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마켓컬리 기업개요
2. 새벽배송시장 상황분석
3. 마켓컬리의 샛별배송 서비스
4. 마켓컬리의 차별화된 물류유통전략
5. 마켓컬리의 벤치마킹전략
6. 마켓컬리의 사회공헌활동 (CSR)
7. 마켓컬리의 마케팅과 광고전략
8. 향후시사점
2. 새벽배송시장 상황분석
3. 마켓컬리의 샛별배송 서비스
4. 마켓컬리의 차별화된 물류유통전략
5. 마켓컬리의 벤치마킹전략
6. 마켓컬리의 사회공헌활동 (CSR)
7. 마켓컬리의 마케팅과 광고전략
8. 향후시사점
본문내용
에 배치하였다. 이를 통해 고객들에게 마켓컬리 고유의 시각적 이미지를 전달하였다.
그리고 마켓컬리는 총 4가지 종류의 광고를 진행하고 있다, 광고계 최고 몸값이 높다 해도 과언이 아닌 전지현을 광고모델로 섭외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으며. 전지현과의 자아를 동일시 효과를 기대하게 해주고, 광고 속 늦은 밤 주문해도 새벽에 배송받는 장면을 연출해 마켓컬리의 핵심 차별점인 업계 최초 주 7회 샛별배송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냉장 5C, 냉동 18C 이하 최적의 온도를 지켜 신선함을 배달시킨다는 것을강조, ‘소고기 청문회가 열리는 마켓 !’, 각 식재료마다 70개의 기준으로, 깐깐한 기준의 상품위원회가 열리고 있다는 것을 강조, 온도에 따라서 포장해 최적의 보관 온도에 따라 분리배송 해준다는 광고함으로서 마켓컬리의 제품과 배송에 대한 전반적인 기능적인 측면을 알려주고 있다.
7. 향후시사점
대기업의 신선유통 시장 진입은 마켓컬리가 당면할 수 있는 최대의 위기다. 마켓컬리는 이를 위해 ‘완결된 콜드체인’이라는, 세상에 없는 진입 장벽을 만들었다고 자부하지만 그것만으로 부족하다.
자본만 투하된다면 구축할 수 있는 물류 시스템이라면 그간 대기업이 시도를 안 한 것이지 못한 것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대기업의 시장 진입은 마켓컬리에 분명한 위협이다.
블루에이프런이 아마존의 홀푸드 인수 이후 몰락했던 것처럼 말이다. 대기업 진입을 가볍게 막아낼 완벽한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는 이는 세상 어디에도 없다. 그럼에도 마켓컬리가 차기 사업 확장의 길로 모색하고 있는 오픈마켓은 하나의 생존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마켓컬리는 이미 자사 플랫폼을 통해 신선식품 이외의 상품을 팔고 있다. 헬스케어, 주방, 유아동 용품과 같은 품목들이 그것이다. 이는 마켓컬리의 주고객인 30대 여성들의 니즈를 반영하여 추가한 것인데, 신선식품 수요자를 주요 고객으로 삼아 확장하는 오픈마켓은 커머스 시장의 또 다른 모델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이런 품목들의 특징은 굳이 ‘새벽’에 배송할 필요가 없다는 데 있다. 비용이 많이 드는 샛별배송이 아니라 외부 택배업체를 통해 배송을 해도 무방하다. 당연히 직매입을 통해 재고부담을 감수할 이유 또한 없다. 나아가 셀러들의 상품을 입점시켜 ‘오픈마켓’ 형식으로 판매하더라도 새로운 수익모델로써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이 또한 추후 대기업이 온라인 신선식품 시장에 안착할 경우 동일한 방식으로 사업을 확장해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마켓컬리만의 생존방식이 될 수 있을지 확신하긴 어렵다.
물류가 마켓컬리 성장의 핵심 경쟁력이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동시에 물류는 마켓컬리에 비용이라는 거대한 숙제를 안겨줬다. 그것을 해결하는 다양한 방법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로켓배송으로 성장한 쿠팡이 로켓배송을 대체하는 ‘쿠팡플렉스’라는 공유물류 서비스를 만든 것처럼 말이다. 마켓컬리 또한 쿠팡과 같은 대안을 찾아, 아니 그것을 넘어 거대자본의 공격 속에서 살아남는 후발 유통업체의 생존 모델을 제시해주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마켓컬리는 총 4가지 종류의 광고를 진행하고 있다, 광고계 최고 몸값이 높다 해도 과언이 아닌 전지현을 광고모델로 섭외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으며. 전지현과의 자아를 동일시 효과를 기대하게 해주고, 광고 속 늦은 밤 주문해도 새벽에 배송받는 장면을 연출해 마켓컬리의 핵심 차별점인 업계 최초 주 7회 샛별배송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냉장 5C, 냉동 18C 이하 최적의 온도를 지켜 신선함을 배달시킨다는 것을강조, ‘소고기 청문회가 열리는 마켓 !’, 각 식재료마다 70개의 기준으로, 깐깐한 기준의 상품위원회가 열리고 있다는 것을 강조, 온도에 따라서 포장해 최적의 보관 온도에 따라 분리배송 해준다는 광고함으로서 마켓컬리의 제품과 배송에 대한 전반적인 기능적인 측면을 알려주고 있다.
