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학개론 ) 자신의 유,초,중등,대학 시절이나 성인기에 경험하였던 장애 유아의 장애 유형, 장애의 특징에 대해 기술하고 해당 장애 유아에 대한 경험이 자신의 장애에 대한 인식에 준 직,간접적 영향을 논리적으로 기술하시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특수교육학개론 ) 자신의 유,초,중등,대학 시절이나 성인기에 경험하였던 장애 유아의 장애 유형, 장애의 특징에 대해 기술하고 해당 장애 유아에 대한 경험이 자신의 장애에 대한 인식에 준 직,간접적 영향을 논리적으로 기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번 문제
1. 서론
2. 본론
2-1. 자폐성 유아의 장애 유형, 장애의 특징에 대해 기술
2-2. 해당 경험이 자신의 장애에 대한 인식에 준 직, 간접적 영향
3. 결론

(2)번 문제_1. 자폐성장애
1. 서론
2. 본론
2-1. 정의, 원인, 특성 및 교육방법
2-2. 교육방법
3. 결론

(2)번 문제_2. 청각장애
1. 서론
2. 본론
2-1. 정의, 원인, 특성 및 교육방법
2-2. 교육방법
3. 결론

본문내용

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가 된다. 시각장애 아동의 신체적인 특성에는 정적인 운동 기능의 면은 정상적인 연령에서 대부분을 획득할 수가 있다. 하지만 역동적인 기능들은 가끔 지체가 되기도 한다. 대근육의 협응이 빈약하고 부적절한 평형반응을 나타내어서 한 발로 서기와 균형 잡기, 점프하기, 발끝으로 걷기 등의 동작을 수행할 때 어려움이 있다. 시각장애 아동의 경우 장애물을 지각하는 데에 시각이 아닌 청력을 주로 사용한다. 장애물을 지각하는 데에 소리 및 반향이 필요하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환경의 변화, 소음 등의 요소는 장애물의 지각을 어렵게 한다. 시각장애 아동의 사회 및 정서적인 특성으로는 시각적으로 불편하기 때문에 대인관계의 형성에 있어서 눈 맞춤이 힘들다. 유아기시기에 모자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애착행동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낯가림의 시기가 지체되는 경우가 있다. 타인의 표정, 움직임, 몸짓을 보면서 의사소통의 단서로 사용할 수도 없다. 그렇기 때문에 시각장애 아동의 경우 일반아동에 비해서 느리게 이야기를 하거나 큰 소리로 이야기를 하거나 음을 조절하지 않고, 억양에 변화를 주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시각적인 제약으로 몸짓이나 표정을 의사소통할 때 덜 사용하고 발음할 때에도 입술을 덜 움직이기도 한다.
2-2. 교육방법
시각장애 아동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개인차를 고려해서 진행해야 한다. 시각장애가 된 원인에 따라서 피부색소 결필증 아도의 경우 빛에 대한 공포증이 있기 때문에 광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지도를 하며, 녹내장의 아동은 보행훈련과 읽기지도에 주의를 해야 한다. 근시의 경우 좌석배치를 칠판과 가까이에 하고, 고도의 근시는 망막발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격한 체육활동 및 운동을 삼가도록 지도해야 한다. 완전맹의 경우 시각적인 감각 외에 다른 감각을 활용해서 교육을 지도하는데, 주로 점자교육을 중심으로 한다. 저시력의 경우 밝기와 대비, 시간, 거리, 활자의 크기 등을 배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3~5세 이전에 완전히 실명한 경우 시각표상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이에 맞는 교육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시각장애 아동을 교육할 때에는 구체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가능한 실물을 마련하고 아동이 직접 손으로 만지고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크기, 질감, 부피, 무게 등의 정보를 직접 느끼면서 물건에 대한 대, 소를 경험적으로 이해시켜야 한다. 또한 교사는 교수계획을 마련할 때, 다양한 사건을 통합하여 조직하고 하나의 의미있는 통일된 경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합된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교사의 개입이 가능한 적은 유아가 직접 배우고 느끼는 자발적인 동기부여와 자신감, 독립성을 기룰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
시각장애 아동에게는 방향정위, 보행훈련을 시켜야 하는데, 환경 내에서 이동하는 능력이 이동성, 잔존감각을 활용해서 사물과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장향정위 훈련을 시켜야 한다. 시각적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모방학습의 기회가 결여가 되어 사회성 기술을 증진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체계적인 교육을 필요로 한다. 먼저 대화를 시작하거나, 대화에 참여하기, 말하는 사람 쪽으로 얼굴방향 돌기기 등이 해당된다. 시각적으로 결손이 되어 있는 부분을 메꾸기 위해서 촉각과 후각, 청각으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훈련해야 한다.
시각장애 아동의 교육매체로는 점자, 큰 활자 인쇄, 청각적 보조도구(말하는 계산기, 시각장애인용 음석 출력기, 점자프린터 등), 교육 및 재활, 생활 등에 사용이 되는 보조공학을 활용할 수 있다.
3. 결론
시각장애 아동의 경우 지능적으로 낮은 것 보다는 시각적인 차단으로 인해서 정보의 습득과 학습이 늦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시각적 아동은 절적한 교육과 체계적인 훈련을 통해서 학습을 한다면, 충분히 사회구성원의 하나로써 일하는 것이 가능 하는 것이다.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아도 청각과 촉각을 사용해서 피아노, 기타 등의 연주를 하는 연주사도 있으며, 남들보다 발달한 후각을 사용해서 향수를 만드는 조향사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시각장애아동과 부모에게 제공이 되는 사회복지 서비스가 미흡한 편이다. 장애아에게만 국한이 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말고 장애아의 부모 및 가족에게도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장애아동의 가족에 대한 지원은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가족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이는 궁극적으로 가족의 삶의 질이 향상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장애아동의 발달 촉진시키는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그리고 서비스 전문가가 각 유현의 시각장애 아동과 가족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다양한 자원과 프로그램을 찾아서 실행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 또한 중요하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특수교육학개론 : 장애·영재아동의 이해, 김동일, 학지사, 2010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2814530de67bdbcfffe0bdc3ef48d419
(특수아동의 이해와 지도를 위한) 특수교육학개론, 김종현, 창지사, 2016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a0bee2230930a48bffe0bdc3ef48d419
(최신) 특수교육학개론, 김원경, 양성원, 2017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1afe8bd27d87908affe0bdc3ef48d419
시각장애아동의 발달단계와 어머니의 사회복지 서비스 욕구, 서재경, 성공회대학교, 2009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60c0a05884cf41f5ffe0bdc3ef48d419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22.08.31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23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