있다.
(2) 포트폴리오 평가
유아 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능력을 실제 상황에서 측정하여 교수 및 학습 계획을 수립하도록 권장하면서 유아 교육 평가를 위한 대안적인 평가로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평가는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자료가 기반이 되는 대표적인 평가 방법으로 평가받는다. 포트폴리오 평가는 일정 기간을 정해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활동 내용을 비교집단 간의 구두평가 등을 통해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진행한다. 유아의 현재 발달 상태나 능력을 나타내는 작품을 수집하고 활동 이후에 일화기록이나 작품 분석, 유아 면담 등의 방법으로 유아의 성취를 확인하고 그에 대한 적절한 반응을 제공한다.
포트폴리오 평가 과정에서 교사는 유아가 스스로 능동적으로 자신의 활동을 생각하고 반성하는 시간을 갖고 결과를 또래와 공유하면서 서로 조언하고 평가하는 등의 평가 활동에 참여하도록 한다. 포트폴리오 평가의 자료 수집 과정에서 유아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경험할 기회를 얻고 평가 과정에서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이 지속해서 발생하면서 유아의 자기 반영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유아에 의해 작품이 선정되도록 한다. 포트폴리오 평가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실행 계획을 세우고 실행 과정을 통해 교수와 학습 과정 자체가 교사와 유아의 평가 활동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권순옥, 최혜진(2008). 포트폴리오 평가 활동이 유아의 기초 학습 능력 및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권순옥, 최혜진(2008). 포트폴리오 평가 활동이 유아의 기초 학습 능력 및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Vol.7 No.2 [2008].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http://www.riss.kr/link?id=A100113837
김성희(1995). R. W. Tyler 의 교육과정 이론에 미친 영향력들에 관한 연구.
가야대학교 논문집 Vol.4 No.- [1995]. 가야대학교.
http://www.riss.kr/link?id=A2051824
박선희, 이경화(2014). 유치원교사들이 이야기하는 일화기록의 한계와 과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4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
http://www.riss.kr/link?id=A104442969
박찬옥, 이예숙(2011). 기본 교육과정으로서의 유아 다문화 교육 적용 효과.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0 [2011].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http://www.riss.kr/link?id=A82726489
양목승(2010). 유아 다문화 교육: 다문화주의의 의미와 적용.
유아교육연구 Vol.30 No.4 [2010]. 한국유아교육학회.
http://www.riss.kr/link?id=A103847168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2.08.17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90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