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재 1장을 참조하여 조선 농촌사회에서 이앙법이 널리 퍼지게 된 배경을 서술해주세요.
1) 기후 변화에 대처
2) 도맥이모작(稻麥二毛作)
3) 두레와 같은 공동 노동방식 등장
4) 조선전기 보다 기술적인 체계가 발달한 점
5) 제초 노동력 절약
2. 교재 5장을 참조하여 한국인들이 쌀밥을 주식으로 삼게 된 배경을 파악해 주세요.
1) 자급자족
2) 자연환경
3) 밥
3. 교재 8장을 참조하여 ‘민장’이 다루는 주요 의제와 그 사회적 의미를 설명해주세요.
1) ‘민장’이 다루는 주요 의제
2) ‘만장’의 사회적 의미
4. 교재 10장을 참조하여 조선시대 양반의 관직 진출 방법을 설명해주세요.
1) 과거제도
2) 문음제도(음서)
3) 천거제도
5. 교재 12장을 참조하여 조선 후기 사회경제적 변화와 함께 노비제가 해체되는 과정을 설명해주세요.
1) 경제활동
2) 재산소유
3) 신분변동
4) 혼인
6. 교재 15장을 참조하여 전통사회에서 공동체가 수행했던 제의의 기능과 성격을 서술해주세요.
1) 제의의 기능
2) 제의의 성격
참고문헌
1) 기후 변화에 대처
2) 도맥이모작(稻麥二毛作)
3) 두레와 같은 공동 노동방식 등장
4) 조선전기 보다 기술적인 체계가 발달한 점
5) 제초 노동력 절약
2. 교재 5장을 참조하여 한국인들이 쌀밥을 주식으로 삼게 된 배경을 파악해 주세요.
1) 자급자족
2) 자연환경
3) 밥
3. 교재 8장을 참조하여 ‘민장’이 다루는 주요 의제와 그 사회적 의미를 설명해주세요.
1) ‘민장’이 다루는 주요 의제
2) ‘만장’의 사회적 의미
4. 교재 10장을 참조하여 조선시대 양반의 관직 진출 방법을 설명해주세요.
1) 과거제도
2) 문음제도(음서)
3) 천거제도
5. 교재 12장을 참조하여 조선 후기 사회경제적 변화와 함께 노비제가 해체되는 과정을 설명해주세요.
1) 경제활동
2) 재산소유
3) 신분변동
4) 혼인
6. 교재 15장을 참조하여 전통사회에서 공동체가 수행했던 제의의 기능과 성격을 서술해주세요.
1) 제의의 기능
2) 제의의 성격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흉년이 아니라도 난리를 겪고 난 후나 사행(使行)이 통과하는 지역에서도 이를 금하였다. 뿐만 아니라 추노로 인해 야기될 노비 신분층의 동요를 막아 농업 생산력이 저하되는 것을 막아보려는 의도도 있었다. 그러나 추노 금지책으로 인해 노비가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일이 많아졌다. 이들의 반항은 단순히 도망이나 신분을 모칭하고 신공납부를 기피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양반 지배체제에 대한 저항으로까지 발전하였다. 극단적인 예로, 숙종년간(肅宗年間)에 노비들이 살주계(殺主契)를 조직하여 상전을 살해하고 노비신분에서 벗어나려고 한 일이 있었으며, 영조(英祖) 9년에는 사노(私奴) 만재(萬才)가 상전에게 살해된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상전을 살해한 사건이 일어났다. 동왕(同王) 14년에는 조(祖)자(子)손(孫) 3대(代)가 일시에 노비에게 살해된 일도 일어났다. 이러한 노비의 저항은 어느 한 지방에서만 일어나는 특수한 일이 아닌 전국적인 현상이었다. 따라서 정부에서도 추노 자체를 완전히 금할 수는 없었는데 추노 금지로 인해 노비가 상전을 배반하는 일이 많아져 조선왕조 유지의 근간이 되는 강상(綱常)과 기강(紀綱)이 무너지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4) 혼인
조선후기 노비의 혼인은 대부분 자신의 의지보다 상전에 의해 결정되고 이루어졌는데 외거노비보다 솔거노비의 경우가 더욱 심하였다. 외거노비는 주인과 비교적 멀리 떨어져 살면서 상전의 직접적인 통제가 약했기 때문이며 솔거노비는 그 반대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특히 솔거노(率居奴)와 양녀(良女)의 혼인 비율은 절반 이상이었으며 노(奴)가 비(婢) 보다 절반 정도 낮은 혼인율을 보이고 있다. 양천교혼이 억제되던 당시 그 비율이 높은 것은 상전의 강제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며 노의 혼인율이 낮은 것 역시 상전의 재산 증식에 방해가 될 경우 노의 혼인을 간섭, 제한했기 때문이다.