7. 향후시사점
대기업의 신선유통 시장 진입은 마켓컬리가 당면할 수 있는 최대의 위기다. 마켓컬리는 이를 위해 ‘완결된 콜드체인’이라는, 세상에 없는 진입 장벽을 만들었다고 자부하지만 그것만으로 부족하다.
자본만 투하된다면 구축할 수 있는 물류 시스템이라면 그간 대기업이 시도를 안 한 것이지 못한 것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대기업의 시장 진입은 마켓컬리에 분명한 위협이다.
블루에이프런이 아마존의 홀푸드 인수 이후 몰락했던 것처럼 말이다. 대기업 진입을 가볍게 막아낼 완벽한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는 이는 세상 어디에도 없다. 그럼에도 마켓컬리가 차기 사업 확장의 길로 모색하고 있는 오픈마켓은 하나의 생존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마켓컬리는 이미 자사 플랫폼을 통해 신선식품 이외의 상품을 팔고 있다. 헬스케어, 주방, 유아동 용품과 같은 품목들이 그것이다. 이는 마켓컬리의 주고객인 30대 여성들의 니즈를 반영하여 추가한 것인데, 신선식품 수요자를 주요 고객으로 삼아 확장하는 오픈마켓은 커머스 시장의 또 다른 모델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이런 품목들의 특징은 굳이 ‘새벽’에 배송할 필요가 없다는 데 있다. 비용이 많이 드는 샛별배송이 아니라 외부 택배업체를 통해 배송을 해도 무방하다. 당연히 직매입을 통해 재고부담을 감수할 이유 또한 없다. 나아가 셀러들의 상품을 입점시켜 ‘오픈마켓’ 형식으로 판매하더라도 새로운 수익모델로써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이 또한 추후 대기업이 온라인 신선식품 시장에 안착할 경우 동일한 방식으로 사업을 확장해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마켓컬리만의 생존방식이 될 수 있을지 확신하긴 어렵다.
물류가 마켓컬리 성장의 핵심 경쟁력이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동시에 물류는 마켓컬리에 비용이라는 거대한 숙제를 안겨줬다. 그것을 해결하는 다양한 방법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로켓배송으로 성장한 쿠팡이 로켓배송을 대체하는 ‘쿠팡플렉스’라는 공유물류 서비스를 만든 것처럼 말이다. 마켓컬리 또한 쿠팡과 같은 대안을 찾아, 아니 그것을 넘어 거대자본의 공격 속에서 살아남는 후발 유통업체의 생존 모델을 제시해주기를 기대한다
추천자료
소셜커머스 쿠팡(coupang) 기업분석 및 현 문제점분석과 쿠팡 마케팅전략 제안과 경영전략분석
쿠팡(coupang)기업분석과 마케팅 성공요인분석및 쿠팡 문제점분석과 위기극복위한 미래전략제...
[ ebay 이베이 기업전략 사례연구 ] 이베이 ebay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ebay 이베이 경영전...
마켓컬리 기업 SWOT분석과 성공비결분석 및 마켓컬리 경영,마케팅전략 분석과 향후방향제시
마켓컬리 마케팅 STP 4P전략 분석 및 마켓컬리 성공요인과 마켓컬리 위한 새로운전략 수립
SSG닷컴 SWOT분석과 경영 마케팅전략 사례연구 및 SSG닷컴 향후전략 제시 및 느낀점
마켓컬리 성공비결과 SWOT분석 및 마켓컬리 마케팅전략 분석과 마켓컬리 미래전략 제시
마켓컬리 SWOT분석과 성공비결 / 마켓컬리 다양한 경영전략과 마케팅전략 사례연구 / 마켓컬...
마켓컬리 성공요인과 SWOT분석, 마켓컬리 마케팅전략 연구와 향후전략방향 제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