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건역학 ) 역학에서 질병위험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절대위험도, 상대위험도, 기여위험도가 있습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보건역학 ) 역학에서 질병위험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절대위험도, 상대위험도, 기여위험도가 있습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역학에서 질병위험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절대위험도, 상대위험도, 기여위험도가 있습니다. 각각의 의미를 설명해 보세요. (4점)
2. 타당도(validity)와 신뢰도(reliability)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3점)
3. 역학적 연구방법 중 관찰 연구로는 단면조사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코호트 연구를 들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가 각각 어떤 연구인지, 장단점이 무엇인지 간단히 설명하세요. (7점)
4. 역학연구 결과에 개입될 수 있는 비뚤림(바이어스, bias)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각각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해 보세요. (5점)
5. 교란변수를 통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4점)
6. 비(ratio), 분율(proportion), 율(rate)의 의미를 구분해 보세요. (3점)
7. 유병률, 누적발생률, 발생밀도의 개념을 구분하여 설명하세요. (4점)
8. 참고문헌

본문내용

, 교란변수 자체가 가지고 있는 질병 위험도를 알아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은 분석단계에서 층화분석 혹은 통계모형을 통한 보정으로 교란변수를 통제할 수 있다. 층화분석이란 교란변수에 노출된 대상과 노출되지 않은 대상을 각각 따로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계모형을 통한 보정은 중회귀모형과 같은 통계모형을 통해 결과변수인 Y와 주요 원인변수 X1, 그 외의 교란변수를 원인변수로 추가하는 방법이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콕수 비례위험모형과 같은 통계모형으로 교란변수를 보정할 수 있다.
6. 비(ratio), 분율(proportion), 율(rate)의 의미를 구분해 보세요. (3점)
비(ratio)란 하나의 측정값을 다른 측정값으로 나눈 것이며, 여자 1명당 남자 수인 성비처럼 분자는 분모에 포함되지 않는다. 하나의 측정 값에 비해 다른 측정 값이 비중이 얼마인지 확인할 수 있다. A:B, A/B로 표현할 수 있다. 분율(proportion)은 전체 중의 일부가 차지하는 값이며, 분율은 분자가 분모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0~1의 사이의 값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체 인구 중 여성 인구가 차지하는 분율로 하나의 측정값이 어느 수준으로 차지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A/(A+B)의 형태로 계산할 수 있다, 율(rate)는 비와 분율에 비해 단위가 있으며, 분모에 시간과 속도의 개념이 포함되어, 0에서 무한대까지 범위까지 값이 나올 수 있다. A/[(A+B)x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단위는 시간이 포함되어 있어 1/time으로 사용한다. 분은 확률 예측치를 표현하였다면 율은 순간적 변동량 즉 속도를 표현하여 분율이 개체라면 율은 집단이다. 또한, 분율은 확률분포로 이항분포라면, 율은 포아송분포로 나타나게 된다.
7. 유병률, 누적발생률, 발생밀도의 개념을 구분하여 설명하세요. (4점)
유병률은 어떤 특정한 시간 혹은 특정시점에서 전체 인구 중에 특정 질병을 가지고 있는 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인구의 크기 분의 이환된 환자수로 구하게 된다. 유병률은 특정한 시간 혹은 시점이라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시점 유병률은 어느 한 시점에서 질병 유병률을 나타내며, 기간 유병률은 특정한 기간 동안의 질병 유병률을 구하게 된다, 질병의 중증도나 이환기간, 환자의 발생 수에 따라 유병률이 커질 수 있으며, 진단 기술의 발전이나 조기검진 수검율 또한 유병률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누적발생률은 특정기간의 시작시점에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을 지닌 인구 수 분에 특정기간 내 질병이 발생한 환자 수로 구하며, 특정기간 동안에 일정 인구집단에서 새롭게 질병이 발생하는 수의 분율이다. 발생밀도는 총관찰기간 분에 특정기간 내 질병이 발생한 환자 수로 구하며, 인구집단 내에서 질병의 순간발생률을 측정하는 것이다. 누적발생률과 차이점은 관찰대상자의 개별로 피관찰기간의 차이가 있을때도 측정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발생밀도는 유동인구를 반영할 수 있으며, 개인별로 질병이 두 번 발생하여도 반영이 가능하다.
8. 참고문헌
방송대 강의안 자료
  • 가격3,7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9.05
  • 저작시기2022.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31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