6. 교재 15장을 참조하여 전통사회에서 공동체가 수행했던 제의의 기능과 성격을 서술해주세요.
우리 문화는 농경문화의 토대에서 이루어졌다. 연대로는 서기전 4000~1000년 사이의 3000년간으로 신석기시대부터이다. 이 시기 신앙은 계절의 환경적 영향 속에서 싹텄을 것으로 사료된다. 청동기시대에는 곡식의 종류가 늘어났으며, 농경적인 정착생활에 따라 휴식과 종교, 예술과 놀이로 동장(冬臧)의 한가한 계절을 보내게 되었다. 이 시기 제정일치사회의 군장이자 제사장의 존엄성까지 보여주는 명두와 무당방울, 그리고 신칼인 거울, 방울과 검 등 청동의기(靑銅儀器)가 무구(巫具)로써 중요시되었다.
마을제의 기원문제에 대해 제천의례는 국가의례로서 국왕만이 지낼 수 있는 국가제의로 동제의 기원으로 고찰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고고학적으로 신석기시대 부족사회의 토템이즘에서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즉 신석기시대에 이르러 농경생활을 하게 됨에 따라 정착생활을 하게 되었으며, 부족을 단위로 하는 마을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또 이 시기의 마을은 30호 내외로 구성되었는데, 이 30호 내외 규모의 자연마을은 청동기시대, 고대사회, 중세사회를 거치면서 커다란 변화가 없었다. 행정마을이나 군현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으나 자연마을의 규모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마을제는 이 자연마을단위로 또는 몇 개의 자연마을단위로 행해졌을 것으로 동예의 호신제(虎神祭)와 삼한의 별읍제(別邑祭)를 동제의 기원으로 본다.
1) 제의의 기능
전통사회에서는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마을 제의가 진행되었다. 당시에는 마을마다 모시던 신이 달랐기 때문에 마을에서 진행되던 제의의 모습도 차이를 보인다. 각 마을에서 진행되던 제의의 모습이 다른 만큼 각 지역의 제의 또한 그 의미부터 형식까지 많은 차이를 보인다. 시대가 흐르고 변함에 따라 현대에 와서는 이런 마을 제의가 거의 사라져 현재는 일부의 지역에서만 독특하게 행해지는 행사로 여겨지게 되었다. 일부 지역에서만 전해지는 마을 제의는 오늘날까지도 전통사회에서 진행되던 제의의 형태가 남아있는 곳이 있는가 하면 그 이름만 따온 곳도 있었다.
