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2.간호 진단, 정의
3.간호 목표: 장기 목표, 단기 목표
4.진단적 계획 & 이론적 근거
5.치료적 계획 & 이론적 근거
6.교육적 계획 & 이론적 근거
7.간호 평가
2.간호 진단, 정의
3.간호 목표: 장기 목표, 단기 목표
4.진단적 계획 & 이론적 근거
5.치료적 계획 & 이론적 근거
6.교육적 계획 & 이론적 근거
7.간호 평가
본문내용
로, 대화할 때 숨차하는 모습을 관찰되었다.
5. 정상인의 경우 1분 소요될 대화를 대상자는 5분 정도 소요되었다. 따라서 대상자는 짧은 대화에도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어 대화 후 많이 피곤해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호흡 부족으로 말이 끊어지기도 하고, 긴 대화를 하고 난 후에는 숨이 차 잠깐 쉬는 모습도 관찰 되었다. 지인과의 통화에서는 비언어적인 표현을 사용할 수 없어 힘들어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치료적 수행
1. 대상자의 요구를 예상하고, 비언어적인 단서에 주의를 기울였다. 대상자의 말이 끊어지거나 불완전하더라도, 전달하려는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귀를 기울여 듣고, 중요한 키워드를 확인하고 반복하여 확인하였다. 대상자의 비언어적인 단서로 표정, 몸의 움직임, 손 동작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요구나 의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반응을 보여주었다.
2. 대상자에게 의사소통 수단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였다. 보호자에게 집에 쓰지 않는 아이패드가 있는지 여쭤보고 아이패드에 글을 적어 의사소통하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대상자가 말할 때 인내와 이해심을 가지고 대화하였다. 언어적 장애가 없는 사람이라면 1분 안에 가능한 대화가 대상자의 경우에는 5분 정도 소요되었다. 대상자의 말이 끊어지거나 어려울 때 인내를 가지고 대기하며 이해를 표현하고 긍정적인 어조와 자세로 대응하였다.
대상자가 노력하여 의사소통을 시도하고 성취를 이루었을 때, “대단하세요”, “그렇군요”와 같은 긍정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대상자를 응원하고 격려해주었다.
4. 대상자에게 이야기 할 때는 같은 병실 내 환자분께 양해를 구한 뒤 TV나 라디오를 꺼 집중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 하였다.
5. 대상자와 말할 때 눈 마주침을 유지하고 대상자의 시야 내에서 가까이 섰다. 상호적인 시선 교환을 통해 대상자가 발화 내용을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대상자의 발화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의사소통의 원활함을 도모하였다.
6. 대상자에게 답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였다. 대상자의 말이 끊길 때 보채지 않고 침착하게 있었고, 말을 하는 도중에 중단되지 않고 마무리 할 수 있도록 기다렸다. 대화의 속도가 빨라지면 대상자가 편안하게 말 할 수 있도록 대화 속도를 천천히 진행하였다.
7. 대상자에게 짧은 문장을 사용하고, 한번에 한 개씩 질문을 하였다. 대상자가 말이 끊어져서 원하는 말을 하지 못할 경우 기다리고, 짧은 문장을 사용하여 해당 주제에 대해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왔다.
8. 대상자의 청각이 손상된 경우가 아니기 때문에 너무 크게 말하지 않도록 하였다. 대신,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명료한 억양과 발음을 사용하고, 천천히 말하며 반복해서 이해를 도와주었다.
교육적 수행
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언어 장애 유형과 말, 언어기술,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려주었다.
대상자의 언어 장애 유형 이해를 위해 외상성 뇌손상으로 인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상세하게 설명하여,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이해하도록 도왔다.
그리고 말, 언어기술,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였다. 외상성 뇌손상으로 인해 말이 끊어지거나 반복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여, 대상자와 보호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다. 또한, 발음 오류, 어휘 손상, 문법 오류가 어떻게 관찰되는지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다.
2. 대상자가 언어적 표현에 어려움을 겪을 때, 연습할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대상자가 언어치료에서 수행하는 일들을 도왔다. 먼저,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나 표현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습하도록 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수준과 관심사에 맞는 주제로 대화를 진행하고, 대상자의 말이 끊기거나 오류가 있을 때 정확한 표현을 도와주었다.
간호 평가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언어적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하였다고 말하였다. -> 달성
단기목표
1. 대상자는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나 표현을 정확하게 사용한다. -> 달성
대상자가 언어적 표현에 어려움을 겪을 때, 연습할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대상자가 언어치료에서 수행하는 일들을 도왔다.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나 표현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습하도록 하였다. 연습한 단어와 표현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2. 대상자는 간단한 대화 시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장을 구성한다. -> 달성
보호자와의 짧은 대화에서 대상자는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장을 구성하였다.
