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감소 및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변비(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1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활동감소 및 약물 부작용과 관련된 변비(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1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실천에도 변비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 완하제 사용하도록 설명하였다.
14.변비 개선 방법을 교육함으로써 해당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14.대다수 파킨슨병 대상자들이 소화기계 장애로 변비를 호소하므로 교육을 통해 자가 관리법을 터득하여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1)대상자는 3일 이내 복부불편감이 사라진다고 표현한다.
->대상자는 입원 3일째 아침 대변을 본뒤 복부불편감이 없다고 말하였다.(달성)
2)대상자는 3일 이내 CAS 점수가 6점 이하로 감소한다.
->대상자에게 간호중재 실시한 뒤 2일째 CAS 항목결과 6점 측정되었다.(달성)
3)대상자는 3일 이내 100g 이상의 대변을 배출한다.
->대상자는 입원 2일째 Bisacodyl 10mg을 복용 후 다음날 아침 200g 이상의 대변을 보았다.(달성)
4)대상자는 3일 이내 입원 기간 동안 변비 완화에 도움이 되는 행동을 한다.
->대상자는 소량의 물 자주 섭취했으며, 유산균도 꾸준히 복용하였다. 또한 침상에서 휴식시 스스로 복부마사지 시행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달성)
장기목표
1)대상자는 퇴원 전 정상적인 배변 양상이 유지된다.
->대상자는 퇴원 전 하루 1번 배변하는 등 정상적인 배변 양상이 유지되었다.(달성)
2)대상자는 퇴원 시 장폐색, 분변매복 등 변비로 인한 합병증이 없다.
->대상자는 퇴원 시 장폐색, 분변매복 등 변비로 인한 합병증이 없다고 말하였다. (달성)
참고자료
·서울대학교병원간호본부 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차영남 외 2013, 현문사.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원종순 외 2014, 현문사.
·성인간호학 하권, 황옥남 외 2017, 현문사
·대한재활의학회
·파킨슨병에서 보이는 위장관기능장애, 김중석 외 2015,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파킨슨병의 약물 치료, 이재정,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신경과
·파킨슨병의 진단과 치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고성범
·약학정보원
·근거 중심 질환별 간호과정 4 : 신경, 정신, 운동기 편, 이노우에 도모코, 한언
·파킨슨병에서 보이는 위장관기능장애, 김중석 외 1명,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네이버후드 크리스천 클리닉 소화기내과
·입원환자의 변비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최자윤 외 2명
·변비의 분류와 치료, 성인경,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2.12.24
  • 저작시기202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18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