2) 제의의 성격
인간은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내세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종교를 믿는다.‘종교적 인간’이라는 말은 종교와 인간의 밀접한 관련성을 잘 나타내 준다. 인간이 종교를 통해 얻고자 하는 종교적 목적은 제의를 통해 완성된다. 제의는 개인 혹은 집단이 정해진 시공간 아래서 자신들이 모시는 신을 향해 정해진 절차를 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따라서 제의를 통해 종교적 측면뿐만 아니라 심리적ㆍ사회적 측면 등 인간생활의 여러 상황을 두루 살필 수 있다.한국사회에서 동제는 보편적인 종교 현상이었다. 일제강점기와 산업화시기를 거치며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동제의 전승력이 약화했지만 여전히 많은 마을에서 동제를 지내고 있다. 특히 연안 마을에서는 바다를 접하고 있는 지리적 환경 때문에 내륙지역에 비해 동제의 전승이 활발하다. 바다는 생업터전이지만 주민들에게 불완전한 공간으로 인식된다. 또한 연안 마을 주민들의 생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어업 역시 운의 요소가 강한 탓에 이른바 투기사업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연안 마을은 생존의 문제가 농ㆍ산촌보다 강하게 부각되는 특징을 지닌다. 이런 까닭에 연안 마을의 동제는 불완전한 환경을 극복하고 풍요를 누리는 방법으로 여겨지며 그 의미 또한 남다르다.
참고문헌
김덕진, 대기근, 조선을 뒤덮다, 푸른역사, 2009.
박상환,『조선시대 기로정책연구』 혜안, 2000.
김현영, 1999, 조선시대 양반과 향촌사회, 집문당.
전형택, 1996, 「노비의 저항과 해방」, 『역사비평』.
민성기, 조선후기 한전윤작농법의 전개, 역사와 세계, 1982.
임용한, 2002, 조선전기 수령제와 지방통치, 혜안.
국사편찬위원회. 2009. 쌀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두산동아. 서울.
서정숙, 조성희. 2008. 밥 중심 전통식사와 만성질환 예방. 식품산업과 영양.
김경용, 『과거제도와 한국 근대교육의 재인식』, 교육과학사, 2005.
김성우(2003), 조선시대 향교의 교관 및 교생에 관한 연구, 교육사상연구 제12집, 한국교육사상연구회.
4) 혼인
조선후기 노비의 혼인은 대부분 자신의 의지보다 상전에 의해 결정되고 이루어졌는데 외거노비보다 솔거노비의 경우가 더욱 심하였다. 외거노비는 주인과 비교적 멀리 떨어져 살면서 상전의 직접적인 통제가 약했기 때문이며 솔거노비는 그 반대였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특히 솔거노(率居奴)와 양녀(良女)의 혼인 비율은 절반 이상이었으며 노(奴)가 비(婢) 보다 절반 정도 낮은 혼인율을 보이고 있다. 양천교혼이 억제되던 당시 그 비율이 높은 것은 상전의 강제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며 노의 혼인율이 낮은 것 역시 상전의 재산 증식에 방해가 될 경우 노의 혼인을 간섭, 제한했기 때문이다.
6. 교재 15장을 참조하여 전통사회에서 공동체가 수행했던 제의의 기능과 성격을 서술해주세요.
우리 문화는 농경문화의 토대에서 이루어졌다. 연대로는 서기전 4000~1000년 사이의 3000년간으로 신석기시대부터이다. 이 시기 신앙은 계절의 환경적 영향 속에서 싹텄을 것으로 사료된다. 청동기시대에는 곡식의 종류가 늘어났으며, 농경적인 정착생활에 따라 휴식과 종교, 예술과 놀이로 동장(冬臧)의 한가한 계절을 보내게 되었다. 이 시기 제정일치사회의 군장이자 제사장의 존엄성까지 보여주는 명두와 무당방울, 그리고 신칼인 거울, 방울과 검 등 청동의기(靑銅儀器)가 무구(巫具)로써 중요시되었다.
마을제의 기원문제에 대해 제천의례는 국가의례로서 국왕만이 지낼 수 있는 국가제의로 동제의 기원으로 고찰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고고학적으로 신석기시대 부족사회의 토템이즘에서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즉 신석기시대에 이르러 농경생활을 하게 됨에 따라 정착생활을 하게 되었으며, 부족을 단위로 하는 마을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또 이 시기의 마을은 30호 내외로 구성되었는데, 이 30호 내외 규모의 자연마을은 청동기시대, 고대사회, 중세사회를 거치면서 커다란 변화가 없었다. 행정마을이나 군현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으나 자연마을의 규모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마을제는 이 자연마을단위로 또는 몇 개의 자연마을단위로 행해졌을 것으로 동예의 호신제(虎神祭)와 삼한의 별읍제(別邑祭)를 동제의 기원으로 본다.
