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낙상위험성-인공관절주위감염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안,낙상위험성-인공관절주위감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질병에 대한 문헌 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임상 증상
4. 진단적 검사와 치료
5. 간호중재
6. 합병증 및 예후

Ⅲ. 사례연구
1. 대상자 사정
2. 대상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Ⅳ. 결론(소감 및 자기성찰)


Ⅴ참고문헌

본문내용

절한 정보를 제공해 불안을 줄이기 위함이다.
4.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5. 대상자의 주의를 분산시키고 이완시키기 위함이다.
6. 필요 시 적절한 도움을 받기 위함이다.
수행
1. 대상자가 불안해하는 원인을 사정하였다.
이미 경험한 수술이라 얼마만큼 아플지에 대해 걱정하며, 두 번 다시 제대로 걷지 못하게 될까 불안하다고 하였다.
2. 대상자에게 걱정되는 것과 궁금한 것을 말로 할 것을 격려하고 경청하였다.
정확한 회진시간을 알려주며, 궁금한 것을 미리 적어 놓도록 도와, 의사 회진 시 질문할 것을 격려하였다.
3. 대상자에게 수술에 대한 절차, 처치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여 주었다.
수술에 대한 신문기사를 찾아 보여주며 환자분이 하시는 수술이 감염에 대한 수술에서 90% 이상 효과가 있음을 이야기해 주었다.
수술을 한 다른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며, 지금은 아파도 추후 훨씬 삶의 질이 올라갈 수 있음을 함께 이야기하였다.
4. 대상자에게 이완요법을 교육하였다.
병실 내의 개인용 TV 사용법에 대해 알려주었다.
심장이 두근거릴 때 마다 숨을 깊고 길게 내쉴 것을 교육하였다.
5. 도움이 필요할 시 콜벨을 누르도록 교육한다.
콜벨을 이불에 달아주고, 필요 시 벨을 누르면 즉시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음을 교육하였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수술에 대한 불안을 호소하지 않았다. (목표달성)
단기목표: 대상자는 1일 이내 마음이 편안해졌음을 말로 표현하였다. (목표달성)
날짜: 2022 년 05 월 09 일
간호진단 2) 질병과 관련된 낙상의 위험성
사정
주관적 자료
“ 다리에 힘이 하나도 없다. ”
“ 얼마 전에는 화장실에서 주저 앉아서 못일 어났다. ”
객관적 자료
진단: PJI (인공관절주위감염) - 5/9
21년 7월 골다공증 진단
보호자로부터 1개월 이내 화장실에서 넘어진 적이 있음을 확인
보호자로부터 일상생활에서 이동 보조기(유모차)를 사용해 이동함을 확인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일 이내 낙상예방법에 대해 3가지 이상 이야기한다.
계획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낙상척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계획>
2. 대상자가 자주 사용할 물건들을 대상자가 닿기 쉬운 위치에 둔다.
3. 병동 내 안전한 환경을 유지한다.
4. 대상자의 침상에 낙상 고위험 스티커와 표지판을 부착한다.
<교육적 계획>
5. 낙상예방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6. 콜벨 사용법에 대해 교육한다.





표준도구를 사용해 낙상의 위험수준을 사정해 필요한 조치를 취하게 하기 위함이다.
대상자의 불필요한 이동을 줄여 낙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3. 대상자에게 안전한 환경 제공을 제공해 낙상의 위험을 낮추기 위함이다.
4. 대상자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하게 하기 위함이다.
5. 대상자에게 낙상에 대한 안전교육을 통해 낙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함이다.
6. 필요 시 적절한 도움을 받기 위함이다.
수행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낙상척도를 사정하였다.
Morse 사정척도: 85점 (5/9)
<치료적 계획>
2. 대상자가 자주 사용할 물건들을 대상자가 닿기 쉬운 위치에 두었다.
핸드폰 충전기를 침상 옆에 연결해주고, 보호자가 사놓은 생수를 침대 바로 옆에 두었으며, 가지고 계신 보조가방에 필요한 물건을 넣어 머리 위에 두어주었다.
3. 병동 내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였다.
침상난관이 올려져있는지, 바닥이 미끄럽진 않은지, 침대가 고정되어있는지를 확인하고, 필요한 조취를 취해주었다.
4. 대상자의 침상에 낙상 고위험 스티커와 표지판을 부착하였다.
<교육적 계획>
5. 낙상예방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밤에도 야간조명등을 켜놓을 것을 교육하였다.
화장실 이용 시에도 꼭 벨을 눌려 여사님과 함께 갈 것을 교육하였다.
이동 시, 워커를 사용하도록 교육하였다.
항상 사이드레일을 올려놓을 것을 교육하였다.
바닥에 끌리지 않는 하의를 입도록 교육하고, 미끄러지지 않는 신발을 신을 것을 교육하였다.
6. 콜벨 사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화장실 이동, 수액이 다되었을 때, 필요한 도움이 있을 때는 혼자 움직이지 말고 콜벨을 반드시 누를 것을 교육하였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목표미달성-퇴원 전)
단기목표: 대상자는 1일 이내 낙상예방법에 대해 3가지 이상 이야기하였다. (목표달성)
Ⅳ. 결론(소감 및 자기성찰)
대상자는 본원에서 수술 후 수술 부위가 감염되어 왼쪽 다리의 인공관절을 제거, 그곳에 항생제로 만든 시멘트를 넣는 수술을 시행하는 분이었다. 사실 인공관절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보았지만, 이렇게 제거를 할 만큼 큰 합병증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 수 있었다. 이미 인공관절을 위한 수술을 경험해 보셨기에 더욱 더 수술에 대해 큰 불안을 가지고 계셨다. 대상자이시고, 갈 때마다 너무 반겨주셔서 감사했다. 그리고 오늘 수술을 하실 때도, 너무 고맙다고, 그래서 덕분에 덜 무섭다고 하셔서 마음이 찡하였다. 이 마암을 잊지 않는 간호사가 되어야겠다고 다시 한번 다짐해 보았다.
Ⅴ. 참고문헌
성인간호학Ⅰ,Ⅱ 수문사
기본간호학 Ⅰ,Ⅱ 현문사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현문사/박은영 외
의약품안전나라 https://nedrug.mfds.go.kr
질병관리청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
논문 참조
1) 슬관절 전치환술 후 인공관절 주위 진균 감염의 임상적 결과 김형주 외(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정형외과), J Korean Orthop Assoc. 2019 Feb;54(1):52-58. Korean. Published online Feb 27, 2019.
2) 골관절염의 역학과 병인 이충기(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Yeungnam University. J. of Med.Vol.24 No.2 Suppl. p.S132-141, Dec. 2007
3) 인공관절 치환술 후 CRP 수치를 이용한 급성 감염의 예측 서유성 외(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J Korean Orthop Assoc 2012; 47: 133-139
  • 가격5,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23.01.24
  • 저작시기202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37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