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감정의 척도화
(2) 기분 일기
(3) 핵심 신념 찾기
3. 결론
4. 출처 및 참고 문헌
2. 본론
(1) 감정의 척도화
(2) 기분 일기
(3) 핵심 신념 찾기
3. 결론
4. 출처 및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적인 사고를 단번에 긍정적으로 돌리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핵심 신념을 바꾸는 것은 더더욱 그렇다. 내가 가진 핵심 신념의 주내용인 미래에 대한 걱정에는 스스로의 무능력함에 대한 인지가 기본적으로 깔려 있다. 이 신념을 발견했을 때 어딘가 수치스러웠던 이유도 내가 나의 무능력함을 알면서도 고치지 않았음을 들킨 것 같아서였다. 하지만 계속해서 이전처럼 회피만 한다면 절대 나를 발전시킬 수 없고 실제로 나의 무능력을 인증하는 꼴밖에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내가 찾은 나의 자동적 사고의 기저에 깔린 핵심 신념을 받아들인 후, 내가 나 자신과 대화를 하고 위로한다면 두려움없이 객관적으로 나를 평가할 수 있고 오히려 그 두려움에 맞설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그러한 상담이나 대화를 통해 내가 지닌 걱정을 표출한 후, 더 이상 나 자신의 무능력함을 핑계로 할 일을 회피하지 않는 사람이 되도록 왜곡된 신념을 바꿔야겠다는 다짐을 하였다. 이 모든 사고의 전환이 할 일을 보면 미루는 나의 자동적 사고 속 핵심 신념을 찾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였다고 생각하니, 믿기지가 않았다. 실제로 핵심 신념에 대해 찾고 내 행동의 원인을 찾아가는 몇시간도 안되는 시간 속에서 나는 뭔가 정곡에 찔린 듯한 느낌도 받으면서 마음이 단련된 기분을 충분히 느꼈기 때문이다. 위의 감정의 척도화, 기분 일기는 내가 느끼는 감정, 기분을 토대로 하여 긍정적인 기분이 드는 행동만을 좋게 볼 수도 있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특정 사고에서 핵심 신념을 찾아내는 것은 부정적인 감정이 드는 행동 또한 나쁜 것만은 아니며 그러한 감정이 드는 이유를 뿌리부터 찾아내준다. 따라서 좋지 않은 사고를 하는 것을 고치는 데 있어 앞의 두 트레이닝보다 더 효과적인 것 같고, 더더욱 꾸며내지 않은 날 것의 자신의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거부감이 느껴질 수 있으면서도 마음 트레이닝에는 훨씬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3. 결론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다.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다. 하지만 함께 있어도 각자 있는 것처럼 외롭고, 휴대폰없이 직접 대화하는 것에 더 어려움을 느끼는 요즘같은 때에 누구의 도움도 없이 혼자서 마음을 단련시키는 마음 트레이닝은 어쩌면 신체를 트레이닝하는 것보다도 중요할지도 모른다. 직접 감정의 척도화, 기분 일기 작성, 핵심 신념 찾기와 같은 마음 트레이닝을 해본 결과, 굉장히 오랜 시간 꾸준히 트레이닝을 한 것이 아님에도 충분히 효과가 있었다. 특히 핵심 신념을 찾음으로 인해 내가 그토록 고치고 싶었던 습관을 고치는 데 한 발짝이나마 다가가게 되었다. 또, 나 자신의 감정을 헤아리는 법을 알게 되었고 스스로를 조절하고 통제함에 있어 이전보다 훨씬 능숙해졌다. 이미 사회는 차가워졌고 사람들은 서로에게 큰 관심이 없어져 버렸다. 나를 돌봐주고 사랑해줄 수 있는 건 다른 누구도 아닌 나 자신뿐이다. 겉으로 보이는 몸뿐만 아니라 마음을 트레이닝하는 것의 중요성을 모두가 알길 바란다.
4. 출처 및 참고 문헌
심리학에게묻다. 하혜숙, 강지현 지음. 출판문화원. 2020
3. 결론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다.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다. 하지만 함께 있어도 각자 있는 것처럼 외롭고, 휴대폰없이 직접 대화하는 것에 더 어려움을 느끼는 요즘같은 때에 누구의 도움도 없이 혼자서 마음을 단련시키는 마음 트레이닝은 어쩌면 신체를 트레이닝하는 것보다도 중요할지도 모른다. 직접 감정의 척도화, 기분 일기 작성, 핵심 신념 찾기와 같은 마음 트레이닝을 해본 결과, 굉장히 오랜 시간 꾸준히 트레이닝을 한 것이 아님에도 충분히 효과가 있었다. 특히 핵심 신념을 찾음으로 인해 내가 그토록 고치고 싶었던 습관을 고치는 데 한 발짝이나마 다가가게 되었다. 또, 나 자신의 감정을 헤아리는 법을 알게 되었고 스스로를 조절하고 통제함에 있어 이전보다 훨씬 능숙해졌다. 이미 사회는 차가워졌고 사람들은 서로에게 큰 관심이 없어져 버렸다. 나를 돌봐주고 사랑해줄 수 있는 건 다른 누구도 아닌 나 자신뿐이다. 겉으로 보이는 몸뿐만 아니라 마음을 트레이닝하는 것의 중요성을 모두가 알길 바란다.
4. 출처 및 참고 문헌
심리학에게묻다. 하혜숙, 강지현 지음. 출판문화원. 2020
추천자료
2022년 2학기 방송통신대 심리학에게묻다 기말과제물)교재와 영상강의 15장의 마음트레이닝을...
(2022학년도 2학기 기말시험, 심리학에게묻다, 과제물) 교재와 영상강의 15장의 “마음트레이...
[2022 심리학에게묻다][기말시험] 교재와 영상강의 15장의 “마음트레이닝”을 참고하여 자신의...
심리학에게묻다 기말 2022년] 방송대 심리학에게묻다 교재와 영상강의 15장의 마음트레이닝을...
심리학에게묻다 기말 2022년) 교재와 영상강의 15장의 마음트레이닝을 참고하여 자신의 일상...
심리학에게묻다 ) 교재와 영상강의 15장의 마음트레이닝을 참고하여 자신의 일상에 이러한 방...
교재 영상강의 “마음트레이닝”을 참고 자신의 일상에 이러한 방법들을 적용해 본 후, 3가지 ...
15장의 “마음트레이닝”을 참고하여 자신의 일상에 이러한 방법들을 적용해 본 후, 그 중 3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