1) 제의의 기능
전통사회에서는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마을 제의가 진행되었다. 당시에는 마을마다 모시던 신이 달랐기 때문에 마을에서 진행되던 제의의 모습도 차이를 보인다. 각 마을에서 진행되던 제의의 모습이 다른 만큼 각 지역의 제의 또한 그 의미부터 형식까지 많은 차이를 보인다. 시대가 흐르고 변함에 따라 현대에 와서는 이런 마을 제의가 거의 사라져 현재는 일부의 지역에서만 독특하게 행해지는 행사로 여겨지게 되었다. 일부 지역에서만 전해지는 마을 제의는 오늘날까지도 전통사회에서 진행되던 제의의 형태가 남아있는 곳이 있는가 하면 그 이름만 따온 곳도 있었다.
2) 제의의 성격
인간은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내세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종교를 믿는다.‘종교적 인간’이라는 말은 종교와 인간의 밀접한 관련성을 잘 나타내 준다. 인간이 종교를 통해 얻고자 하는 종교적 목적은 제의를 통해 완성된다. 제의는 개인 혹은 집단이 정해진 시공간 아래서 자신들이 모시는 신을 향해 정해진 절차를 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따라서 제의를 통해 종교적 측면뿐만 아니라 심리적ㆍ사회적 측면 등 인간생활의 여러 상황을 두루 살필 수 있다.한국사회에서 동제는 보편적인 종교 현상이었다. 일제강점기와 산업화시기를 거치며 내외적인 요인에 의해 동제의 전승력이 약화했지만 여전히 많은 마을에서 동제를 지내고 있다. 특히 연안 마을에서는 바다를 접하고 있는 지리적 환경 때문에 내륙지역에 비해 동제의 전승이 활발하다. 바다는 생업터전이지만 주민들에게 불완전한 공간으로 인식된다. 또한 연안 마을 주민들의 생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어업 역시 운의 요소가 강한 탓에 이른바 투기사업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연안 마을은 생존의 문제가 농ㆍ산촌보다 강하게 부각되는 특징을 지닌다. 이런 까닭에 연안 마을의 동제는 불완전한 환경을 극복하고 풍요를 누리는 방법으로 여겨지며 그 의미 또한 남다르다.
참고문헌
김덕진, 대기근, 조선을 뒤덮다, 푸른역사, 2009.
박상환,『조선시대 기로정책연구』 혜안, 2000.
김현영, 1999, 조선시대 양반과 향촌사회, 집문당.
전형택, 1996, 「노비의 저항과 해방」, 『역사비평』.
민성기, 조선후기 한전윤작농법의 전개, 역사와 세계, 1982.
임용한, 2002, 조선전기 수령제와 지방통치, 혜안.
국사편찬위원회. 2009. 쌀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나. 두산동아. 서울.
서정숙, 조성희. 2008. 밥 중심 전통식사와 만성질환 예방. 식품산업과 영양.
김경용, 『과거제도와 한국 근대교육의 재인식』, 교육과학사, 2005.
김성우(2003), 조선시대 향교의 교관 및 교생에 관한 연구, 교육사상연구 제12집,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추천자료
[막스 베버][프로테스탄티즘 윤리][자본주의정신]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와 자본주의...
[노인부양][부모부양][부양]노인부양과 부모부양(노인부양의 형태, 민법 제974조에서 정한 부...
청소년 문화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이혼이란 무엇인가
양성평등을 위한 개인적 실천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
8, 9단 신체활동 중심 태권도 도장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구비문학의세계 공통) 한국의 신화 전설 민담 자료를 각각 1편씩(총 3편) 선택하여 각각의 ...
철학산책 ) ‘철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논하시오
(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전통사회와생활문화 중간과제물)재 1장을 참조하여 조선 농촌사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