5. 정상인의 경우 1분 소요될 대화를 대상자는 5분 정도 소요되었다. 따라서 대상자는 짧은 대화에도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고 있어 대화 후 많이 피곤해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호흡 부족으로 말이 끊어지기도 하고, 긴 대화를 하고 난 후에는 숨이 차 잠깐 쉬는 모습도 관찰 되었다. 지인과의 통화에서는 비언어적인 표현을 사용할 수 없어 힘들어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치료적 수행
1. 대상자의 요구를 예상하고, 비언어적인 단서에 주의를 기울였다. 대상자의 말이 끊어지거나 불완전하더라도, 전달하려는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귀를 기울여 듣고, 중요한 키워드를 확인하고 반복하여 확인하였다. 대상자의 비언어적인 단서로 표정, 몸의 움직임, 손 동작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 요구나 의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반응을 보여주었다.
2. 대상자에게 의사소통 수단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였다. 보호자에게 집에 쓰지 않는 아이패드가 있는지 여쭤보고 아이패드에 글을 적어 의사소통하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3. 대상자가 말할 때 인내와 이해심을 가지고 대화하였다. 언어적 장애가 없는 사람이라면 1분 안에 가능한 대화가 대상자의 경우에는 5분 정도 소요되었다. 대상자의 말이 끊어지거나 어려울 때 인내를 가지고 대기하며 이해를 표현하고 긍정적인 어조와 자세로 대응하였다.
대상자가 노력하여 의사소통을 시도하고 성취를 이루었을 때, “대단하세요”, “그렇군요”와 같은 긍정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대상자를 응원하고 격려해주었다.
4. 대상자에게 이야기 할 때는 같은 병실 내 환자분께 양해를 구한 뒤 TV나 라디오를 꺼 집중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 하였다.
5. 대상자와 말할 때 눈 마주침을 유지하고 대상자의 시야 내에서 가까이 섰다. 상호적인 시선 교환을 통해 대상자가 발화 내용을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대상자의 발화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의사소통의 원활함을 도모하였다.
6. 대상자에게 답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였다. 대상자의 말이 끊길 때 보채지 않고 침착하게 있었고, 말을 하는 도중에 중단되지 않고 마무리 할 수 있도록 기다렸다. 대화의 속도가 빨라지면 대상자가 편안하게 말 할 수 있도록 대화 속도를 천천히 진행하였다.
7. 대상자에게 짧은 문장을 사용하고, 한번에 한 개씩 질문을 하였다. 대상자가 말이 끊어져서 원하는 말을 하지 못할 경우 기다리고, 짧은 문장을 사용하여 해당 주제에 대해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왔다.
8. 대상자의 청각이 손상된 경우가 아니기 때문에 너무 크게 말하지 않도록 하였다. 대신,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명료한 억양과 발음을 사용하고, 천천히 말하며 반복해서 이해를 도와주었다.
교육적 수행
1.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대상자의 언어 장애 유형과 말, 언어기술,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려주었다.
대상자의 언어 장애 유형 이해를 위해 외상성 뇌손상으로 인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에 대해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상세하게 설명하여,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이해하도록 도왔다.
그리고 말, 언어기술,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였다. 외상성 뇌손상으로 인해 말이 끊어지거나 반복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여, 대상자와 보호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왔다. 또한, 발음 오류, 어휘 손상, 문법 오류가 어떻게 관찰되는지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다.
2. 대상자가 언어적 표현에 어려움을 겪을 때, 연습할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대상자가 언어치료에서 수행하는 일들을 도왔다. 먼저,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나 표현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습하도록 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수준과 관심사에 맞는 주제로 대화를 진행하고, 대상자의 말이 끊기거나 오류가 있을 때 정확한 표현을 도와주었다.
간호 평가
장기 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언어적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하였다고 말하였다. -> 달성
단기목표
1. 대상자는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나 표현을 정확하게 사용한다. -> 달성
대상자가 언어적 표현에 어려움을 겪을 때, 연습할 시간을 제공함으로써 대상자가 언어치료에서 수행하는 일들을 도왔다. 대상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나 표현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습하도록 하였다. 연습한 단어와 표현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2. 대상자는 간단한 대화 시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장을 구성한다. -> 달성
보호자와의 짧은 대화에서 대상자는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장을 구성하였다.
소개글